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은 무슨 용도로 사용이 되었을까? 단지 건물과 대지의 경계선이나 설치물의 주위에 두른 구조물일까? 담은 순수한 우리말이다. 한자로는 원(垣)·장(墻)·원장(垣墻)·장원(墻垣)·장옥(墻屋), 등으로 사용하며, 우리말과 한자가 합쳐진 말로는 담장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그 담 중에서 간단하게 구조물을 설치한 것이나, 안이 들여다보이게 만든 것을 울·울타리·바자울[笆子籬]·울짱·책(柵)·장리(牆籬)라 한다. 우리 소리에 보면 ‘울도 담도 없는 곳에...’ 라는 노래가사가 있다. 이렇게 울과 담은 그 형태에서 구분이 지어진다. 아마도 양반가의 높은 벽은 ‘담’으로, 민초들의 낮은 울타리는 ‘울’ 생각하면 맞는 뜻일 것이다.


담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생나무를 심는 생울이 있는가 하면, 싸리나무 등을 엮어 막아놓은 울타리가 있다. 진흙에 짚을 썰어 넣어 이겨서 만든 흙담도 있고, 널판지로 경계를 두른 판장과 판담이 있기도 하다. 그 외에도 돌담, 영롱담, 꽃담, 와담 등 담은 그 재료를 무엇으로 사용했는가에 따라 구분하고 있음을 본다.

담장의 용도, 과연 경계로 구분하고 있는 것일까?

사람들은 담을 경계를 구분하거나 사람들이 사는 곳을 보호하기 위한 설치물로 구분 짓고 있다. 그러나 정말로 이 담이 경계를 막고 설치물을 보호하기 위함일까? 물론 그 말이 맞다고 생각을 할 것이다. 하지만 담과 울은 엄연히 다르다. 담은 경계를 가르고 안을 보호하지만, 울은 굳이 경계를 가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담은 경계를 나누고 보호를 위한 것이지만, 울은 하나의 결성을 위한 보호적인 차원의 상징이라고 생각한다. 먹을 것을 담장 너머로 전해주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그것이 차단이라면 이해가 안된다. 우리의 울은 바로 나눔이요, 소통이다.

민초들의 울과 가진 자들의 담은 극과 극이다

우리 민가의 담을 보면 막힘이 아니다. 문이라고 해보아야 싸리를 엮어 만든 문이다. 그리고 담장이라고 해보아야 어른 키의 목 밑이다. 누구나 안을 들여다 볼 수가 있다. 옆집과의 경계도 마찬가지다. 보호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사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민가의 담장이다. 사대부가의 높은 벽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 그렇다면 왜 우리 민가의 담은 이렇게 낮은 것일까? 그래야만 할 이유가 있었을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사대부가들이 숨길 것이 많다면 민초들은 숨길 것이 없다. 어느 집이나 터놓고 돌아다녀도 잊어버릴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러다보니 담을 높게 두를 이유도 없고, 안이 안 보이게 문을 만들어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허전함만 가리면 그것으로 족하다. 숨기고 감추고 속이는 그러한 담장이 아니라, 소통하고 열고 보여주는 그런 것이 바로 민초들의 울이다.

역사는 늘 담으로 사람들을 구분했다

민가의 담을 보면 끝이 없다. 그저 이집에서 저 집으로, 또 그 다음 집으로 울이 연결이 된다. 낮은 처마 밑으로 두른 담장은 그보다 많이 낮게 만든다. 나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나를 숨길 것도 없고 은밀히 숨어서 할 일도 없다. 그런데 이런 담장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즉 담은 어느 시대에서나 소통과 단절로 대두된다.



소통은 민초들이요, 단절은 가진 자들이다. 가진 자들은 보여주기를 꺼린다. 그리고 늘 은밀히 안에 틀어박혀 궁리를 한다. 대개는 그 안에서 서로 목소리를 죽여 몹쓸 짓을 연구한다. 그리고 더 많은 몹쓸 짓을 생각해 낸다.

민초들의 담장은 스스로 낮춘다. 스스로가 부끄러움이 없다는 생각이다. 그저 있는 대로 행하고 먹고 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진 자들은 항상 숨기려고만 든다. 그러한 검은 사고들이 담장을 높게 만들었다. 그리고 스스로 그것이 위엄이라고 생각들을 했기 때문이다. 소통과 보여줌, 숨김과 차단. 이것은 긴 세월 속에서 변하지 않고 전해진 우리 ‘담’과 ‘울’의 철학이다.


(주) 이 글은 '오마이 뉴스'에 송고가 되었던 것을 다시 정리하였습니다

전북 남원시 주천면 호경리 지리산 기슭에 있는 춘향묘. 그 앞을 흐르는 냇가에는 정자가 하나 서 있다. 육모정이라 부르는 이 정자는 최근에 새로 지었지만, 원래는 400년 전에 처음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현재의 육모정 뒤로는 용소라 불리는 소가 있다. 이 소에는 아홉 마리의 용이 노닐던 곳이라 하였으며, 이곳에 넓은 바위가 있어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이 넓은 바위 위에 6각형의 정자를 지어 육모정이라 이름을 붙이고 선비들이 모여 시를 읊었다. 1960년 큰 비로 인해 정자가 유실 된 것을 현재의 자리로 옮겨 복원을 한 것이다. 육모정 뒤편으로 흐르는 물은 맑기만 하다. 그 물이 맑은 것에 반해서일까? 한 사람의 명창이 이곳에서 목을 트였다고 한다.



명창 권삼득의 설렁제가 만들어진 곳

명창 권삼득. 명창들이 득음을 할 때는 동굴독공이나 폭포독공을 한다. 동굴독공은 동굴 안에 들어가 소리를 얻을 때까지 혼자 외로운 소리공부를 하는 것이고, 폭포독공이란 폭포가 있는 곳으로 가서 소리를 얻는 것이다. 그 폭포 독공이라는 것은 목에서 피를 몇 말을 쏟아야 얻을 수 있다고 하니, 그 득음이란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가늠이 되질 않는다.

이곳에 구룡폭포가 있어 권삼득이 소리를 얻었다고 한다. 지금은 물이 줄어 예전의 모습이 상상이 되질 않는다. 하지만 용소로 떨어지는 물이 상당한 소리를 냈을 것이다. 권삼득 명창은 전라북도 완주에서 태어났으며 원래 양반가의 사람이다. 예전에는 양반이 소리를 하지 않았으니, 권삼득 명창의 소리공부는 당연히 집안에서 쫓겨 날만한 일이다.


육모정 앞에 있는 춘향묘와(위) 물가에 서있는 권삼득 명창의 득음장소를 알리는 비
 
권삼득 명창은 판소리의 효시로 알려진 하한담에게서 소리를 배웠다고 했으니 판소리 초기의 명창이다. 조선조 영조 47년인 1771년에 완주의 양반가에서 태어나, 소리에 재질을 보였다. 혼자 이곳 용소 앞 넓은 바위를 찾은 권삼득 명창은, 이곳에서 소리를 얻기까지 얼마나 많은 날을 보냈을까? 지금은 작은 비 하나가 그때의 상황을 이야기하지만, 칠이 벗겨져 알아 볼 수도 없다.

설렁제를 만들어 낸 권삼득 명창

더늠이란 소리의 명창들이 오랫동안 소리공부를 하다가 자신만의 독특한 창법을 만들어 내는데, 그 소리를 말한다. 권삼득 명창의 설렁제는 흥보가의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과 춘향가의 ‘군노사령 나가는 대목’ 등이 바로 이 설렁제이다. 지금도 이 대목은 권삼득 명창의 설렁제로 부른다는 것을 말하고 설렁제로 소리를 한다.


]
원래 정자가 서 있었다는 바위와 물길

설렁제는 높은 소리를 길게 질러 씩씩하고 경쾌하다. 듣기에도 시원한 창법이라 신재효는 광대가에서, 그의 호탕하고 씩씩한 가조를 ‘절벽에서 떨어지는 폭포’에 비유했다. 그렇기에 권삼득을 '가중호걸'이라 불렀다. 육모정 뒤편 물이 흐르는 곳에 있는 용소, 바위틈으로 물이 얼마나 오랜 시간 흐른 것일까? 암반이 파여 있다. 그 아래 소가 푸른색을 띠고 맑은 물을 받아들인다.

선비들이 지었다는 육모정. 그리고 그 곳에서 소리를 하여 득음을 한 권삼득 명창. 양반가의 자손이니 이곳 정자에 와 그 경치에 반해 소리공부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 용소로 떨어지는 물소리가 왠지 소리 한 대목으로 들리는 것도, 이곳에서 소리를 한 한 명창의 이야기가 전해지기 때문은 아닌지. 그렇게 무심한 세월만 흘러버렸다.

아홉마리의 용이 놀았다는 용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