덩굴을 헤치며 찾은 석불입상엔 아름다운 전설이
충남 연기군 남면 나성리 산 59에는 전서공 임난수 장군의 부안임씨 가묘가 있다. 연기군 향토유적 제42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가묘는 고려 말 최영 장군과 더불어 탐라를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운 임난수 장군을 기리는 가묘이다. 임난수 장군은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세우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고 하여 벼슬을 버리고 현 남면 양화리에 은거하였다.
연기군 나성리에 있는 문화재를 답사하는 중에, 마을주민들이 가묘 뒤에 석불입상이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연기군 홈페이지에서는 석불입상에 대한 문화재 정보가 전무하다. 그래도 혹 모른다는 생각에 길을 물어 찾아보기로 했다. 답사 증에 새로운 것을 찾는다는 것은, 답사를 하는 사람에게는 늘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환삼덩굴을 30분이나 헤집고 다니다
가묘 뒤라고 해서 찾아보았다. 그러나 가묘 뒤로 길이 보이지를 않는다. 주변은 여름내 자란 풀들이 허리까지 차오른다. 거기다가 환삼덩굴은 가시가 있어 맨살에 스치면 금방 살이 부르트기 일쑤다.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찾아보았으나, 석불입상은 보이지가 않는다. 땀은 비오듯 쏟아지는데, 옷은 살에 감겨든다.
30여분을 길도 없는 덩굴을 헤치면서 다니다가 보니, 저만큼 무엇인가가 보인다. 거미줄과 덩굴더미를 헤치고 가보니 정말로 석불입상이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 서 있었다는 주민들의 말처럼, 석불입상은 보기에도 범상치가 않다. 뒷면은 그냥 돌을 쪼아낸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 높이는 2m 정도가 되는 이 석불입상은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지 않아, 풀숲에 그대로 방치가 되어있다.
지방의 장인에 의해 제작된 듯
석불입상은 눈썹이 굵게 표현하였다. 눈은 가늘고 길게 옆으로 -자로 팠는데, 쪼아낸 흔적이 보인다. 코는 뭉툭하게 표현을 하였다. 입은 작고 양끝이 약간 위로 치켜 올려졌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한 것으로 보아, 석불입상이 틀림이 없다. 경기 남부와 충청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고려 때의 거대석불과 같은 형태로 제작이 되었다.
귀는 어깨까지 내려왔으며, 가슴에는 손의 형상을 조각하다가 만듯하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볼 때 미완성인 석불입상과 같은 모습이다. 머리는 이마위로 잘려나갔다. 아마 그 위에 보개석이라도 얹을 생각이었나 보다. 그런데 어떻게 이 석불입상이 이런 곳에 서 있게 되었을까? 혹 전서공 임난수 장군과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닐까?
마을로 들어가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다. 마을 주민들이 이야기로 들려주는 이 석불입상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단란하게 살던 노부부가 모두 병으로 죽게 될 처지가 되었다. 지난날 “어려운 일이 있으면 찾아라.”라는 꿈에서 본 부처님을 회상하고 아들에게 그 말을 하였더니, 아들은 곧 석불입상을 찾아가 부모님의 병이 낫게 해달라고 빌었다. 그랬더니 이번에도 부처님이 꿈에 나타나 “내일 아침 일찍 산에 올라가 보면 둥근 바위가 있는데, 그 밑에 큰 더덕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캐서 부모님께 달여 드리면 병이 곧 나을 것이다. 만일 내일이 지나면 그 더덕을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니 날짜를 어기지 말라.”라고 하였다. 다음날 아들이 산에 올라가 바위 밑을 보니 정말로 거기에 커다란 더덕이 있었다. 아들이 그것을 캐어 부모님께 달여 드리자 곧 완쾌되었다.(자료 / 연기실록)
전설은 여기서 그치지를 않는다. 마을에 사는 불효자가 그 말을 듣고 석불입상에 빌러 큰 돌을 얻었는데, 어려운 사람을 돕지 않고 부모에게 효도를 하지 않았다. 그러자 돈이 모두 뱀이 되어 불효자의 온몸을 감아 질식해 죽였다고 한다. 나성리 마을 뒤편에 서 있는 미완성인 석불입상. 지정은 되지가 않았지만 그보다 더 큰 아름다운 지니고 있었다. 땀을 흘리며 덩굴을 헤치면서 찾아낸 석불입상. 그런 아름다운 전설을 간직한 채, 말없이 오랜 시간을 주민들과 무언의 대화를 하며 그 곳에 서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