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무이파가 몰고 온 피해는 상상외로 컸다. 7일 오전 7시20분께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민속마을에 태풍 '무이파'가 몰고 온 강한 비바람으로 인해, 수령 600년 된 팽나무 밑동이 부러져 곁에 있던 조선시대 관아 건물인 ‘일관헌’까지 덮쳤다.

이번에 부러진 팽나무는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제161호로 지정된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에 속한 노거수로, 높이 20m에 가슴 높이의 둘레가 4.4m에 이른다. 수령은 6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름드리 팽나무가 태풍에 밑동부근이 부러져 나간 것이다.

사진출처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161호인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여러 그루 중 왜 그 나무만 부러졌을까?

제주도 남동 해안 근처의 성읍리는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 제188호로 지정된 곳이다. 이 마을의 일관헌 주변에는 느티나무 1그루와 팽나무 7그루가 함께 자라고 있으며, 느티나무의 나이는 수령이 이미 1,000년이나 된 것으로 추정한다. 팽나무 7그루는 높이 14.5 ∼ 23.5m 정도에, 둘레는 2.36 ∼ 5.00m 정도이다.

기록에 따르면 고려 충렬왕(1274∼1308) 때에도 이곳에 나무가 자랐다고 기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 이곳에 지정된 천연기념물 제161호인 나무들은, 그 가운데 일부가 살아남은 것으로 보인다.

천연기념물이란 국가나 지방공공단체가 법률에 따라 지정하여 보존, 관리하는 식물이나 동물, 혹은 광물 등을 말한다. 학술상 가치가 높은 동물의 서식지를 포함하여 번식지, 도래지와 식물의 자생지, 광물, 지질과 그 밖의 천연물 등이다. 한 번 지정된 천연기념물은 원칙적으로는 현상 변경이 허락되지 않는다.

그러한 천연기념물인 팽나무가 밑동이 부러져 버렸다는 소식이다. 가까이 있다면 당장에라도 달려가 보고 싶은 마음이다. 가지가 부러진 것도 아니고, 그 밑동 쪽이 통째로 부러져 나갔다면 태풍의 세기가 가늠은 간다. 그러데 여러 그루의 나무 중 왜 그 나무 한 그루만 부러져 나간 것일까?

천연기념물의 가치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만나게 되는 많은 천연기념물 등, 여러 가지 많은 종류가 있지만 내가 유난히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바로 나무 종류이다. 노거수들을 만나는 먼저 고개부터 숙이게 된다. 경외심이 절로 일어서이다. 그 오랜 세월을 꿋꿋이 살아온 나무에게 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소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 그동안 답사 길에서 만난 많은 나무들은 알게 모르게 아픔을 간직하고 있기도 했다. 사람들이 일부러 해를 입히는가 하면, 태풍이나 심한 바람으로 가지가 잘려나가기도 했다. 그래도 변함없이 한 자리에 수백 년을 지키고 서 있다는 것이 늘 고마웠다. 그런데 이번에는 600년 이상이나 된 나무가 부러져 나간 것이다. 그것도 가지가 부러진 것도 아니도 밑동 부분이 통째로 잘려나갔다.

내 몸 일부가 잘라진 듯 마음이 아프다

곁에 있는 문화재의 지붕이 망가진 것은 부수를 할 수가 있다. 하지만 밑동 째 부러져버린 팽나무는 살릴 수도 없다. 뿌리가 있으니 잔가지들이 다시 자랄 수도 있겠지만. 원줄기를 잃은 나무는 이미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잃은 것이다. 자연이 망가트린 현상변경을 어떻게 할 것이냐고 하겠지만, 강한 태풍이 온다고 했는데, 조금 더 주의를 기울여 버팀목이라도 설치를 했더라면 잘 넘어갈 수도 있지는 않았을까?

부러진 천연기념물인 팽나무로 인해 하루 종일 우울하다. 글을 쓸 마음도 일지 않는다. 어제 저녁서부터 마음만 불안한 것이, 일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하루 종일 쏟아지는 비가 흡사 내 마음을 아는 듯하다. 잘려나간 밑동 사진을 보면서 내 몸의 일부가 잘려나간 듯한 기분이다.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64호인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는 아픔의 나무다. 이 은행나무는 수령이 550년 정도가 되었으며, 조선 초기에 이지대 선생이 심은 나무라고 전해진다. 이지대 선생은 고려 말기의 정치인인 익재 이제현 선생의 4세손이다. 선생은 이 나무를 한양에서 갖고 와 연못가에 심었다고 한다.

현재 나무 앞에는 한성부 판윤인 죽은 이공의 유허비가 서 있다. 현재는 연못은 사라지고, 주변이 논밭으로 변해버렸다. 이 나무는 마을의 정자목으로 밑 부분의 한쪽이 썩어있다. 구량리 은행나무의 둘레는 8.4m 정도이며, 높이는 22.5m이다. 이 나무는 2003년 태풍 매미 때 부러져 나무의 한쪽이 사라져 버렸다.


한성판윤을 지낸 이지대 선생

이지대 선생은 조선 태조 3년인 1394년에 경상도 수군만호로 있을 때, 왜구가 탄 배를 붙잡았다. 그 공으로 인해 한성판윤까지 벼슬이 올랐다. 그러나 1452년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이고 안평대군까지 강화로 유배를 보내자, 벼슬을 버리고 이곳으로 내려왔다고 한다.

구량리 은행나무가 있다는 안내판이 보인다. 7번 국도에서 나무가 서 있는 구량리까지 찾아가는 길은 버거웠다. 그러나 하나의 천연기념물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걸음을 재촉한다. 마을 옆 논 한가운데 서 있는 은행나무는 한편을 지지대로 받쳐 놓았다. 아마 그 쪽이 매미 때 훼손이 된 곳인가 보다.



은행나무의 위용에 눌리다.

은행나무 한 그루가 주는 감동을 받아 본 적이 있는가? 나무를 보는 순간 나에게 밀려 온 것은 바로 위엄이었다. 나무의 크기도 그렇거니와 한쪽 편이 잘려나갔음에도 그 위용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감히 이 자연 앞에서 누가 함부로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나무 앞에 선 한성판윤 이지대 선생의 유허비도 색다르다.

구량리 은행나무를 보면서 자연은 스스로 치유를 한다는 말이 생각난다. 태풍 매미에 상처를 입고서도 푸른 잎이 무성히 달려있다. 그런 아름다움이 더욱 가슴을 뛰게 한다. 스스로 치유를 하고 550년 세월을 버텨 온 구량리 은행나무. 그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참으로 인간이 하찮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나무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은 없었을까? 마을 주민들에게 은행나무에 대해서 물어보았다.

태풍 매미에게 한편을 훼손당한 구량리 은행나무

한성판윤 이공 유허비와 제단석

아들을 점지하는 은행나무

“어르신 저 은행나무를 마을에서 위하지는 않나요?”
“왜요. 마을에서는 저 나무를 신성시 하죠”“저 나무에 전설은 없나요?”
“저 은행나무를 훼손하면 그 사람은 해를 입어요. 그래서 저 은행나무 주변에는 사람들이 잘 들어가지 않아요”
“또 다른 전설은 없나요?”
“아들을 낳지 못하는 여인들이 저 은행나무에 가서 아들을 낳는다고 하죠”

아들을 점지하는 구량리 은행나무. 태풍에 가지가 찢어지는 아픔을 스스로 치유를 한 나무에는, 많은 사연이 전하고 있다. 천연기념물이 있다면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이다. 그 곳에는 항상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기 때문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