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청’, 한 때는 우리나라의 전통예술의 모든 부문을 총 망라한 예인들의 집단이었다. 자칫 재인청이라는 곳이 어떤 특정한 전통예술을 하던 것처럼 포장이 되기도 하는 것을 보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한 때는 재인청에 속한 수많은 기예인들이 있었고, 모든 전통예술분야를 총괄하던 곳이 재인청이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물론, 재인청은 ‘무부(巫夫=화랭이)’들이 자신들의 공동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이다. 재인청이라는 명칭을 붙인 것도 고려조부터 전해진 무기(舞技)들의 예인 집단인 ‘교방청(敎坊廳)’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재인청은 무부들의 조직이면서도 그 안에 화랭이, 광대, 단골, 재인 등 수 많은 예인들이 속해 있었으며 아주 엄한 규제가 있었다.

 

 

삼도 예인집단 재인청

 

재인청은 경기도를 비롯해 충청과 전라도에도 있었으며, 각 군마다 군 재인청이 있었다. 각 도 재인청의 수장을 대방이라고 하고, 군 재인청의 수장은 장령이라고 불렀다. 재인청에서는 선생 밑에 제자들을 두어 학습을 하게 하였으며, 전국에 산재한 많은 예인들이 이 재인청에서 학습을 하거나 재인청에 적을 두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각 도 재인청의 수장을 대방이라고 하였으며 3도(경기, 충청, 전라)의 재인청을 당시 화성재인청에서 총괄을 했던 관계로, 화성재인청의 대방을 ‘도대방’이라고 하였다. 대방과 도대방의 선출은 재인청 인원 중에서 3명을 추천을 하고, 그 이름 밑에 권점이라는 점을 찍어 다수표를 얻은 사람이 맡아보는 직선제 선출을 하였다. 당시에도 상당히 민주적인 방식의 선거를 했음을 알 수가 있다.

 

 

까다로운 규제 속에 생활을 한 재인청

 

재인청은 그 규제가 까다로워 스스로의 천시 받는 형태를 벗어나기 위해 당시에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스승에게 예를 갖추지 않거나 주정을 하면 태장을 칠 정도로 엄한 규제 속에서 조직을 이끌어 갔다. 1920년대 일제의 문화말살 정책에 의해서 재인청이 폐청이 될 당시, 재인청에 속한 인원이 3만 여명에 이르렀다는 것으로 보아도 당시 재인청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지금도 경기도 내의 여러 곳에 보면 광대마을, 혹은 재인마을로 불리는 곳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지난 날 군 재인청이 있던 곳으로 보인다. 재인청이라는 곳이 춤을 추거나, 단지 소리를 하거나 하는 예인의 집단이 아니다. 재인청이란 한 마디로 3도에 있던 모든 예인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거대 기, 예능조직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제인청의 춤을 잇는 사람들

 

7월 16일(화). 수원시 팔달구 지동에 있는 재인청 춤을 추고 있는 곳을 찾았다. 창밖으로는 화성이 보인다. 그곳에서 5명의 춤꾼들이 땀을 흘리며 열심히 춤을 추고 있다. 바라춤, 무녀도, 재인청 기본무, 재인청 살풀이 등이다. 근 두 시간 정도를 땀을 흘리며 춤을 추고 있는 사람들. 김성용(여, 66세. 조원동), 김현희(여, 58세. 영통동), 박옥희(여, 48세. 매탄동), 유미녀(53새. 용인 고매동), 박영옥(여, 50세. 용안 동백동) 등이다.

 

재인청의 춤은 고 운학 이동안 선생이 행궁 옆 화령전에 기거를 하면서 사람들에게 전수를 시키면서 그 맥이 이어졌다. 이동안 선생은 어린 나이에 재인청에 속한 예인으로, 많은 재인청의 기, 예능을 학습한 예인이다. 이날 재인청의 춤을 전승한 사람들은, 그러한 재인청의 춤을 어려서부터 배운 고성주의 춤 맥을 잇고 있는 춤꾼들이다.

 

 

춤을 추는 이유는 각양각색

 

이들은 대개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30년 이상을 춤을 추어온 사람들이다. 30년이나 춤을 추었다는 김성용씨는

“그동안 춤을 추면서 여러 가지 춤을 다 배워보았어요. 그러나 재인청 춤은 나름대로 독특한 면이 있어요. 아무래도 무부들의 춤이다보니 남성적이고. 딴 춤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춤사위가 많아요. 그래서 재인청의 춤은 매력이 있죠.”라고 한다.

 

이제 춤을 추기 시작한지 5년이 되었다는 김현희씨는

“어려서부터 춤이 추고 싶었지만 그럴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어요. 이제는 아이들도 다 컸고 해서, 무엇인가 나만의 즐길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죠. 그래서 찾은 것이 재인청 춤이었고, 이제는 이 춤을 추면서 나름 건강도 찾았고요”

 

‘백인백색(百人百色)’이라 했던가? 한 자리에서 춤을 추는 것은 동일하지만 그녀들의 춤을 추는 이유는 나름대로 특색이 있다. 재인청 춤을 학습하는 사람들 중 막내인 박옥희씨.

“저는 원래 운동을 좋아해 운동을 열심히 해왔어요. 그러다가 좀 더 색다른 것을 해보고 싶었는데, 우리 춤이 저한테 맞는 것 같아서 춤을 추가 시작했어요. 이제는 춤을 춘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행복하죠.‘라고.

 

어려서부터 춤을 추고 대학에 들어가서도 춤을 추었다는 유미녀씨는

“재인청 춤은 딴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춤사위가 있어서 어렵지만, 그래도 춤을 추다가 보면 정말 매력이 있어요. 재인청 춤을 배우고 그것을 무대에까지 끌고 올라갈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성취욕을 느낄 수도 있고요.”라고 한다.

 

시골에서 공부를 하면서 춤이 추고 싶었지만 무용학원이 있는 도시로 나올 수가 없어, 무용과를 들어가지 못하고 일반 학과를 지원했다는 박영옥씨.

“시골에서 살다가 보니 고등학교까지는 열심히 춤을 추었어요. 그런데 많은 학원비를 감당하기도 어렵고, 무용과에 들어가고 싶다고 부모님들께 이야기를 못했죠. 이제 재인청 춤을 추면서 그동안 가슴에 맺힌 한을 푸는 것 같아요”란다.

 

춤을 추는 이유는 같지가 않다. 하지만 그녀들이 무대에 올라 춤을 춘다는 것은 한결같다. 독특한 재인청의 춤에 매료가 되어, 이제는 춤을 멈출 수가 없다는 것이다. 재인청의 춤은 그렇게 맥을 이어가고 있다. 3만 여명이나 되는 예인집단에서 추어지던 많은 춤들이, 오늘도 수원 화성이 바라다 보이는 곳에서 그 맥을 잇고 있는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