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서 이건한 대가집

한국민속촌 안에 들어가면 몇 채 안되는 와가 중 하나가 제9호 집이다. 남부지방의 대가로 불리는 이 집은, 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 있던 대가집을 그대로 한국민속촌으로 이건을 한 집이다. 이 집은 가옥 전체에 누마루와 툇마루 등이 고르게 배치가 되어있어, 호남지방의 특유의 집의 형태를 알아 볼 수가 있다.


이 집의 전체적인 꾸밈은 튼 ㅁ 자 형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ㄷ 자 형의 안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좌측에는 ㄱ 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우측에는 l 자형의 광채가 자리하고 있다. 거기에 문간채가 한편을 막고 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큰 ㅁ 자가 된다. 이 집의 특징은 집이 상당히 큰 집인데도 불구하고, 아기자기한 면이 돋보이는 집이다.

누마루의 여유, 대가 집의 특징

집안은 한꺼번에 다 소개한다는 것이 가끔은 버거울 때가 있다. 특히 ‘고래등 같다’고 표현을 하게 되는 집들은 대개가 그 안에 이야기도 많은 법이다. 그러다 보면 몇 번으로 나누어야 그 집의 모습을 제대로 소개할 수가 있을 듯하다. 한국민속촌의 9호 집 역시 그러한 집 중 한 곳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놓여있는 사랑채. 아마 이 집이 대개집이 아니라고 해도, 이런 사랑채 한 채를 갖고 있다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을 듯하다. 한편을 ㄱ 자로 달아내어 누마루를 놓았다. 누정과 같이 주추위에 기둥을 놓고 땅에서 떨어지듯 조성을 했다. 말은 사랑채의 누마루방이지만, 그대로 정자가 되는 그런 형태이다.

집안 여인들의 편의를 돕는 동선

누마루정에서 사랑채로 들어가는 앞으로는 길게 마루를 놓았다. 그리고 그 마루로 인해 모든 방에 연결이 되어진다. 이 대가집의 사랑채는 방을 앞뒤로 나누어 들인 것도 특징이다. 누마루 정자 뒤편으로도 마루를 놓고, 그 안편으로 방을 드렸다. 두 개의 방을 이어놓았으며, 그 다음은 다시 마루를 놓고 두 개의 방을 또 앞뒤로 드렸다.




그리고 부엌은 안채쪽의 사랑채 뒤편에 드리고, 부엌을 드나드는 곳 역시 안채 쪽에 가깝게 붙여놓았다. 이렇게 안채에서 쉽게 사랑채의 부엌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은, 안주인이 아랫사람들을 시켜 사랑채에 불을 떼거나 손들을 접대하기 쉽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여인들의 동선을 최대한으로 짧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안채를 보호하는 작은 배려도 돋보여

전남 무안에서 옮겨 온 이 대가집의 사랑채는 왜 방을 앞뒤로 놓았을까? 외부에서 방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입구는 앞, 뒤로 되어있다. 그리고 그 앞쪽의 입구는 집의 주인이 주로 사용을 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뒤쪽에 자리한 방은 입구를 따로 꾸며 놓았을까? 별도로 방으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이렇게 안채를 바라보지 않도록 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바로 집안 여인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사랑채에 외간 남정네가 묵더라도 안채의 여인들이 신경을 덜 쓰도록 한 것이다. 사랑채에 딸린 부엌도 안채에서 가깝게 한 것이나, 부엌을 출입하는 별도의 길을 마련한 것들도 모두 여인들을 위한 동선을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택 한 채를 돌아보는 즐거움. 그 집의 형태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그 모양새를 찬찬히 살펴본다면 그 집안만이 갖고 있는 재미를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고택답사가 즐거운 것이기도 하고. 아무튼 이 호남 대가집의 사랑채, 그동안 수많은 탈렌트들이 이곳에 발을 디뎠다. 일일이 열거를 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하니, 이 집 민속촌으로 옮긴 덕에 별별 향수내를 다 맡는 듯하다.

용인시에 소재한 한국민속촌에 들어가서 제8호 집을 찾으면, ‘무명베틀집’이라는 간판이 붙은 북부지방의 민가를 만날 수가 있다. 이 집은 장터로 들어가는 길가에 자리를 하고 있으며, 밖에서도 쉽게 찾을 수가 있다. 열려진 방안에는 베틀이 놓여있고, 운이 좋으면 방안에서 베를 짜는 모습도 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제8호집은 북부지방의 전형적인 민가를 복원한 것으로, 중부지방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ㄱ 자형의 안채와 - 자형의 문간채, 그리고 광채가 튼 ㅁ 자형으로 배치가 되어있다. 하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이 북부지방의 민가에는 마루나, 마루방이 없다는 점이다. 추운지방에서는 방안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방이 넓다는 것도 이 북부지방 민가의 특징이다.


평북 선천군의 심천면의 특이한 사랑채

2월 18일에 돌아본 한국민속촌. 민속촌에 자리하고 있는 50여 채의 가옥을 소개하기 위해 집집마다 세밀하게 돌아보았다. 수도 없이 들린 민속촌이지만, 이번 답사는 남다른 재미를 더해주었다. 우선 한 자리에서 전국의 집마다 갖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도 즐겁지만, 각 지방마다의 집의 규모나 특징을 한 눈에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즐거움 때문이다.

쉽게 갈 수 없는 지역의 집들로는 평남 안주군 가옥, 경기 개성군 개성읍의 가옥인 11호 집과 23호 집, 그리고 함남 북청군 북청읍의 집인 25호 집과, 평북 선천군의 집인 8호 집 등이다. 이 8호 집은 대문채 곁에 사랑채를 붙이고, 그 안에 ㄱ 자형의 안채를 놓았으며, 그 곳을 막아 광채를 놓아, 바람이 집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8호 집은 평안북도 선천군 심천면 인두리의 집을 복원한 것이다. 대문채와 사랑채가 붙어 있다. 위는 대문을 들어서면 바람벽이 없이 개방이 되어 디딜방아간과 붙어 있는 모습, 아래는 사랑채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디딜방아를 놓았는데, 벽이 없이 개방이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좌측으로는 세 칸으로 된 사랑채가 붙어있다. 사랑채는 대문 쪽에 부엌을 두고, 그 옆에 사랑방과 위방을 놓고 있다. 사랑방의 뒤편으로도 문을 내었으며, 그 문들은 각각 밖으로 통해있다. 외부인이 출입을 할 때는 굳이 안채가 있는 마당을 총하지 않고도, 사랑을 이용할 수 있는 지혜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안채의 방보다 큰 쓰임새 많은 부엌

평북 선천군 심천면 인두리의 민가에서 보이는 안채 또한, 일반적인 중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안채와는 많이 다르다. 이 안채는 서편으로부터 방을 두 개를 드리고, 그 다음에 큰 부엌을 두고 있다. 그리고 꺾인 날개부분에 작은 방인 건넌방 하나를 더 두고 있다. 즉 위방과 안방, 그리고 부엌과 건넌방의 형태로 꾸며 놓았다.




안채는 위방과 안방, 그리고 넓은 부엌과 꺾안 부분의 건넌방 모습이다. 방에서 작업을 주로하기 때문에 방이 넓고, 부엌도 넓다.


위방과 안방의 앞에는 툇마루를 놓았는데, 이 툇마루는 길에 이어진 중부지방의 튓마루와는 다르다. 꼭 놓여있어야 할 필요가 없는 툇마루라는 것이다. 아마도 이 툇마루는 이동을 할 수 있었을 것만 같다. 그리고 벽이 돌출이 되게 큼지막하게 조성을 한 부엌이 있다. 이렇게 부엌을 크게 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평북 선천군의 북부지방 민가에서 보이는 부엌은 상당히 넓다. 그 이유야 많겠지만 우선 안방과 건넌방의 아궁이가 한 부엌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또 추운 날씨 때문에 더운 물을 많이 사용해야 하는 북부지방에서는, 솥을 많이 걸어놓는 것도 부엌이 넓어야 하는 이유가 될 것이다. 아마도 이 넓은 부엌을 이용해 땔감 등도 부엌 안에 쌓아 두었을 테고.



사랑채의 끝과 안채의 끝 사이에는 두 칸의 광채가 자리한다. 광채가 이렇게 막고 있는 이유는 강한 바람을 막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지금은 갈 수 없는 땅에 있었던 평북 선천군 심천면의 민가. 이러한 한 채의 복원된 집을 보면서 느끼는 감회가 남다른 것은, 보고 싶어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북녘에 고향을 둔 많은 사람들이 이 집에 오면, 오래 머물다간다는 설명이 충분히 이해가 간다.

충주시 엄정면 미내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5호 윤민걸 가옥은, 윤민걸의 고조부인 윤양계가 살던 집이라고 한다. 전형적인 양반가 한옥으로 지어진 이 집은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안담이 있고, 중문을 들어서 사랑채와 안채, 그리고 아래채가 있다. 안마당에 있었을 행랑채는 유실이 되었다고 하며, 사랑채의 뒤편으로는 초가로 지은 광채와 뒷담을 벽으로 삼아 꾸민 사당이 있다.

충주시청 홈페이지에 보면 윤양계는 <병마절제도 위 연길현감 도청부도사사헌부 감찰>을 지냈으며, 고종 2년인 1865년에 이 집에 살았다고 안내문에 적고 있다. 그렇다면 이 집을 지은 지는 언제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윤양계가 이 집에 살았다는 고종 2년에 연길현의 현감이었다고 적었는데, 이는 연일현의 오자로 보인다. 승정원 일기의 한 대목을 보자.



'고종 3(1866)년 5월 16일. 경상 감사 이삼현(李參鉉)의 장계에서 진휼하여 구호한 각읍 가운데 베풀어 도와준 것이 뛰어난 수령들의 별단을 등문(登聞)한 것에 대하여 전교하기를, <하양 현감(河陽縣監) 류치윤(柳致潤)은 오고(五考)를 기다리지 말고 군수에 승천(陞遷)시키되 별천(別薦)의 예로 시행하고, (중략) 연일 현감(延日縣監) 윤양계(尹養桂)와 고성 현령(固城縣令) 윤석오(尹錫五)는 모두 가자하고 영장(營將)의 이력을 허용하고, 우병사(右兵使) 이주응(李周應)은 가자하고, 대구 영장(大邱營將) 서형순(徐珩淳)은 방어사의 이력을 허용하라.‘하였다.'

이런 내용으로 보아 이 윤민걸 가옥의 조성연대가 언제인지는 좀 더 정확한 고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종 2년에는 윤양계는 연일현감으로 재임 중이었기 때문이다. 하기야 연일에 있었다고 해서 충주에 집을 짓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사랑채의 뛰어난 미적 감각

안담의 일각문을 들어서면 별채라고 부르는 사랑채가 자리한다.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ㅡ자형 평면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사랑채는 중앙의 전면1칸은 튼 마루로, 그리고 좌측의 한 칸을 툇마루로 조성을 하였다. 뒤편으로는 온돌방을 놓았으며, 우측의 1칸은 마루를 높여 우물마루를 깔았다.

얼핏 보기에는 그저 평범한 사랑채 같은 형태인 듯하지만, 찬찬히 살펴보면 재미난 곳이 많다. 우선 우측의 마루방을 높였다는 것도 그렇지만 창호가 색다르다. 이 방은 일반적인 사분함 여닫이문이 아닌 중방 위에 쌍여닫이 판장문을 달았다. 중앙에 툇마루는 앞을 터놓았는데, 좌측의 툇마루는 방처럼 꾸몄다는 것도 이 사랑채의 특징이다. 사랑채의 뒤편으로 돌아가면 벽에 새인 듯한 그림을 그려놓았다. 지난해에 보수를 하면서 그린 것인지, 아니며 오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 또한 재미있다.



안채와 아래채의 단아함

안채는 ㄱ자형으로 꺾여있다. 좌측으로부터 부엌과 두 칸의 방, 대청이 있고 안방의 꺾어진 부분에는 큰 방을 드렸다. 큰 방의 끝에는 판자로 벽을 막은 한데아궁이를 두고 그 위에 다락을 조성했다. 그런데 이 안방의 뒤편에 마루로 놓은 돌출된 부분이 있다. 안채의 우측 벽면에 돌출을 시킨 이 부분은 소중한 것들을 보관하던 '안 창고'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뒤편의 툇마루 끝에 출입문을 달아 놓은 마루방과 안방에서 들어갈 수 있는 마루방의 용도는 무엇이었을까?

이 안채에서 또 하나 특이한 것은 부엌에서 볼 수 있다. 이 정도의 큰 집이라면 까치구멍이 양편으로 나 있는 것이 보편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윤민걸 가옥은 환기를 시키는 까치구멍이 뒤편의 문 옆으로만 있다. 연기 등이 안마당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란 생각이다.



왜 바깥담을 아름답게 했을까?

사랑채의 뒤편으로 돌아가면 3칸의 마루방을 드린 사당이 있고, 그 옆에 초가로 지은 광채가 있다. 그런데 뒷담에 나 있는 사주문을 통해 밖으로 나가면 놀라움을 금치 못하다, 반전도 이런 반전이 없다. 바로 바깥 담장의 아름다움 때문이다.

광채와 사당채의 뒷벽이 그대로 바깥담이 되어있는 윤민걸 가옥의 특징이다. 사당과 광채가 떨어진 ㄱ자형으로 되어있는데, 이 바깥담인 벽을 모두 심벽으로 처리를 했다. 왜 이렇게 바깥담을 아름답게 치장을 한 것일까? 이런 바깥담에 대한 꾸밈은 집의 전체가 그렇다. 솟을대문부터 바깥담을 모두 심벽처리를 한 것이다. 도대체 무슨 특별한 사연이 있었을까? 두고두고 고민을 해야 할 문제인 듯하다.



고택은 아름답다. 그저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숨은 아름다움이 있다. 그 아름다움은 집 주인의 심성을 닮는다. 집을 지을 때는 자신들이 가장 사용하기 적합하게 꾸민다. 그러면서도 나름대로 개성을 강조한 것이 우리 고택의 멋이다. 천편일률적으로 변해가는 서구식의 가옥들. 그런데서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는 것은, 오랜 세월을 꿋꿋하게 버티어 낸 나름대로의 고집 때문이다.

한국민속촌 양반가 안초당과 사당

수원 남창동에서 민속촌으로 이건 복원을 한 99칸 양반집. 중부지방 양반집의 특징을 그대로 살린 이 집은, 한 마디로 입이 벌어진다고 밖에는 표현을 할 수가 없다. 2월 18일 찾아갔던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가장 오랜 시간동안 둘러본 집이다. 이 집의 답사기 중 다섯 번째로 안초당과 사당을 소개한다.

99칸, 그렇게 어마어마한 집인 줄은 생각하지 않았다. 그동안 99칸이라고 소개를 하는 전북 정읍의 김동수 가옥 등을 둘러보았으나, 이 남창동 양반가옥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한 마디로 이 남창동 가옥은, 앞으로도 이 만한 집을 만나기가 힘이 들 것이란 생각이다.


 



시집을 가기위한 수업을 하는 안초당

‘안초당’이라는 이름은 양반가의 안에 자리하고 있으면서, 지붕을 초가로 엮어 안초당이라고 부른다. 안초당은 내당을 바라보고 좌측에 낸 작은 문을 들어서면 초가로 된 집이다. 안초당은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으로 된 작은 건물이다. 안초당을 바라보고 좌측 한 칸은 방이고, 남은 두 칸은 마루방이다.

그러나 이 한 칸은 앞뒤로 구분을 하여 두 개의 방을 드리고, 남은 두 칸을 마루를 깔았다. 이 안초당은 시집을 가기 전의 집안의 딸들이 거처를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서예, 자수 등을 배우면서 시집갈 준비를 하는 곳이다.



모든 집들이 와가인데 비해, 왜 안초당을 초가로 꾸몄을까? 안초당 뒤편에는 연못을 마련하고, 마당은 비교적 너르게 배치를 하였다. 집은 겨우 세 칸 밖에는 안 되지만, 한 마디로 시원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꾸민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 고래 등 같은 집에서 겨우 세 칸의 초가로 엮은 안초당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었을 것만 같다.


집의 맨 위에 자리한 사당

사당은 어느 집이나 규격이 비슷하다. 대개는 정면 세 칸에 측면 한 칸으로 마련한다. 이 사당은 집의 크기와 관계없이 이런 구조로 나타난다. 양반집의 사당도 예외는 아니다. 99칸 양반집의 사당은 초당을 끼고 좌측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 작은 협문을 들어서면 사당이 자리한다. 대개의 사당은 정침인 안방의 후원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당은 조상의 신위를 모셔놓고 제사를 올리는 곳이다. 하기에 집안에서 가장 조용하고 신령스러운 곳을 선택한다. 양반집의 사당은 바닥을 모두 마루방으로 처리를 하였으며, 앞으로 세 짝의 문을 달아냈다. 안에는 항상 제물을 차려놓아 이곳이 제를 지내는 사당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99칸 양반집을 돌아보고

모두 다섯 번에 걸쳐 양반집을 소개했다. 고택답사를 하면서 웬만큼 큰 집도 한 번에 끝냈는데, 이 남창동 99칸 집은 그런 집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우선 줄행랑이나 회랑, 안초당, 내별당, 외별당 등, 딴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전각들의 명칭도 다양하다. 그만큼 이 집의 넓이나 전각들이 대단하다.



수원 팔달산 기슭에 있었다는 중부지방 양반가. 어찌되었거나 수원으로서는 대단한 문화재 하나를 잃은 셈이다. 이 양반가가 있었던 자리에 다시 재현을 할 수만 있다면, 이 또한 명물이 될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양반가를 돌아 나오면서 못내 아쉬웠던 것은, 이 집이 팔달산을 배경으로 자리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지 못함이다.

여인들의 공간인 '내당'과 '내별당'

99칸 양반집의 특별함은 바로 내, 외의 구분이 명확하다는 것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만나게 되는 줄행랑과 바깥사랑채. 그리고 그 사이에 난 작은 문을 통해서 뒤편으로 나가면 만나게 되는 큰사랑채와, 담 너머에 있는 외별당까지가 바로 남자들만의 공간이다.

그와는 달리 중문을 들어서면 안행랑채와 안채인 내당, 그리고 내당 뒤에 자리한 내별당과 안초당은 여성들만의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2월 18일 찾아간 한국민속촌의 22호집인 99칸 양반집. 그 네 번째로 여성들만의 공간인 안채인 ‘내당’과 내당 뒤편에 초가로 마련한 ‘내별당’을 둘러본다.


여러 개의 방을 드린 내당

99칸 양반집의 내당은 한 마디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택의 안채와는 차이가 난다. 일일이 돌아보기에도 꽤 시간을 필요한 건물이다.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높직하니 올라앉아 안행랑과 구별을 하였다. ㄱ 자로 지어진 내당은 벽면에 십장생을 조각할 정도로 공을 들인 집이다.

이 내당은 안주인은 물론, 여성들만의 생활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이곳에서 안주인은 손님들(여성)을 맞이하거나, 여가활동 등을 즐기던 곳이다. 한 마디로 여성들만의 가정사와 문화적인 면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이 99칸 양반집의 내당은 중부지방의 특징을 잘 보이고 있으면서, 안방 뒤편에 위방을 달아낸 형태이다. 집은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큰 안방과 여러 개의 위방을 두고 있다. 서편에는 방을 두고 다음에 대청을 두었으며, 꺾인 부분에 큰 안방을 놓았다. 안방의 남쪽으로는 건넌방과 부엌을 달아냈다.



이 내당의 특징은 바로 안방 뒤편에 마련한 방들이다. 뒤편을 돌출시켜 모두 세 개의 작은 방을 꾸며 놓았다. 그리고 안사랑채에서 연결하는 통로인 회랑이 이곳 내당의 뒤편으로 연결이 되도록 하였다.



각별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안별당

안채인 내당의 뒤로 돌아가면 계단을 쌓고 조금 높게 협문을 내어 놓았다. 그 협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 내별당. 99칸 양반집에서 모정을 제외하고는, 이 내별당과 안초당만이 초가지붕이다. 내별당은 모두 다섯 칸으로 꾸몄으며, 두 칸씩의 방과 동편에 한 칸의 마루방이 있다.


내별당은 내당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어 은밀하다. 이 내별당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내당의 뒤편으로 돌거나, 아니면 안사랑의 회랑을 통해 다시 땅을 밟아야만 한다. 이곳은 내당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한 곳으로, 내당 마님이나 귀한 손들을 맞이하고는 하던 곳이라고 한다.



외별당이 연희를 하거나 각별한 남자 손님들을 맞이하기 위한 곳이라면, 이 내별당은 안당마님의 특별한 공간으로 사용이 되었을 것이다. 담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는 외별당이, 북쪽으로는 내별당이 자리하고 있는 수원 신풍동 99칸 양반집. 이 내당과 내별당에서 그 대단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가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