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옛말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이 있다. 한가위인 추석을 가배, 가위라고도 했는데 '한가위'라는 말은 '크다'는 뜻인 '''가운데'라는 뜻인 '가위'가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또 가위라는 말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유래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전한다.

 

한가위의 다른 이름인 중추절(仲秋節)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仲秋), 종추(終秋) 세 달로 나누었을 때 음력 8월 한 가운데 들어 있다고 해서 뭍인 명칭이다.

 

추석이라는 말은 <예기>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과, 중국에서 중추(中秋), 추중, 칠석, 월석 따위의 말을 쓰는데 중추의 '()'와 월석의 '()'을 따서 추석이라 한 것이라는 주장들이 있다. 이렇듯 추석은 우리 고유한 어원이 아닌 중국의 어원이라는 설이 많기 때문에 순 우리말인 한가위라고 불러야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삼국사기>엔 우리 한가위에 대한 내력을 적고 있다. 지금부터 약 2천년전인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백성을 지극히 사랑한 유리왕은 백성들이 기쁜 마음으로 즐겁게 살기를 바라는 "도솔가"를 지어 부르게 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산업을 장려해 백성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였는데, 그 중 유리왕이 일으킨 산업 중에 하나가 바로 길쌈이었다. 왕은 길쌈 장려를 위해 6부의 부녀자들에게 내기를 시켰다.

 

우선 6부를 두 패로 나누어 편을 짜고 왕녀 두 사람을 뽑아 각각 부내(部內)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한 다음, 716일부터 날마다 6부의 부녀자들이 뜰에 모여 길쌈을 하도록 한 것이다.

 

밤늦게까지 길쌈을 한 후 일을 파하고 815일에 이르러 그 공이 많고 적음을 살펴 왕이 판결을 내리면 진편에서는 술과 떡, 과일 등을 장만해 이긴 편을 대접하였다고 한다. 온갖 푸짐한 음식을 마련해 놓고 양편은 모두 둥그런 원을 그리며 둘러 앉아 함께 먹으며 노래와 춤을 즐겼는데 이를 가배라 했다는 것이다.

 

신라 유리왕 때 서라벌에서 유래한 가배, 한가위라는 신라의 명절이 오랜 시간 전승되어 이어져 내려온 것이 오늘날 우리가 명절로 삼은 팔월 한가위의 기원이요 유래인 것이다.

 

이렇게 어원이 분명한 우리의 한가위를 두고 왜 국적도 어원도 불확실한 추석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일까? 오래도록 사용해 왔기에 귀에 익는다는 말은 맞지 않는다. 요즈음 우리글이나 말은 도대체 어디 가서 제대로 찾아야할지 혼란스럽다. 어딜 가나 모두 해괴망측한 간판에 알아들을 수도 없는 말들이 설치고 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우리말을 찾아 우리가 사용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지금이라도 추석이라는 용어보다는 '한가위'라는 역사 속의 날을 기억하야 하지 않겠는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