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탑의 우아하고 선이 아름다운 점과, 신라탑의 장중하고 무게가 있는 이점만을 골라 탑을 조성하였다.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자리하고 있는 고찰 무량사에 소재한 오층석탑이다. 무량사는 통일신라 문성왕(서기 839~856) 때,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무량사는 고려 초기에 대중창을 하여 30여동의 요사와 12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모두 전소가 된 것을, 조선 인조(서기 1623~1649) 때 진묵대사께서 중수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절이다. 무량사를 찾은 날은, 절 경내에 하얀 눈이 꽤 많이 쌓여있다. 경내에는 사람들이 다닐만한 길만 치워놓았을 정도이고, 탑 주변에도 눈이 하얗게 쌓여있다.

 

오랜 기억에 남아있는 무량사

 

무량사는 인연이 깊은 절이다. 벌써 20여 년 전부터 이곳을 찾아왔었기 때문이다. 처음 이곳을 찾았을 때가 1993년이었으니, 올 해로 20년 째 이곳을 몇 번이고 찾아왔었다. 아마도 처음으로 이곳을 찾았을 때는, 명창이신 고 박동진 선생님과 동행을 했었다. 판소리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서 들린 곳이었기에, 남다른 추억이 깃들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때도 무량사는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는 기억이 난다. 다만 김창진 명창이 10년 세월을 득음을 위해 독공을 했다는 삼성각 앞에, 또 한 채의 요사가 자리를 하고 있는 것 외에는 달라진 것이 없는 듯하다. 무량사는 늘 정겨운 곳이다. 전국의 사찰을 문화재답사를 위해 찾아다니지만, 가끔은 너무나 많은 변화로 인해 당황스럽기도 하기 때문이다.

 

 

고려전기의 균형 잡힌 오층석탑

 

무량사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보물인 석등과 오층석탑, 그리고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는 극락전이 일렬로 서 있다. 맨 앞에는 보물 제233호인 석등이 서 있고, 그 뒤편에 보물 제185호인 오층석탑이 자리한다. 그 뒤편에는 외부를 중층으로 지어진 보물인 극락전의 웅장한 자태를 볼 수가 있다.

 

눈이 쌓인 한 겨울의 오층석탑. 이 무량사 오층석탑은 고려 전기에 조성한 탑이다. 이 탑은 백제탑의 아름다움과, 신라탑의 장중함을 이어받아 조성한 것이라는데 그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기단은 잘 다듬은 석재를 이용을 했다. 기단부에 조성한 석재의 면을 둥글게 깎아내어, 모나지 않고 부드러운 선을 만들어 내고 있다.

 

무량사 오층석탑은 한 마디로 균형이 잘 잡혀있다. 그런 점이 안정감이 보이기도 한다. 몸돌은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덮개석인 지붕돌과 몸돌의 줄어드는 비례가 알맞아, 어디 하나 군더더기가 보이지를 않는다. 다만 지붕돌의 넓이가 몸돌에 비해 넓기는 하지만, 오히려 그런 것이 이 탑의 장점이기도 하다. 그만큼 낮은 몸돌을 지붕돌이 무게감을 더하고 있기 때문이다.

 

석탑, 어디한 곳 흠잡을 데가 없어

 

무량사 오층석탑을 보고 있노라면, 백제와 신라의 문물이 합쳐 낸 문화의 극대화라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두 고대국가의 서로 다른 문화가 이곳에서 만나, 석조문화의 정점을 이루었다는 생각이다. 그만큼 무량사 오층석탑은 볼 때마다 그 아름다움에 빠져들게 만든다. 넋을 잃고 바라보고 있노라면, 영하 10도를 밑도는 날씨마저도 추운 줄을 모르니 말이다.

 

기단부 상단에는 우주와 탱주를 서로 다른 돌을 이용해 표현을 했다. 그리고 아래지석과 위 덮개석의 면을 둥글게 깎아, 석재가 주는 딱딱함을 없앴다. 그 위에 몸돌은 층이 올라 갈수록 줄어들면서, 적당한 안정감을 주고 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아랫면을 홈을 내어, 몸돌이 겉돌지 않게 조성을 하였다. 몇 장의 돌을 이용해 지붕돌을 조성하였다는 것도 특이하다.

 

무량사 오층석탑은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많이 닮아있다. 몸돌이 이층부터 차츰 줄어든다가나, 받침돌의 면을 둥글게 조성한 것들이 그러하다. 아마도 이 오층석탑을 조성한 장인이 백제와 신라의 많은 탑을 돌아본 후, 이 탑을 조성한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무량사 오층석탑의 아름다운 선의 정점은, 바로 지붕돌의 처마 끝에서 보인다.

 

 

한 장의 돌이 아닌 데도 불구하고, 양편의 처마 끝이 날아오르듯 위로 적당히 솟아있는 모습을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온다. 어떻게 저렇게 아름다운 선을 표현할 수가 있었을까? 많이 치솟지도 않고, 그렇다고 처지지도 않게 솟아오른 처마 끝. 그저 석탑 하나에도 이렇게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 있었던 선조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이다. 언제나 이런 감탄이 끝나게 될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발길이 닿는 날까지 이어지지 않으려는지.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소재한 보원사지. 보원사지에는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들이 즐비하게 서 있다. 그 중 보물 제104호인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고려 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보원사라는 절이 어느 시기에 세워졌는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수많은 문화재들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과거 상당히 번창한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층석탑은 보원사지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추정하고 있으나, 보원사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인근 용현리에서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무게감을 더하고 있는 오층석탑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탑 중 하나이다.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조성한 오층석탑은, 아래기단 옆면에는 사자상을 새겼다. 하지만 오랜 세월 풍화로 인해 사장상의 모습은 정확히 식별하기가 쉽지가 않다.

 

 

 

 

윗기단은 양편에 양우주를 돋을새김하고 가운데는 탱주를 돋을새김 하였다. 옆면에는 팔부중상을 2구씩 각 면에 새겼는데, 조각은 세심하지는 않지만 힘이 있어 보인다. 8부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에 걸쳐 석탑의 기단에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무장의 모습을 하고 있는 팔부신장은 인도의 고대불교 이전부터 있던 신격이불교에 수용된 신들이다.

 

불국토를 수호하는 팔부중상

 

팔부신장은 흔히 ‘명중팔부’ ‘천룡팔부’ 등으로도 불린다· 불국토를 수호하는 팔부신장은 경전의 내용에 따라 여러 설이 있다. 경전상으로도 여래팔부중과 사천왕에 소속된 팔부중으로 나누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팔부중은 부처의 설법을 듣기 위해 모여든 여러 중생을 의미하는 여래팔부중을 말한다.

 

 

 

 

즉 천과 용, 야차와 건달바, 아수라와 가루라, 그리고 긴나라와 마후라가를 가리킨다. 그러나 사천왕에 소속된 팔부중은 건달바, 비사사, 구반다, 벽협다를 비롯해 용과 부단나, 야차와 나찰 등을 말한다. 석탑의 기단부나 불화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팔부신장은 통일신라시대의 석굴암에 조각된 팔부중상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백제계 양식을 모방한 고려석탑

 

탑신에서는 1층 몸돌 각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으며, 양우주를 돋을새김 하였다. 지붕돌은 얇고 넓은 편이며 귀퉁이가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가 온화한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보원사지 오층석탑의 지붕돌이 넓어진 것은, 백제계 석탑 양식을 모방한 것이다. 이 지역은 옛 백제지역이기 때문에, 그 지역의 석탑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탑의 상륜부에는 머리장식받침인 네모난 노반이 남아 있고, 그 위로 머리장식의 무게중심을 고정하는 철제 찰주가 높이 솟아있다. 이 탑은 세부조각이 형식적으로 흐른 듯 하지만, 장중하고 기단과 몸돌의 균형이 안정감이 느껴지는 고려 전기의 우수한 석탑이다.

 

문화재답사를 하면서 가장 행복한 것은, 한 곳에서 이렇게 많은 문화재를 만날 때이다. 문화재 하나를 소개하기 위해서 먼 길을 걸어야하는 나로서는, 보원사지와 같은 곳이 정말 즐거울 수밖에 없다. 오층석탑 주변에 즐비하게 널려진 보물들과 석재들. 그런 것을 바라보면서 힘들게 걸어 온 길의 피로를 잊는다.

 

 

 

 

 

 

 

 

 

 

 

 

 

중앙고속도로 남안동 나들목을 나와 안동 쪽으로 가는 큰길을 벗어나, 마을 안으로 난 작은 길로 접어들면 우측에 우뚝 선 전탑이 보인다. 보물 제57호 안동 조탑리 오층 전탑이다.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소재한 이 전탑은 통일신라 때의 작품이다.

 

조탑리 전탑은 안동 동부동의 전탑과 같은 양식으로 축조가 되었다. 탑은 흙으로 쌓은 기단 위에, 화강석으로 몸돌을 만들었다. 탑의 높이는 8,65m이고, 기단의 너비는 7m이다. 남면에는 감실을 내었고, 감실 양 편에는 인왕상을 조각하였다. 인왕상은 아직도 힘이 넘치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조각 기법이 뛰어나다. 천년 세월을 이 인왕상이 전탑을 지킨 것인지도 모른다.

 

돌과 벽돌로 쌓은 희귀한 전탑

 

1층 지붕돌부터는 한 변이 27cm에 두께가 5,5cm가 되는 벽돌을 사용하여, 어긋나게 쌓아올렸다. 몸돌은 1층의 높이에 비해, 2층부터는 급격히 줄어든다. 탑의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으나, 보존 상태는 깨끗하다. 다만 조선시대에 수리를 거치고, 1917년 이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치는 동안, 원형을 많이 잃어버렸다고 한다.

 

 

전탑들은 일반 석탑에 비해 벽돌을 하나하나 쌓아 올려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공을 들였을 것 같다. 국보 제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안동 신세동 칠층 전탑을 보더라도, 그 탑을 세우기 위한 공이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밭 가운데 쓸쓸하게 서 있는 이 전탑을 보면서 우리의 문화재들이 참 수난을 많이 당했음을 느낀다.

 

이곳을 찾았을 때 누군가 주변에 똑 같은 크기의 고무 통에 연꽃을 수도 없이 심어놓았다. 커다란 불심이라도 작용을 했던 것일까? 아니면 쓸쓸히 서 있는 보물인 탑이 너무 한적해 보였기 때문인가.

 

 

 

뛰어난 전돌 쌓기로 조성한 탑

 

이 조탑리 전탑은 통일신라시대의 탑으로, 화강암 석재와 벽돌을 혼용해서 만든 특이한 탑이다. 1층의 몸돌은 화강암을 이용했으며, 위로는 전돌을 사용한 탑이다. 우리나라 전탑에는 거의 모두 화강암을 혼용하고 있으나, 이 전탑에서는 그러한 의도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타나 있다.

 

기단은 흙을 다져 마련하고 그 위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화강석으로 6~7단을 쌓아 1층 몸돌을 이루게 하였다. 남면에는 감실을 파서 그 좌우에 인왕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1층 지붕부터는 벽돌로 쌓았는데 세울 당시의 것으로 보이는 문양이 있는 벽돌이 남아 있다.

 

2층 이상의 탑신에는 2층과 4층 몸돌 남쪽 면에 형식적인 감실이 표현되어 있고, 지붕돌에는 안동에 있는 다른 전탑과는 달리 기와가 없다. 한 마디로 조탑리 5층 전탑은 일반적인 전탑의 형태와는 다른, 특이한 형태로 조성을 해 눈길을 끈다.

 

아무리 열변을 토하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문화재를 사랑하고 보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세상 모든 것이 그러하듯 우리 문화재 역시 남다른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온전히 보존할 수가 없다. 안동 조탑리 오층 전탑 주변에 놓인 고무 통 속에 연꽃이 만개를 할 때 다시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순창에서 담양읍을 향해 가다가 보면, 읍 조금 못 미쳐 삼거리가 나온다. 이 삼거리 우측에는 ‘남산2구 동정자’라는 오석으로 된 마을 이정표가 있다. 그 옆에 보물 제505호인 ‘담양읍 석당간’ 1기가 서 있다. 전체 높이가 15m나 되는 이 석당간은, 지주의 높이가 2.5m에 달하며 곁에는 당간의 조성내력을 적은 비가 서 있다.

이 석당간은 절의 행사 때 사용하는 당을 다는 것으로, 단층 기단 위에 지대석을 겸하는 장방형의 지주를 두고 있다. 지주는 윗면이 약간 경사졌을 뿐, 측면에는 아무런 문양을 마련하지 않았다. 정면 중앙에는 장방형으로 1단의 받침을 마련하여, 당간대좌와 양 지주를 받치고 있다. 지주는 방형 석주로 약 80cm의 사이를 두고 남북으로 마주하고 있다.


바람으로 인해 나무로 세웠던 것을 다시 조성하다.

이 담양읍 석당간은 그 조성시기가 명확하다. 바람으로 인해 당간이 무어진 것을 나무로 우선 세웠다가, 다시 훼손이 되어 헌종 5년인 1839년에 중건하였음을 비석에 기록하고 있다. 담양읍 석당간은 가늘고 긴 8각 석주 3개를 연결하였으며, 그 위에 원형 당간을 올려 마디의 표식이 뚜렷하다.

석주의 연결방법은 통식으로 상하석이 만나는 부분을 반으로 깎고, 중간석의 양단을 또한 반으로 깎아 서로 밀접 시킨 후 각기 철제를 이용해 둥글게 만든 환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분에는 또 상하에 원형의 구멍을 관통시켜 더욱 단단하게 조성을 하였다. 당간의 상단부에는 금속제의 보륜이 이중으로 장식되고, 풍향과 같은 장식이 부착되었으나 현재는 두 개만 남아있다.



비석에 새겨진 기록을 보면 석당간은 큰 바람으로 넘어진 것을, 다시 복원한 것이다. 그러나 양편의 지주는 그 양식이 고려시대 것으로 추측되며, 또한 인근 오층석탑이 고려시대의 조성한 석탑임을 감안할 때, 이 석당간도 고려시대에 오층석탑과 같은 시기에 처음으로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석도를 세운 연대를 알 수 없지만 대개 읍을 처음 설치한 때부터이다. 갑인년에 큰바람으로 꺾여 나무로 대신 세웠다가 작년 봄에 또 훼손되어 중건한 것이 기해 3월이다. 숭정기원후 4기해 3월 일 부사 홍기섭 기록하다(石棹之立年不可攷 盖自設邑始幾, 年至甲寅爲大風折以木代立昨春 又頹今則如初重建歲己亥三月也, 崇禎紀元後四己亥三月日知府洪耆燮記)」라고 기록되었으며 후면에는 당시 유사(有司), 호장(戶長), 읍리(邑吏) 등 이 비석 건립의 관계자의 직책과 성명이 음각되어 있다.



석탑이 서 있는 곳이 대웅전 자리

삼거리에서 도로를 따라 조금 안으로 들어가면 좌측에 오층석탑 한 기가 서 있다. 탑의 형태는 1층 기단에 오층석탑으로 일반형과 약간 다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탑이 서 있는 자리는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342번지이며, 현재 이 탑은 보물 제50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오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높이는 7m에 이른다.


이 탑은 백제탑인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하여 조성을 하였으며, 기단부는 여러 장의 석재를 이용하여 꾸몄다. 상층의 몸돌을 받치고 있는 지대석은 1석으로 구성하였고, 중석은 중앙에 탱주가 생략된 채, 양편에 양 우주만 조성하였다. 기단부의 높이는 다른 오층석탑에 비해 매우 낮게 조성되었음이 특이하다.

백제계 석탑을 모방한 오층석탑

갑석의 상면은 위편에 몸돌을 받을 수 있게 도드라지게 조성을 하였다. 탑신부는 몸돌과 옥개석이 각각 1석인데, 몸돌과 지붕돌인 옥개석 사이에 괴임을 별석으로 마련하여 몸돌을 받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1층의 몸돌에는 별다른 조각은 보이지 않는다. 양편에 모서리기둥인 우주만 나타냈을 뿐이다.



몸돌을 덮고 있는 옥개석은 두꺼운 편이며, 처마의 끝은 위로 솟구쳐 있다. 옥개석의 사방 끝에는 풍경을 달았던 흔적이 보인다. 처마의 밑은 수평으로 조성을 했으며, 옥개석의 밑면 받침은 3단으로 5층까지 동일하다. 2층 이상은 알맞게 체감이 되어있어, 오층석탑이기는 하지만 안정감을 준다. 고려 중기를 넘기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는 이 오층석탑은, 상륜부는 모두 유실되었다.

이 담양읍의 석당간과 오층석탑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곳에는 고려 때 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아마도 석당간이 서 있는 곳 근처에 일주문이 있었을 테고, 현재 오층석탑이 있는 곳 주변에 대웅전이 있었을 것이다.



수많이 세월이 지나간 지금, 그 절의 존재는 알 수가 없다. 언제 지어진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소멸이 되었는지. 다만 이 석당간과 오층석탑만 남아, 한 때 이곳이 번창했던 절터였음을 추정할 뿐.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양악리에 가면 계곡으로 떨어지는 물소리가 한 여름 더위를 식혀주는 곳이 있다. 물이 떨어지는 곳에 소(沼)가 있어, 이 소를 ‘용소(龍沼)’라 부른다. 소 옆에는 ‘장수 양악탑’이라고 부르는 5층 석탑이 서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탑을 세운 시기가 2천 년 전이라고 한다.

그러나 탑의 양식 등으로 볼 때 고려 후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 탑이 서 있는 주변에 심방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이 탑을 ‘심방사 탑’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심방사라는 절이 언제 적에 이곳에 있었는지는 확실치가 않다. 다만 양악리 일대에는 향고 터, 동헌 터 등의 자리가 있었다고 하는 것을 볼 때, 고려 말기에 이 부근에 심방사라는 절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과 몸돌이 하나로 만들어진 탑

이 양악리 탑은 높이가 2m 정도로 크지 않은 탑이다. 주변에 많은 암반이나 석재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작은 석탑을 조성했다는 것은, 이 탑이 지방의 장인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짙은 것으로 보인다. 탑은 장소로 옮기는 과정에서 파손이 되었다고 하지만, 그 탑의 원형을 알아 볼 수가 있다. 현재는 4층까지만 남아있으며, 누군가 탑 위에 둥근 강돌 하나를 올려놓았다.

탑은 그 생김새가 딴 지역의 석탑과는 다르다. 1층의 몸돌은 사다리꼴로 만들어졌으며, 2층부터 4층까지는 각 측의 지붕돌인 옥개석 위에 몸돌을 붙여 일석으로 조성을 하였다. 몸돌 밑에는 아래 단의 지붕돌이 붙어있는 형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탑의 모양은 소박하게 표현을 하였다.




심방사 탑을 찾아 양악리를 맴돌다

5월 20일 오후에 잠시 들린 장수군. 몇 번인가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들린 곳이지만, 20일 낮에 들린 양악리는 여러 가지 모습을 만날 수가 있었다. 양악리는 애국지사요 한글학자인 건재 정인승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이 마을에는 건재 기념관과 재실, 동상 등이 마을 입구에 서 있다.

심방사 탑의 이정표를 보고 들어갔지만, 정작 탑은 찾을 수가 없다. 마을을 돌다가 만난 주민에게서 탑의 위치를 파악하고서야 탑을 찾을 수 있었다. 탑은 마을 반대쪽 계곡의 물소리가 우렁차게 들리는 소 옆에 자리하고 있다. 그리 크지 않은 탑이기에 마을에서 보면 전혀 보이지가 않는다.



전설로 남아있는 심방사

양악리 오층석탑은 양악마을과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 마을은 백제와 신라의 경계지역으로 격전지였던 흔적이 있다고도 한다. 마을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이 마을에는 옛날에 한 도사가 살고 있어, 학을 길렀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마을이름을 양학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지금도 마을 앞에 산을 ‘학산’이라 부르고, 이웃마을로 가는 고개를 ‘학고개’라고 부른다.

이 오층석탑은 원래 백제의 심방사라는 절에 있었는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전화로 심방사가 소실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탑을 옮기거나 없애면 흉년이 든다고 하여, 마을에서 보존을 하고 있다.


지붕돌과 몸돌이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특이한 양악탑. 심방사라는 절이 어떤 절이었는지는 알 수가 없고, 암벽을 흘러 소로 떨어지는 물소리만 들린다. 그 물소리를 들으면서 오랜 세월을 자리를 지켜 온 석탑. 지금은 그 위로 저수지 공사를 하느라 중장비의 굉음만 시끄럽다. 그렇게 또 다른 소리를 들어가며 탑은 묵묵히 오늘도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