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살에 내림을 받았습니다. 그 전부터 이미 신통이 되었는데 계속 거부를 하고 있었던 것이죠. 그런데 너무 많이 아팠습니다. 그래도 제가 종가집에 종부인데 어떻게 이 길을 걷겠어요. 당시만 해도 무당이라고 하면 사회에서 손가락질을 할 때인데요. 그리고 시집이 천주교를 믿기 때문에 아무도 제가 이렇게 하는 것을 이해해 주지 않았죠.”

 

사연이 없는 기자(祈子)란 없다. 누구나 내림을 받기 전에 고통을 먼저 받는다. 대개는 이를 무병(巫病) 또는 신병(神病)이라고 한다. 신병은 여러 가지로 찾아온다. 물질적으로 오는 경우는 이유 없이 많던 재산을 탕진하게 된다. 딱히 돈을 나갈 이유도 없었지만, 나가게 만드는 것이다.

 

 

시집을 와서 찾아온 신병

 

또 한 가지는 정신적인 신병이다. 헛것이 보이는 환시(幻視) 현상에, 소리가 들리는 환청(幻聽) 현상까지 겹친다. 지나가는 사람들을 붙들고 아는 소리를 하는가 하면, 밤새 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병원에 가도 병명이 나오지 않는다. 보통 사람과 다를 바가 없다. 물질적인 고통과 정신적인 고통이 함께 찾아오면 그 누구도 버티기가 힘들다.

 

결국엔 내림을 받게 되고 만다. 그리고 나서야 아프던 몸도 나아지고, 우환이 들끓던 집안도 잠잠해진다. 신병을 앓으면서도 계속 내림을 받기를 거부하면 급기야는 인다리현상이 나타난다. 주변에 가족들이 한 사람씩 죽어나가는 것이다. 인다리란 사람으로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다. 그만큼 거역할 수 없는 것이 바로 신병이다.

 

남편도 믿어주지 않았어요. 제가 이런 신병이 있다는 것을요. 참 갑갑한 시간이었죠. 결국엔 대소변을 받아내고 몸이 가루가 되는 듯한 고통이 와서야 내림을 받았죠. 세류동에 거주하시던 정종화 선생님께 내림을 받았는데, 당시는 수원에서 가장 잘 불리는 분이셨어요.”

 

 

신혼 초부터 이상한 것들이 보여

 

23세에 결혼을 했다. 그런데 신혼 때 시집의 조상을 보았다고 한다. 종가집이다 보니 집안에 식솔들이 많아 새벽 4시면 일어나 밥을 해야 하는데, 할머니 한 분이 마당에 있더라는 것. 세를 들어 사는 집 손자가 말썽을 피우고 도벽이 있어 할머니가 걱정이 되어서 마당을 서성이는 줄 알았다고 한다.

 

저는 선을 보고 두 달 만에 결혼을 했어요. 그런데 시집을 와서부터 시집의 조상님들을 보기 시작했죠. 그 할머니한테 아이가 속을 썩이느냐고 물었는데 갑자기 소름이 끼치는 거예요. 뒤돌아보니 할머니가 보이지 않고요. 대개 시어머님이 시장을 저녁에 가는데 그날따라 일찍 장을 보러 가자고 하시데요.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니 시할머니 제사다라고 하시잖아요. 제가 본 할머니가 바로 시할머니였던 것이죠.”

 

그런데 시할머니 제사라는 말을 듣는 순간 울컥하더라는 것이다. 살아서 잘해주지 죽은 다음에 잘해주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는 생각이 들면서. 그러더니 억울하고 분하다라는 말이 튀어 나왔단다. 그런 일이 있은 후 너무 몸이 아파서 내림을 받았지만, 남편은 사람취급도 해주지 않았다. 눈물로 점철 된 시간이 흘렀다.

 

 

재주는 신령이 주지 않아요.”

 

남들은 신을 받고나면 모든 것이 편해진다고 했는데, 신을 받고나서도 고통은 가시지를 않았다. 벌써 28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세 번이나 변한 것이다. 그동안 남편도 사업에서 손을 땠다. 그리고 지금은 임영복 소장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있다고 한다.

 

시집을 왔을 때 큰 농장을 운영했어요. 연무동에서 갈비집도 크게 했고요. 그런데 어느 날 꿈을 꾸는데 비가 오고 물이 넘치면서 쪽박 하나가 그 물에 둥둥 떠다니더라고요. 한 마디로 쪽박을 찬다는 뜻이죠. 정말 얼마 지나지 않아 그렇게 되고 말았어요.”

 

12거리 전수소 임영복(, 59)소장. 굿판에서 만난 그녀는 굿이 남다르다. 요즈음 들어 선거리 굿을 한다고 하면 소리 지르고 껑충대고 뛰기가 일쑤이다. 하지만 임영복 소장의 굿채는 남다르다. 품격이 느껴진다. 곱게 걷고, 소리 잘한다. 그런 임영복 소장이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235-15 자신의 자택 지하에 연구소를 개설했다.

 

 

경기지방의 굿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무당성주기도도차서(巫堂城主祈禱圖次序)에 기인한다. 그런 굿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사람이다. 한 마디로 영험은 신령이 주지만 재주는 배워야 한다.’는 옛말처럼, 제대로 굿채를 익힌 사람이다. 그래서 자신의 제주를 모든 기자들에게 알려주고 싶다고 한다.

 

요즘 기자들의 굿을 보면 저것이 과연 굿인가 할 정도로 민망할 때가 있어요. 굿은 장단, 사설, , 소리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합예술입니다. 거기다가 신탁인 공수까지 곁들여야죠. 그런데 그런 채가 보이질 않아요. 그래서 12거리 전수소를 열고 1:1로 재주를 알려주려는 것이죠.”

 

굿판에서 만난 임영복 소장의 굿은 아름답다. 장단 잘 치고 소리 잘한다. 풍부한 문서까지 익혔다. 그래서 늘 굿판에 불려 다닌다. 이런 만신들을 보고 청배만신이라고 한다. 벌써 10년 세월 그렇게 팔도를 다니면서 굿판에 섰다. 그 재주를 공유하겠다는 것이다. 언제 또 그 신명나는 굿을 볼 수 있을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