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에는 용인시 향토유적 제55호로 지정이 된 고려 후기의 석조입상인 ‘목신리 보살상’이 자리한다. 이목신리 보살입상은 목신리 지방도 392호선 옆 나지막한 구릉 위의 보호각 속에 안치되어 있다. 보호각은 2007년에 찾았을 때는 좌우 각 한 칸인 목조 가구 슬레이트 지붕을 얹고 있었다.

 

그 이전에는 이 보호각의 지붕이 초가였다고 하는데, 2009년에 이곳을 찾았을 때는 맞배지붕을 얹은 기와로 깨끗하게 보호각이 꾸며져 있었다. 그러나 그 이전 슬레이트 지붕일 때의 가림나무가 그대로 있어, 안을 들여다보는데 상당히 불편하다.

 

 

1888년에 중수를 한 보호각

 

목신리 보살상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각의 종도리에는 묵서로 “광서십사년무자십일월 갑시(光緖十四年戊子十一月初一日 甲時)”라고 쓰여 있어, 1888년에 이 보호각의 중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보호각에 사용된 초석 중의 일부에는 주좌가 뚜렷한 초석이 남아 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주변이 사지였음도 간과할 수 없다.

 

목신리 보살입상은 목신리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에 조성되어 있어, 마을의 수호, 기자, 기복, 치병, 기우 등을 바라는 중생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마을 미륵으로 신앙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보호각

 

현재 보살상이 서 있는 구봉마을을 조선시대에는 양디현 목악면 장승동이라고 불렀다. 이 불상이 서 있는 입구에 장승이 서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마을에서는 보호각 안에 안치되어 있는 이 석조불상을 ‘미륵불’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속칭 ‘언청이미륵’이라고 한다. 이는 이 석조불상의 코가 마모가 되어 떨어져 나갔기 때문이다.

 

보관 중앙에 화불이 있어

 

목신리 보살상은 머리에 갓 모양의 둥근 보개가 씌어져 있는데, 이 보개는 목신리 보살상과 석질이 다른 것으로 보아 후대에 조성해 올려놓은 것으로 보인다. 보개를 덧씌운 이유는 사람들이 이 석조입상을 미륵으로 여기고 싶은 심리 때문일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예는 인근의 가창리 미륵입상에서도 볼 수 있는데,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불이 현재까지 미륵으로 통칭되는 예는 전국적으로 약 300여 구에 달한다.

 

 

보개 아래에는 삼엽의 높은 보관을 쓰고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보관 중앙에 화불이 표현되어 있다. 이는 목신리 보살입상이 관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방형의 얼굴은 마모가 심해 눈, 코, 입의 표현은 잘 알아볼 수 없지만, 양 볼과 턱에는 살이 많다. 귀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귀를 감싸고 흘러내린 보발은 양 어깨까지 내려와 있다.

 

지방에서 조성한 보살상으로 보여

 

목은 상당히 짧고 어깨는 위축되어 있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보살상이 흔히 걸치는 천의가 아니라, 고려시대부터 보편화된 불의형 대의를 걸치고 있다. 옷 주름은 선각으로 간략하게 중요한 부분만 표현하였다. 오른손은 가슴 앞에서 외장한 채 중지와 약지를 구부렸으며, 왼손은 가슴까지 바짝 들어 올려 여원인을 취하고 있다. 이 보살상의 높이는 155㎝, 보관 높이 25.5㎝, 상호 길이 60㎝, 어깨 폭 78㎝이다.

 

2007년 답사 때의 슬레이트 지붕 보호각

 

목신리 보살입상은 현재 마모가 너무 심하여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머리 부분이 신체에 비해 상당히 크고, 법의가 형식적인 선각으로 표현된 점이나, 양팔의 처리가 부자연스럽고 조각 기법이 서툰 점 등으로 미루어보아 고려 후기에 지방의 장인에 의해 조성된 보살상으로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