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군 증평읍 송산리 산1-5번지에는, 보물 제198호로 지정된 석조관음보살 입상 한 기가 보호각 안에 자리하고 있다. 증평 시내에서 보강천을 건너 서북쪽으로 2km 쯤 떨어진 미암1리 미륵댕이 마을에 있는, 이 관음보살입상은 고려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륵사라는 전통사찰 입구에 서 있는 관음보살입상은 1940년경에 송산리에 거주하는 서정옥씨가 불상 옆에 암자를 짓고 기거를 하였으나, 1950년에 암자는 없어졌다. 그 후 1957년에는 마을의 주민들이 보호각을 짓고,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이라고 하여 정성을 드리고 있다.


수령 300년의 느티나무와 어우러져

이 관음보살입상이 서 있는 보호각 앞으로는 수령 320년 정도의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증평군 보호수인 이 느티나무는 높이가 17m에, 둘레는 4.8m 정도이다. 보호각 안에 서 있는 미암리 사지 석조관음보살입상은 높이가 2.6m 정도가 된다. 보호각은 주춧돌을 높이 놓고, 살창으로 주위를 둘렀다.

석조관음보살입상이 서 있는 앞으로는 갚게 연못처럼 돌을 쌓아 축조를 했으며, 보호각 앞으로 샘이 솟는다. 아마 이 샘물은 후에 새롭게 조성을 한 듯하다. 느티나무는 뿌리를 들어내고 있을 정도로 고풍스러운데, 관음보살입상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고려 중기에 제작된 석불

보호각 안에 모셔진 석불입상은 눈썹 사이에 백호가 뚜렷하다. 얼굴은 넓적하고 긴 편이며 눈, 코, 입술 등이 가지런하다. 머리 위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선명하고 몸체는 살찐 느낌을 준다. 목 부분의 뒤로는 훼손이 있었는지 시멘트로 보완을 하였다. 법의는 얇은 비단 통견으로 표현을 해, 어깨에 걸쳐 옆으로 내려졌고 왼손은 복부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손에는 연경 한 가지를 들고 있는데, 꽃봉오리가 돋을새김으로 돋아져 나와 흡사 어깨에 혹이 하나 달린 듯하다. 보관의 중앙에는 화불이 새겨져 있고, 보개의 표현이나 의문과 상호 등의 조각 수법으로 보아, 불상이 만들어진 연대는 고려 중기로 추정된다. 법의의 밑에는 주름을 잡아 통치마와 같은 느낌을 준다. 발은 법의 안에 가려져 표현을 생략했다.




고려 중기의 석불 연구에 소중한 자료

증평 미암리 사지 석보관음보살입상은 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불상들과는 색다른 형태로 조성이 되어 있다. 이 지역의 고려 중기에 나타나는 석불입상을 보면 높이가 4m 이상이나 되는 거대석불이 많고, 눈, 코, 입 등의 조각수법이 조악한 형태로 많이 나타난다. 얼굴의 형태도 토속적인 모습이 많이 나타나는데 비해, 미암리 사지 석불입상은 얼굴의 짜임새가 뛰어나다. 이런 지역의 거대석불과 미암리 사지 석조 관음보살입상과 비교해 볼 때 좋은 연구 자료가 된다.


고목이 된 느티나무와 보호각 안에 보셔진 석조 관음보실입상. 그리고 앞으로 조성이 된 우물 등. 여름 느티나무가 무성하게 잎을 달고 있을 때, 꼭 한 번 다시 찾아보고 싶다. 올 봄 꽃피는 계절이면 저 석불입상의 어깨 위에 꽃봉오리도 꽃을 피우려나?

전국에는 수많은 석불이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다. 그 중에는 여래불, 아미타불, 미륵불 등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석조관음상은 그리 흔하지가 않다. 많은 석불 중 통영 용화사 관음암의 석조관음보살좌상은 경남유형문화재 제438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증평군에는 충북 유형문화재 제198호로 지정된 미암리 사지 석조관음보살입상이 있고, 경북 김천시 봉산면 덕천리에는 경북 유형문화재 제250호인 금릉 덕천리 석조관음보살 입상이 있다.

그 외에도 몇 기의 문화재로 지정된 석조관음상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 석조관음상이 귀한 것은 아마 그 조각을 하는 공정이, 딴 석불에 비해 까다롭기 때문으로 보인다. 경남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에는 고려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석조관음입상이 한 기 서 있다. 이곳은 예전에 건흥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이 관음입상은 건흥사에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378호 거창 상림리 석조관음입상

낯선 관음입상에 매료당하다.

12월 11일 찾아간 상림리 석조관음입상은, 처음 볼 때부터 사람을 들뜨게 만들었다. 그동안 수많은 석불들을 보아왔지만, 이런 형태는 낯이 설기 때문이다. 보물 제378호 거창 상림리 석조관음입상의 전체 높이는 3.5m 정도에 석불의 높이는 3,05m 정도이다. 이 석불이 관음입상이라는 것은 그 몸에 두른 법의나 손에 들고 있는 정병 등을 보아서 알 수가 있다.

석조관음입상의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보개가 솟아 있으며, 관음상에서 보이는 보관은 없어진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관음상은 석가모니불을 새긴 보관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가늘고 긴 눈을 반쯤 뜨고 있다. 얼굴의 가운데 길게 새겨진 코는 약간 손상이 되었다. 손상된 코로 인해서 얼굴의 윤곽이 조금은 불투명하게 보인다.


보개는 높이 솟아있고, 보관은 사라졌다. 목에는 10개의 고리로 된 목걸이가 있다.

특이한 조형미를 자랑하는 석조관음상

이 석조관음입상은 일반적으로 신라 때의 석조물에 비해, 미소가 줄어든 형태로 표현이 되었다. 하기에 그 모습이 인자하기 보다는, 조금은 엄숙해 보이기까지 한다. 어깨는 약간 각이 져 있으며, 평범한 가슴에는 10개의 고리로 된 목걸이 장식이 느리어져 있다. 이런 꾸밈으로 인해 장방형의 모습과 더해져 보살상 특유의 유연함이 부족한 듯하다.

양 어깨에는 단조로운 모양의 천의를 걸치고 있는데. 그 단조로움을 허리를 감아 도드라지게 표현한 띠로 인해 단조로움을 벗어나고 있다. 그 아래로는 양 다리에 걸쳐 U자형 옷주름이 엇갈리게 배치한 것도, 상림리 관음입상의 특징이다. 전체적인 천의의 형태가 매우 복잡한 듯 표현을 하였다. 얼핏 무사들이 입는 옛 갑옷을 연상케 하는 천의의 형태이다.


오른손에는 정병을 들고 있다. 대좌는 팔각으로 조성을 하여 연꽃무늬를 둘렀다.

이 관음입상은 오른손은 몸에 붙여 팔을 아래로 내려 정병을 들고 있고, 왼손은 가슴에 대어 연꽃송이를 쥐고 있다. 이런 모습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관음보살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음입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아래는 팔각으로 조성을 했으며, 그 위를 원으로 조성해 연꽃을 새겨 넣었다. 답사를 다니면서 쉽게 만날 수 없는 석조관음입상이라는 점도 그렇지만, 천의의 꾸밈이나 정병, 목걸이 등이 당시에 유행하던 지방의 불교미술의 특징으로 보인다. 정병을 든 오른팔의 팔뚝에는 띠를 두르고 있는 점도 특이하다.


코가 훼손이 되 측면으로 보면 조금은 이상한 모습이다. 오른손 팔뚝에는 겹으로 된 띠를 둘렀다
 
답사를 다니면서 가장 즐거운 것은 역시 하나하나 우리 문화재를 알아간다는 점일 것이다. 수많은 문화재를 돌아보면서 나도 모르게 지식이 쌓여가고 있다는 것에, 그저 피곤한 줄을 모르고 돌아다닌다. 이 다음에 더 많은 자료가 쌓이는 날, 공부를 하는 사람들에게 모든 것을 남겨주고 싶은 욕심에 힘든 답사의 여정을 재촉하는지도 모르겠다.


목걸이와 정병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