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가금면 창동리를 지나다 보면, 길가에 5층 석탑과 석불이 서 있는 곳이 있다. 이곳에서 동쪽의 낮은 산 쪽으로 쇠줄로 이어 만든 철렁다리를 건너면 돌계단이 나타난다. 낮은 구릉을 넘어서면, 강 쪽 밑으로 가파른 계단이 보인다. 낙엽이 쌓이고 눈이 채 녹지 않은 계단을 내려가려면 조심을 해야 한다. 자칫 미끄러지기라도 한다면, 영락없이 강물로 처박힐 판이다. 강가로 내려서면 우측으로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 높이 6m가 넘는 거대한 마애불이 조성이 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신립 장군의 자화상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이 마애불이 임진왜란 때 신립 장군의 자화상이라고 한다. 아마 선조 25년인 1592년 4월 26일부터 3일간 벌어진 인근의 탄금대전투로 인해, 이런 이야기가 생겨났는지도 모른다. 왜군과 탄금대에서 전투를 한 신립은 적병 수십 명을 죽이고, 전쟁에 패하게 되자 스스로 탄금대 앞 남한강으로 뛰어 들었다. 같이 이 전투에 참여했던 부장 김여물과 이종장도 신립의 뒤를 따라 전사하였는데, 이 일로 인해 왜군은 충주성에 입성하게 된다.

 

결국 신립의 패전으로 인해 선조는 한양을 떠나 평안도로 피난을 하게 되었다. 이 남한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마애불이 왜 신립 장군의 자화상이라고 할까? 그것은 아마 마을사람들의 염원인지도 모르겠다. 나라를 위해 최선을 다한 무장 신립의 마음을, 남한강을 바라다보고 있는 이 마애불과 같다고 생각을 했던 것일까? 아마도 멀지 않은 곳 탄금대에서 남한강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버린, 신립 장군의 원혼을 위로하기 위함은 아니었을까?

 

그러한 전설과 같은 이야기는 마을 사람들의 소박한 바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시대적으로 많은 차이가 나는 이러한 마을에 전해지는 이야기가, 때로는 황당하기도 하다. 하지만 그런들 어떠하랴. 마을 사람들 마음속에 전해지는 그 내적 사고가, 오늘날 우리들의 끈끈한 정을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마애불을 보기 위해서는 가파른 계단을 내려서야 한다. 낙엽과 눈이 쌓여 미끄럽다. 아래로는 남한강의 물이 보인다.


충주지역의 대표적인 마애불

 

남한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자연 암벽에 조성을 한 이 마애불은 윗부분은 돋을새김을 하였다. 아래로 내려오면서 선각으로 처리를 한 듯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모두 낮은 돋을새김을 한 것이 선각처럼 보인다. 아래는 생략이 된 듯한 이 마애불은 전체적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거대마애불에 속한다.

 

크고 길게 찢어진 눈꼬리, 큼직한 코와 귀 등이 자애로움보다는 근엄함을 엿보게 한다. 흡사 근엄한 장수상의 상호다. 그래서 신립 장군의 자화상이라고 했던 것은 아닌지. 법의는 통견으로 그려냈는데, 구불구불한 선을 어찌 저리도 부드럽게 처리를 할 수 있었는지 감탄이 절로 나온다. 절벽에 그려낸 마애불의 법의 자락이 바람이라도 불면 너풀거릴 것만 같다. 11세기 고려 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창동 마애불. 어찌 보면 투박하기 만한 이 마애불이 오히려 정감이 드는 것은, 토속적인 느낌이 들기 때문인가 보다.

 


마애불의 윗부분은 돋을 새김을 하였다. 찢어진 눈꼬리와 뭉뚝하고 큰 코가 위엄있게 보인다. 그래서 신립의 자화상이라고 했을까?


통견으로된 법의. 선각인 듯 하지만 자세히 보면 돋을새김을 한 것이다. 법의의 굴곡된 주름이 자연스럽게 너풀거리는 듯 하다.


어떻게 이런 곳에 조성을 한 것일까?

 

창동 마애불은 발목 밑의 부분이 생략이 되어 있다고 하지만, 처음부터 생략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암벽에 마애불을 조성한 밑 부분의 바위가 아래쪽으로는 움푹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저 부분이 저렇게 들어간 것이 처음부터 그랬던 것일까? 만일 그 밑 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이라면, 그 부분에 발이 있었을 것이다. 전체적인 크기로 보아 그 움푹한 곳이 바로 발목 부분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계단을 놓고 마애불의 앞쪽에도 난간을 둘러 공간을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지난 세월에는 강물이 발목까지 출렁거렸을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이런 곳에 마애불을 조성을 할 수가 있었을까? 일반적으로 마애불은 산이나 들에 조성한다. 자연적인 절벽을 이용해 마애불을 조성하지만, 이렇게 강가에 조성을 한 예는 극히 드물다. 그것도 당시의 지형적인 여건이 어떠했는지는 몰라도, 주변을 보면 이곳이 물에 잠기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위에서 밧줄이라도 타고 내려온 것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쉽게 해답이 나오지를 않는다.

 


마애불의 밑을 보면 움푹 들어가 있다. 저 곳이 떨어져 나간 부분이라면 발이 있었을 것이다.


커다란 바위에 조각을 한 창동 마애불. 고려시대의 거대마애불이다.

 

전국을 다니면서 많은 문화재들을 본다. 그 하나하나가 정성이 가득하다. 아무리 사소한 문화재라고 해도, 그것을 만든 장인의 정신이 깃들어 있다. 그 정신이 오래도록 문화재를 지켜 온 원동력이었는지도 모른다. 요즈음 살아가는 사람들이 쉽게 생각할 수도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 그것은 우리 선조들의 노력과 땀이기에, 우리가 그것을 눈여겨 보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