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문화유산이요 사적 제3호인 화성을 따라 돌다보면 성곽의 부분, 부분에 돌출되어 나온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부분을 보고 치()라고 한다. ()란 꿩을 의미한다. 꿩은 제 몸을 풀숲에 숨기고 머리만 내밀어 밖을 잘 내다보면서 위험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동태를 살피기 때문에 성곽의 돌출된 부분을 그 용도에 맞게 치라고 표현하였다.

 

치는 성곽의 안에서 보면 밖으로 삐죽이 나와 있다. 성곽 위에는 누각 없이 여장만을 쌓고 몇 군데의 총안을 내 놓았다. 여장과 여장 사이에는 민틈이 있다. 이 여장의 빈틈은 경사지게 되어 있어 안에서 밖을 살피기에 적당하다. 밑으로는 경사지게 구멍을 만들어 놓았다. 치의 목적은 군데군데 이 치를 만들어 성벽에 접근하는 적들을 물리치기 위함이다.

 

수원 화성에는 10개소의 치가 있으며 각기 서일치, 서이치, 서삼치, 용도서치, 용도동치, 동일치, 동이치, 동삼치, 남치, 북동치가 있다. 치는 화성성역의궤의 기록에 의하면 50타 마다 한 곳씩 둔다고 했다. 1타가 3~4보쯤 된다고 치면 일보가 80cm이니 150m에 한 곳씩 치를 둔 셈이다. 단순히 치만을 둔 곳이 있지만 지형에 따라서는 치를 응용하여 공심돈, 포루(砲樓)와 포루(鋪樓), 적대(敵臺) 등을 세워 적의 침략을 방비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다.

 

 

 

아름다운 화성의 치

 

화성을 한 바퀴 안팎으로 돌다보면 참으로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단순한 성곽이 아닌 자연과 어쩌면 저렇게 조화를 이룰 수 있게 축조를 했을까 감탄을 하게 된다. 치는 화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 당시의 성곽에 보면 보편적으로 치가 보이지만 화성만큼 그렇게 조화롭게 치를 이용한 곳은 없는 것 같다. 그렇다면

 

치는 성과 같은 높이로 쌓았고 그 위에 여장을 둘러놓았다. 치는 성곽에서도 확연히 돌출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치 위에 오르면 좌우를 바라다 볼 수 있으며 성곽을 오르는 적이 한 눈에 들어온다. 가히 화성을 왜 성곽의 꽃이라는 대명사로 부르는지 알만하다.

 

화성의 치 위에 세운 포루에서 총안을 통해 바라다 본 성곽. 적이 성곽을 기어오르면 그 뒷부분을 볼 수 있다. 적은 등을 돌리고 있기 때문에 공격을 하지 못한다. 화성은 치 위에 적당히 포루 등을 배치해 화살이나 총을 쏘아도 그 사정거리 안에 적이 들도록 배치해 놓아 뛰어난 성곽 축조 기술을 엿 볼 수 있다.

 

지형이 높은 곳에는 치 위에 포루(鋪樓)를 세워 놓았다. 멀리서 움직이는 적도 모두 관찰할 수가 있어 적은 시야에서 벗어 날 수가 없다. 그리고 이곳에서 적을 공격할 때는 사방이 모두 막혀있어 적의 공격을 안전하게 피할 수 있다. 그야말로 꿩이 풀 속에 숨어 밖을 내다보는 그런 형태와 같다고 하겠다.

 

 

 

취 위에 세운 구조물들의 놀라운 효과

 

화성의 북문인 장안문의 양편에는 치를 만들고 그 위에 포를 배치했다. 바로 장안문 양편에 마련한 적대이다. 장안문은 북쪽에 있기 때문에 북에서 내려오는 적이 장안문으로 공격할 것을 대비하는 세심함을 보인듯 하다.

 

요소마다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치 위에 누각을 짓고 여장을 둘러놓은 포루와 적대 등이 있어 적은 어디에도 성곽을 기어오를 수 없도록 하였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단순히 적을 공격하고 최선의 방어만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자연과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다시 한 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봉화를 알리는 봉수대 역시 치 위에 올려놓았다. 봉수대는 성 동문인 창룡문과 남문인 팔달문 사이에 놓여있다. 자연과 완벽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축조된 화성은 그야말로 자연 위에 세운 거대한 미술품을 연상하게 한다. 방화수류정이나 서장대 같은 아름다운 조형물이 있는 화성. 선조들의 뛰어난 미적감성과 나라사랑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