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정월 보름을 대보름이라고 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의 풍속에서는 설날과 추석 다음으로 치는 큰 명절이다. 이렇게 정월 대보름을 중요하게 여기는 까닭은, 정월의 모든 놀이문화가 이 대보름을 기해 마무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월 대보름은 입춘이 지나서 맞이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일 년의 시작을 준비하는 때이기도 하다.

정월 대보름 하루 전날은 다리밟기, 달집태우기 등 각종 놀이가 행해진다. 이 중에서 달집태우기는 정월 15일이 아닌, 하루 전인 14일에 행해진다. 달집태우기는 전국을 통해 연희가 되었던 놀이이다. 그만큼 우리들에게는 정월 대보름 전에 하는 달집태우기가 상당한 의례에 준하는 놀이였다.


달집태우기는 겨울을 녹인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지원리에서는 ‘해동화(解冬火)놀이’라고 달집태우기를 부른다. 이 말은 ‘겨울을 녹이는 불’이란 뜻을 갖고 있다. 혹은 ‘해동홰놀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 역시 ‘겨울을 녹이는 홰’라는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홰’란 막대나 짚을 이용해 만든 불을 말하는 것이다. 즉 짚을 길게 묶어 불을 붙이는데, 그것을 홰라고 부른다.

광지원리의 해동화놀이는 일제강점기에도 계속되어졌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하루를 즐기는 놀이로 발전을 하였다. 이러한 달집태우기는 그 외에도 ‘액을 태운다’는 속설을 갖고 있다. 정월 열나흘 날이 되면 사람들은 소나무와 대나무 등을 갖고 달집을 만든다. 이 달집에 생대나무를 이용하는 것도 다 나름의 이유가 있다.



생대가 타는 소리에 놀란 잡귀가 달아나

우리 풍습에는 섣달 그믐날 생대를 태우는 습속이 있다. 이것은 일 년 동안 집안에 묻어 든 잡귀를 쫒아내기 위함이다. 즉 대나무가 불에 탈 때 ‘탁탁’소리를 내는데, 그 소리에 놀란 잡귀들이 도망을 간다는 것이다. 정월 대보름에 달집을 만들 때도 소나무와 대나무를 사용하는데, 바로 그런 속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종이에 자신이 필요한 기원을 적는다. 그리고 달집에 묶어놓은 새끼줄에 그 길지를 달아 놓는다. 달집이 타면 그 기원지가 함께 타면서 서원을 이룬다는 것이다. 달집태우기는 달맞이에 이어서 하게 된다. 손에 작은 홰를 들고 달맞이를 하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달을 본 사람이 ‘망월(望月)이요’를 외치면서 달집으로 달려가, 손에 든 홰를 이용해 불을 붙이는 것이다.


서로가 연결되는 정월의 민속

정월의 민속의 특징은 하나하나가 따로 떨어져 있지만, 그 내용은 모두가 연관이 지어진다. 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그 달을 바라다보면서 가장 먼저 소리를 칠 수 있기를 고대한다. 처녀가 먼저 보면 그 해에 시집을 가고, 총각이 먼저 보면 그 해에 장가를 가게 된다는 것이다.

임신부가 먼저 보고 소리를 치면 아들을 낳을 수가 있으며, 몸이 아픈 사람이 먼저보고 소리를 치면 병이 낫는다는 속설이 있다. 하기에 저마다 홰를 손에 들고, 먼저 달맞이를 하려고 애를 쓴다. 이렇게 다양한 정월의 큰 대동놀이는 사실 달집태우기로 막을 내리게 된다.


요즈음은 대보름의 놀이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달집태우기 등 많은 대보름 놀이가, 올해는 구제역으로 인해 취소가 되었다. 하지만 달집이라는 것이 그리 어렵게 만드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조그맣게 만들어 놓고 개인놀이라도 해보는 것이 어떨지. 겨울을 녹이고 일 년 간의 액을 막는다는 사고는, 꼭 집채만 한 달집이라야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