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시장은 한복 특화시장이다. 일찍이 영동시장은 한복으로 전국에서 유명세를 떨쳤다. 그런 시장에 맞게 영동시장 2층 아트포라 갤러리인 아라에는 요즈음 신랑신부의 예복과 사모관대, 족두리 등을 마련해 놓았다. 거기다가 한편에는 병풍을 치고 혼례상까지 차려져 있다. 누가보아도 전통혼례식장인 것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저희 영동시장은 한복특화시장이기 때문에 이런 혼례복도 준비를 할 수가 있죠. 다문화가정 중에서 전통혼례를 올리고 싶은 가정을 현재 섭외 중에 있습니다. 이달 30일이나 내달(12) 2일이 결혼에 길일이라고 해서, 그날 전통혼례를 올려드리려고요,”

 

영동시장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단 양재학 본부장의 말이다. 이번 달 말일까지는 누구나 와서 전통혼례복을 입고 사진을 찍으면 무료로 현상까지 해준다고 한다. 가급적이면 결혼이민자들이 많이 찾아왔으면 좋겠다고 한다.

 

 

한국식 전통혼례는 까다로워

 

우리나라의 전통혼례는 많은 절차를 갖는다. 우선은 의혼이라고 해서 혼담이 오가는 과정이 있다. 의혼에는 중매인을 통해 혼담이 오고간 후 혼인을 하기로 결정을 하면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청하는 납체로 시작이 된다. 납체에는 청혼서와 함께 신랑의 사주를 적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다음으로는 택일을 하는 연길이 있다. 연길은 신부 집에서 신랑 집에서 보낸 청혼서를 받은 후 날을 정해 혼인을 허락하는 허혼서를 보낸다. 혼례를 올리는 전날 신랑 집에서 청혼의 증서로 신부용 혼수와 혼서지를 넣은 함을 보내는데, 이날은 함진아비가 온 동네를 시끄럽게 하면서 신부 집으로 들어가는데, 이를 납폐라 한다.

 

 

대례는 혼례식을 올리는 것을 말하는데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서 혼례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것을 친영이라 한다. 전안례는 신랑이 기러기아범과 함께 신부 집에 도착하여 신부의 어머니에게 기러기를 드리는 예로, 이는 백년해로를 하겠다는 서약이다. 이어서 신랑신부가 처음으로 대면하여 절을 하는 교배례로 이어진다.

 

근배례라고도 하는 합근례는 표주박 잔을 뜻하는 근배로 사로 잔을 교환하는 의식이다. 이는 표주박잔은 하나의 박을 반으로 갈라 사용을 하기 때문에 갈라졌던 신랑신부가 다시 합쳐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후례는 혼례를 마친 두 사람이 친정에서 초례를 치룬 후 시댁으로 들어가는 신행길과 시가어른 및 일가친척들에게 선을 보이고 시가의 일원이 되는 페백이 있다.

 

 

전통혼례로 우리사회의 당당한 일원이 되었으면

 

이 전통혼례는 영동시장이 한복 특화시장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살고 있는 많은 결혼이민자들에게 무엇인가 우리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마련했다고 한다. 아직도 다문화가정의 많은 결혼이민자들이 우리나라의 생활에 적응을 못하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마련한 프로젝트라는 것이다.

 

우선은 올해는 11월 말까지 한 가정이 섭외가 되면 혼례를 올려보고, 내년도부터는 상설로 전통혼례를 올릴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혼식을 제대로 하지 못한 다문화가정 중에서 영동시장에서 혼례복을 맞추거나 한복을 맞추는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전통혼례로 새로운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죠.”

 

 

이번 달에 시범적으로 다문화가정 중에서 선정이 된 부부를 전통혼례를 올려주고, 내년부터는 상설로 전통혼례를 마련하고 싶다고 한다. 생활이 어려워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 다문화가정의 부부들이 더 많이 이 전통혼례의 혜택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