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어르신들을 위해 동지팥죽을 쑤는 남자

 

1222일은 일 년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이다.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맞이하는 겨울의 절기 중에 한 날로, 음력으로는 동짓달(음력 11) 12일이다. 사람들은 동짓날에는 무조건 팥죽을 끓여먹어야 하는 것으로 알고들 있지만 동지는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로 구분을 한다.

 

음력의 날짜에 맞추어 동짓달 초순(초하루 ~ 10)에 동지가 들었으면 애동지, 중순(음력 동짓당 11~ 20)에 들었으면 중동지, 하순(21~ 말일)에 들어있으면 노동지라고 부른다. 올해는 중동지로 팥죽을 쑤는 해이다. 하지만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는다. 이제는 팥죽전문점이 생겨서 그런 옛 풍습도 무의미해지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애동지에 팥죽을 쑤면 집안에 있는 아이들의 피부가 마치 팥죽을 쑬 때 일어나는 기포처럼 일어난다는 속설이 전해지기도 했다. 그래서 지금도 어른들이 계신 집에서는 애동지 때는 팥죽을 쑤지 않는다. 팥죽은 붉은 팥으로 쑤기 때문에 집안에 드는 재액(災厄)을 물리친다고 한다.

 

 

 

 

동지를 작은 설(=亞歲)’로 정해

 

동지를 흔히 작은설(=亞歲)이라고 부른다. 동짓날 팥죽을 쑤게 된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소개되어 전하는데, 공공씨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신이 되었는데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역신을 물리쳤다는 것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동지를 아세(亞歲)’라고 했다. 아세란 태양의 부활을 뜻하는 것으로, 동지가 지나면 하루에 낮의 길이가 1분 정도 길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동지가 지나면 해가 노루 꼬리만큼 길어진다.’고 표현을 하기도 한다. 우리 풍속에서는 동지를 음력 설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겼다. 동짓날 팥죽에 찹쌀로 빚은 새알 옹심이를 자신의 나이만큼 넣어서 먹는데 이 팥죽을 먹어야 한 살을 더 먹는 것이라고도 했다.

 

동지팥죽은 이른 아침에 쑤어서 집안 대문서부터 곳곳에 뿌려준다. 이 모든 것은 모두 집안에 사악한 것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21일 동지 하루 전날, 팔달구 지동 창룡문로 56번길에 소재한 고려암에서는 팥죽 준비를 하느라 사람들이 바삐 움직인다.

 

 

 

 

300인 분 팥죽을 쑤어 이웃에 나누어줘

 

지난해는 팥을 여섯 말 쑤었는데 올해는 다섯 말 쑤었어요. 그 대신 찹쌀 옹심이를 많이 만들었죠. 내일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어서 10시부터 마을 어르신들을 집으로 모셔 대접을 하려고요. 매년 하고 있는 연중행사지만 올해는 더 많은 분들이 찾아오실 것 같아요. 어르신들께 대접을 할 음식이니 정성을 더 들여야죠.”

 

날씨가 푸근하다고는 해도 오랜 시간 밖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몸이 움츠려들기 마련이다. 그런 힘든 작업인데도 불구하고 오직 어르신들에게 대접을 할 수 있다는 봉사정신 하나로 평생을 보내고 있는 고성주씨. 매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동짓날에는 팥죽을 준비한다. 집으로 찾아오는 어르신들만 해도 200여명 가까이 된다.

 

몸이 불편하셔서 못 오시는 분들도 계세요. 그런 분들은 통에 담아 집으로 배달해 드려요. 팥죽 드시고 2016년 병신년에는 건강하게 지내시라고요. 한 해라도 팥죽을 쑤어 대접을 하지 않으면 무엇인가 할 일을 못한 것 같아 마음이 편치가 않아요.“

 

 

 

 

고성주씨가 쑤는 팥죽은 맛이 남다르다고 한다. 이집 팥죽을 먹어 본 사람들은 딴 곳에서 팥죽을 먹으면 제 맛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부러 통을 갖고 와 가족들을 먹을 것을 가져가기도 한다. 그래도 군말 없이 팥죽을 떠주고는 한다. 한 사람이라도 더 먹일 수 있으면 즐겁다는 것이 고성주씨의 말이다.

 

요즘 살기가 힘들다고 하잖아요. 우리 팥죽을 드시고 모두가 내년에는 건강하고 복을 많이 받으셨으면 좋겠어요.”

 

늘 주변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나누어주려고 하는 고성주씨. 다섯 말이나 되는 동지팥죽에는 그의 정성이 가득하다.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그 아름다운 마음처럼 모든 이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