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임실군 오수면에는 고려 말인 1352경에 해경대사와 월산대사가 창건하였다 하여,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해월암이라 부르는 암자가 있다. 그 암자를 오르는 길은 걷기에는 조금 가파른 산길이다. 그 산길을 오르다가 보면 우측으로 내를 내려다보고 있는 정자가 있다.

 

신포정. 앞으로는 오수면을 가르는 내가 흐르고 있고, 여름이면 녹음이 우거져 많은 피서객들이 찾아드는 곳이다. 신포정에서 내려다보이는 개울에는 아직은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잡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아마도 아직은 이 내가 그래도 인간들로 인해 오염이 심하게 되지 않은 듯하다.

 

 

 

색다른 정자 신포정

 

개울가 벼랑위에 서 있는 신포정은 지금까지 보아왔던 정자와는 다르다. 정자의 출목에 돌출되어 있는 봉황의 조각이 세 곳으로 나뉘어져 있다. 일반 정자에서는 보기가 힘든 형태이다. 정자 안으로 들어가니 대들보 밑으로 청룡과 황룡이 머리를 내밀고 있다. 천정반자도 돌출되어 있어 특이하다. 그런데 황룡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청룡은 물고기를 물고 있다.

 

신포정은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지 않아, 정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어 아쉽다. 다만 정자의 여기저기를 살펴보니, 부재나 석물 등을 살펴볼 때 100여년 정도는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포정이라는 현판은 금산사의 현판을 쓴 사람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돌출된 천정반자를 보니 네 귀에 자라가 달려있다.

 

 

 

용과 자라가 주인인 신포정

 

물고기를 물고 있는 청룡, 그리고 반자에 달려있는 자라. 이것은 아마 이 앞을 흐르는 내가 예전에는 배가 드나들지는 않았을까? 누군가 이곳에 정자를 짓고, 포구를 드나드는 배들과, 섬진강 줄기를 따라 오르내리는 수많은 뱃사람들의 사연을 즐겨 들었을 것이다. 지금은 외롭게 서 있는 정자 신포정.

 

여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피서를 한다는데, 나그네들은 이 신포정에 얽힌 이야기 한 토막 알고는 있을까? 정자의 형태나 여러 가지 조각기법, 그리고 앞으로 흐르는 내를 보아 이 신포정은 또 다른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이야기조차 해 줄 수 있는 이웃을 만날 수 없음이 안타깝다.

 

 

 

주변에 물어보아도 신포정에 대해서 아는 이들은 없다. 그저 오래전부터 그곳에 서 있다는 것 외에는. 정자 밑을 흐르는 내를 보니, 예전에는 꽤 큰 물줄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은 외롭게 길가에 서 있는 신포정은 찾는 이들 조차 없이, 무심한 바람만이 골을 휘감아 돈다.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사선대는, 예전에 신선이 놀던 곳이라고 한다. 이곳을 ‘사선대(四仙臺)’라고 하는 이유는, 옛날 진안의 마이산과 임실 오원산의 네 산신들이, 오원강 기슭에서 까마귀 떼와 함께 목욕을 하고 있는데, 하늘에서 선녀들이 내려와 신선들을 모시고 올라갔다고 전한다. 그 후 해마다 선녀와 신선들이 이곳에 내려와 놀았다고 전한다.

 

사선대 위에 아름다운 정자 하나가 자리를 잡고 있다. 신선이 놀던 자리에 지었다는 운서정. 운서정은 아래쪽으로 흐르는 내를 내려다보면서, 절벽 위에 솟구치듯 서 있다. 1928년부터 김승희가 부친 김양덕의 추모하기 위하여, 당시에 쌀 3백석이라는 비용을 들여 6년여에 걸쳐 지은 정자다.

 

 

절로 바뀐 운서정

 

운서정은 전주 - 남원 간 17번 국도를 따라 가다가 관촌 입구 대원주유소 삼거리를 지나쳐서 오원교를 건너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진안 방면으로 진입하면 된다. 남원 방면으로 가다가 보면 사선문이 서 있는데, 사선문 곁으로 난 진안으로 들어가는 길을 따라가면 사선사라는 이정표가 있다.

 

아니면 사선문에서 차를 내려 좌측 등산로를 따라 들어가면 백제 무왕 때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미산성(城嵋山城)에 이르는 등산로를 따라서도 운서정에 도착할 수 있다. 현재 운서정은 대한불교 조계종 사선사라는 간판이 붙어있다.

 

 

 

 운서정의 출입문인 가정문과 운서정, 그리고 현판


원래 운서정은 정각과 동, 서재, 그리고 가정문 등으로 이루어진 전각이었다고 한다. 일제 치하에서는 우국지사들이 모여 망국의 한을 달래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운서정은, 조선조 건축양식의 대표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운서정은 좋은 목재와 돌기둥 등을 이용하여 지은 건물로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절로 감탄을 하게 만드는 운서정

 

운서정 앞으로 걸어가다가 보면, 가정문을 보면서부터 감탄사가 절로 터져 나온다. 날렵하게 서 있는 솟을대문에 ‘가정문(嘉貞門)’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좌측 벽에는 <사선대 사선사>라 쓴 현판이 부착이 되어 있고, 안으로 들어가니 운치 있는 돌계단 위에 운서정이 자태를 뽐낸다.

 

 

 

 정자에 사용한 치목이나 조각들을 보면 이 정자가 뛰어난 조형미를 갖춘 정자임을 알 수 있다


하늘 닿게 높다라니 솟아 뒤로 구름을 배경삼은 운서정.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좌우로는 사선사의 인법당과 요사가 보인다. 운서정에는 동, 서재가 있다고 했는데 이 건물들이 동, 서재인 듯하다. 그러나 동서재의 옛 모습과는 많이 달라진 듯 그 자태를 찾아볼 수가 없다. 운서정은 돌계단을 올라 자리하고 있다. 돌계단을 오르면서 보면 거대한 돌로 주추를 놓았는데, 주추에도 조각을 해 놓았다.

 

오원천과 함께 어우러진 이 정자, 신선이 놀만하네

 

운서정은 정말 운치가 있는 정자이다. 아래로는 오원천이 흐르고 있어 절경에 자리 잡고 있다. 운서정을 보니 지금은 문이 없으나, 문을 올려 걸어놓을 수 있도록 전각을 빙 둘러 고리가 달려있다. 전각의 단청이나 조각 등 하나하나에도 세심한 신경을 쓴듯하다. 중앙에는 두 마리 용이 양편에서 전각의 천정을 휘감고 있다.

 

 

 

 

다양한 조각으로 장식한 운서정. 정자 외부에도 용머리를 조각하였다. 처마를 받치고 있는 활주의 주추가 특이하다(아래)


밖으로도 입을 딱 벌린 용머리를 조각해 그 멋을 더하고 있다. 어디서 바라보아도 흐트러짐이 없는 정자의 모습에 그저 감탄이 절로 나올 뿐이다. 운서정을 나와 오원천을 밑으로 난 길을 걸으면 가칭박달나무 등 천연기념물을 만날 수도 있다. 그저 아무 생각없이 걸어볼 수 있는 길. 아마 신선들이 이곳을 찾은 이유도 이러한 경치 때문이란 생각이다. 나그네의 발길을 멈추게 한 정자 운서정은, 그렇게 절집으로 변해버렸지만 그 멋진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정자란 나에게는 참 묘한 곳이다. 남들은 그저 정자를 보면 ‘참 아름답다’거나 ‘주변 경관이 훌륭하다’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왜 난 정자들을 볼 때마다 하나하나 곰꼼이 따져보아야만 하는지. 그저 나도 남들처럼 정자려니 하고 지나치면 가슴 아픈 일도 없을 것을. 일일이 따져보다가 괜한 상처를 입기도 한다.

 

전북 장수군 번암면 죽산리, 죽산 입구 북쪽 냇가 산기슭에 정자가 서 있다. 작은 내를 건너 찾아간 곳은 내를 끼고 들어가는 곳이다. 정자 앞에는 상추를 심은 밭이 있는, 무주를 거쳐 남원으로 내려가는 길에서 만난 만취정이다.

 

 아름다운 돌담과 좁디좁은 일각문, 그리고 뒤로 보이는 정자의 활주가 발길을 붙잡는다


길도 막혀버린 정자 만취정

 

만취정을 오르려는데 마땅한 길을 찾지 못해, 비탈진 곳을 찾아 기어오르듯 정자로 향했다. 담장을 두른 정자 정면에 작은 문을 두었다. 안으로 들어가 보니, 세상에,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그대로 방치되어 퇴락해져 가고 있다. 목조 누각에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만취정은 6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글의 내용으로 보아 이 정자는 1929년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정자에 걸린 게판에는 남평 문석린의 만취정 상량문을 비롯해, 숭록대부 예조판서 원임, 규장각 제한 안동 김종한 등이 쓴 만취정기가 보인다.

 

 

 

그리고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역시 만취정 팔경이다. 성산귀운(聖山歸雲), 기령숙무(箕岺宿霧), 죽림청풍(竹林淸風), 국포추월(菊圃秋月), 반계어가(磻溪漁歌), 사평목적(社坪牧笛), 취봉낙조(鷲峰落照), 용림모우(龍林暮雨) 등을 들었다. 이 만취정 팔경만 보아도 이 정자가 얼마나 운치가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렇게 퇴락해져 가고 있는 것일까?

 

퇴락해가는 정자, 주인은 어델가고

 

정자 안으로 들어가니 꽤나 단아하다. 이 정자의 주인은 멋을 아는 사람이다. 한 눈에 보아도 정자에 많은 공을 들였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죽림청풍이라 했던가? 정자의 뒤로는 대나무가 서 있다. 바람이 부니 와사삭하는 대잎 부딪는 소리가 들린다. 이런 소리를 만취정 팔경 중에 넣어 멋을 일궈냈다.

 

 

 

정자 옆 암벽에도 만취정이라 음각을 한 글이 보인다. 그것이 만취정의 멋을 더한다. 창호 하나에도 정성을 쏟았다. 이런 정자가 주인을 잃어 사그라진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 만취정 앞으로 내가 흐른다. 맑디맑은 물이 흐른다. 그리도 만취정 좌측 조금 떨어진 곳에 빨래터가 있다. 바로 이런 멋을 알기 때문에 만취정의 주인은 이곳에 정자를 지었을 것이다.

 

앞을 흐르는 냇물과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아낙네들. 그 빨래터에서 도란거리는 소리가 들려오는 정자에서 대바람 소리를 들으며, 술 한 잔과 시 한 수가 있었다면 이보다 더한 풍취가 어디 있을까? 만취정은 그런 자리에 몸을 낮추고 앉아있다.

 

왜 퇴락한 정자만 보면 눈물이 나는지

 

이 아름다운 만취정이 부서지고 있다는 것이 아프다. 왈칵 눈물이 쏟아진다. 왜일까?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어쩌다가 이리 손을 보지 못해 망가지고 있을까? 정자 뒤로 돌아가니 아궁이가 보인다. 뒤를 제외한 삼면에 마루를 내고, 그 가운데 방을 드렸다. 이곳에서 사시사철 주변을 돌아보며 세월을 낚았을 것이다.

 

 

 

그것도 부족하면 앞을 흐르는 내에서 작은 물고기라도 잡는 천렵을 하지는 않았을까? 그저 정자에 올라만 있어도 흐뭇하다. 모든 것을 상상만 해도 즐거운 정자. 그것이 바로 만취정이다.

 

만취정을 돌아보고 떠나면서도 자꾸만 뒤를 돌아보게 된다. 행여 저 만취정은 어느 날 다 사그라져 버릴 것만 같아서다. 몇 번이고 눈 안에 담아두고 떠나는 길에, 갈 까마귀 한 마리 저리도 서럽게 운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인 이목대와 오목대는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1-3번지에 소재한다. 교동 한옥마을의 동편 언덕 위에 자리한 이 이목대는 조선 태조의 5대조인 목조(穆祖) 이안사의 출생지로 전하여 오는 곳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 공 이후 목조에 이르기까지 누대에 걸쳐 이곳에서 살았으나, 목조대에 이르러 관원과의 불화로 함경도로 이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러한 이목대에는 사실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운 이성계와는 땔 수 없는 많은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이목대에서 밑으로 즐비하게 지붕을 맞대 잇고 있는 한옥촌들도, 그러한 이성계의 뜻을 정하는데 일조를 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풍운가’에 건국의 뜻을 담아

 

이목대는 잘 지어진 정자로 언덕 위에 서 있다. 이목대의 누각에 오르면 밑으로 전주한옥마을의 지붕들이 펼쳐진다. 그 또한 멋스럽다. 정자 안에는 두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그 중 하나에는 '대풍가'라고 하여서 '풍운 속을 일어섰다. 위세천하에 떨치고 고향에 돌아오니 모두 수그려 우러러 맞네'라고 적혀있다.

 

이는 오목대가 이성계가 고려의 3도순찰사로 있을 당시 군사를 이끌고, 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금강으로 침입한 왜구가 퇴로를 찾아 남원으로 내려오자, 장군이 이들을 맞아 운봉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는 길에 오목대에서 개선 잔치를 베풀었다고 전하는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한 시문으로 보인다.

 

 

 

오목대는 누각 안에 고종황제의 친필로 썼다는 '태조고황제주필유지(太祖高皇帝駐필遺址)'라는 비석이 서있다. 이 비석은 고종황제에 의하여 광무 4년인 1900년에 건립된 것이다. 한옥마을을 돌아보고 나무로 만든 계단을 올라 찾아간 오목대. 비문을 촬영하려고 안으로 들어가니 경보가 울린다.

 

황당한 문화재 보호, 볼 수 있도록 해주어야

 

문화재를 답사하는 사람들이 안을 들어가 비문을 볼 수 없다고 하면, 그 친필을 확인조차 할 수 없는데, 그저 밖에서만 보라는 것인지. 요즈음 문화재를 과잉보호 하는 것을 보면 가끔은 짜증이 나기도 한다. 필요에 의해서 그것을 보려고 하면 복잡한 주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문화재들이 이렇게 보지도 못하고 촬영도 못하게 한다. 시간을 내고 많은 경비를 들여가면서 하는 문화재 현장답사. 이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래서 가끔은 막무가내로 촬영을 하다가 다투기도 한다. 보호를 한다고 무조건 막을 것이 아니라, 좀 더 노력을 하여 사람들이 충분히 보고 그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으면 좋을 듯하다.

 

이목대 누각 위에서 내려다본 한옥마을의 지붕들이 머리를 맞대고 이어져 있어 더욱 이곳이 아름답다. 긴 세월 이 근동은 전주이씨들의 터전이었다. 아마도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이곳에서 깊은 뜻을 정한 것은 아니었을까? 밑으로 보이는 한옥마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길을 누비고 즐거움을 느끼고 있지만, 정작 이 이목대에서 600여 년 전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알고는 있을까? 바람 한 점이 땀을 씻어간다.

 

사진 한 장만 갖고도 그 정자의 아름다움을 알아 볼 수가 있다. 그저 주변 경치로만도 이 정자는 예사 정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정자를 만난다는 것은 즐거움이다. 그리고 그런 즐거움을 안겨 준 정자의 기억은 잊히지가 않는다.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는 곳에 자리 잡은 수많은 정자들. 정자를 답사하다가 보면 참으로 아름다운 정자들이 많다. 어느 정자인들 산천경계를 중요시하지 않았을까? 그만큼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있는 정자들은, 바로 스스로 자연이 된다. 그 중에서도 잊히지 않는 정자가 있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62호 열화정(悅話亭)은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강골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정자 하나로도 집의 역할을 감당해 내

 

열화정은 조선 현종 11년인 1845년에 이재 이진만 선생이 후진 양성을 위해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이곳에서 이재의 손자인 원암 이방회가 당대의 석학 영재 이건창 등과 학문을 논하는 등 많은 선비들이 수학하였다고 한다. 열화정은 이 지방 선비들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했는데, 구한말 때 일제에 항거해 싸웠던 이관회, 이양래, 이웅래 등 기개 높은 의인 열사를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열화정은 소박한 구조의 건물은 주변의 정원시설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해가 설핏 넘어가기 전에 바쁜 걸음으로 찾아간 열화정. 돌계단을 올라 열화정을 바라보는 순간, 숨이 탁 막힌다.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정자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운치 있는 정자는 처음이다. 아마도 이런 정자 하나를 만나기 위해, 그 긴 시간을 거리에 있었나 보다.

 

단골 영화촬영지인 열화정

 

크지도 않고, 마을의 뒤편에 소박하게 자리하고 있는 열화정. 누각으로 한편을 지어 그곳에는 연정(蓮亭)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봄이 되면 정자 앞에 작은 연못에 연꽃이라도 피어나는가? 연정인 누각의 앞쪽에는 작은 연못이 있어, 이곳에 연꽃이 많이 피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못의 한편에는 물이 차면 빠져나가 정자 앞의 작은 계곡으로 물이 흐르도록 만들었다.

 

정자를 한 바퀴 돌아본다. 보면 볼수록 참으로 단아하다. 한편은 벽을 안으로 넣어, 방에 군불을 지피는 사람이 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사소한 것 하나에서도 지은이의 아랫사람들을 배려하는 마음이 엿보인다.

 

정자의 마당에는 여기저기 오래 묵은 꽃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뒤편으로는 울창한 산림과 대밭이 있어 운치를 더하고 있다. 상상을 해보아도 열화정이 지니고 있는 멋스러움을 알 것 같다. 사계절 그 모습이 다 달라질 것 같은 모습에서 더욱 더 찬사를 아낄 수가 없다. 영화 <서편제>와 <태백산맥>, 김대승 감독의 <혈의 누> 등에 이곳 열화정이 보인다. 열화정은 그만큼 자연 그대로를 보여주는 아름다움을 지켜가고 있다. 봄철 연꽃이 작은 연못을 아름답게 수놓는 날, 이곳을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