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4일.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장맛비라고 하더니 며칠 동안 참 사람을 움직일 수 없도록 뿌려댄다. 일기예보에서는 남부지방에 꽤 많은 비가 내릴 것이란 예보다. 한참을 망설이다가 진주에 볼일을 보아야하니, 후줄근하지만 길을 나서기로 마음을 먹었다. 출발은 했지만 이 빗길에 어찌해야 할지.

몇 곳을 들려 당동 당산을 찾아보기로 마음을 먹는다. 거창 가조면 소재지에서 가북면 방향 지방도 1099호 선을 타고 가다보면, 우측으로 사병리 당동마을이 나온다, 이리저리 찾아보았지만 당산은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아마도 외부인에게 그 속내를 보여주기 싫은가보다. 몇 분에게 길을 물어 겨우 마을 뒤편에 자리한 당산을 찾았다.



당산은 우리민족의 정신적인 거처

‘당산(堂山)’은 지역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에서는 산신당· 산제당 혹은 서낭당이라고 부른다. 영남과 호남 지방에서는 주로 당산이라고 한다. 당산은 돌탑이나 신목, 혹은 조그마한 집을 지어서 신표로 삼는다. 집을 지었을 때는 그 안에 당신(堂神)을 상징하는 신표를 놓거나, ‘성황지신’이란 위패를 모셔 놓는다.

당산은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부르는 명칭 또한 다르다. 내륙에서는 신당, 당집, 당산 등으로 부르지만, 해안이나 도서지방에서는 대개 ‘용신당’이라고 부른다. 이 당산에서는 매년 정월 초나 보름, 혹은 음력 10월 중에 길일을 택해 마을 주민들이 정성을 드린다. 당산제를 지낼 때는 집집마다 추렴을 하여 제물을 마련하는데, 이런 이유는 마을 사람 모두가 똑 같이 복을 받게 하기 위함이다.



당산제는 우리 민족의 정신적인 지주였다. 일제치하에서 문화말살정책을 편 것도, 그 한편에는 당산이 갖는 공동체의 정신을 말살하기 위함이었다. 사람들은 이 당산에 모여 정성을 드리고 음식을 나누면서, 서로의 끈끈한 정을 이어갔던 것이다. 마을의 안녕과 풍농과 풍어, 그리고 다산을 기원하던 곳인 당산. 그 당산에서 이루어지는 기원은 우리의 정신적인 지주였고, 당산은 우리의 마음의 거처이기도 했다.

당동마을 당산을 찾아가다

비는 잠시 멈춘 듯하다. 그러나 논둑길에 자란 풀들이 다리를 휘감는다. 빗물에 젖은 풀들을 헤치고 걷노라니 바짓가랑이가 축축이 젖어온다. 돌담을 쌓은 안에 작은 집 한 칸이 바로 당동마을 당집이다. 옆에는 소나무 두 그루가 나란히 서 있다. 아마도 할아버지 할머니 당산이라도 되는 듯.

당동마을 당산제는 삼국시대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그 숱한 세월을 당동마을 사람들의 정신적인 지주로 자리를 잡아 온 것이다. 이 당산은 철종 9년인 1858년과 고종 15년인 1878년에 부분적인 중수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1991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은 1858년에 기록한 상량문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당동마을의 당산제는 정월 초하루에 마을 원로회의에서 제관을 정한다고 한다. 보름이 되면 마을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위치하고 있는 문수산, 금귀봉, 박유산, 장군봉의 산신께 제를 지내고 난 후 마을에 있는 당집에서 제를 올린다. 당동 당산은 경남 민속자료 제2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당산을 만나 마음을 내려놓다.

멈추었던 빗방울이 다시 떨어진다. 당집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고 문을 열어본다, 한 칸 남짓 돌과 흙으로 지어진 당집 주변에는 금줄이 여러 겹 쳐져있다. 이 당동 당산제에서는 닭피를 뿌린다고 한다. 당집 안에는 간소하다. 벽에 걸린 선반에는 ‘당사중수기’와 위패가 모셔져 있다.



밑에는 촛불과 향을 피웠던 그릇들이 있다. 당집을 한 바퀴 돌아본다. 마을 주민들만 아니라 아마도 무속인들도 이곳에 와서 정성을 드린 것인지. 소나무 가지와 금줄에 오색천에 걸려있다. 당집을 찬찬히 돌아본 후 머리를 조아린다. 마음 한 자락 이곳에 내려놓고 가고 싶다. 삼국시대부터 전해졌다는 당동마을 당산이다. 그 안에 마음 하나두고 빗길을 돌아선다.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 419 교룡산성 동문 안으로 들어가 산길을 10여분 정도 오르면 선국사를 만나게 된다. 선국사는 통일신라 당시에 지어진 절로 알려져 있으며, 경내에는 전북 유형문화재 제114호인 대웅전이 서 있다. 이 대웅전은 교룡산성 안에 자리한 선국사의 중심 법당으로, 통일신라 신문왕 5년인 685년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이러한 기록으로 보아 당시에 선국사가 개창한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 순조 3년인 1803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선국사의 대웅전은 산성의 안에 비탈진 곳에 절을 마련했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돌로 단을 쌓고 그 위에 대웅전을 앉혔으며, 지금은 한창 전각을 짓느라 부산한 모습이다.



퇴락한 단청에 숨은 화려함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이 대웅전은 돌로 낮은 기단을 쌓고, 주추는 넓적한 자연석을 이용하였다. 기둥은 위아래의 변화가 없는 기둥을 사용했으며, 지붕이 밖으로 많이 돌출이 되어 사면에 바깥기둥을 대었다. 대웅전의 단청은 다채로운 그림을 그려 넣어 화려함을 느끼게 한다. 색은 오래되고 퇴락했지만, 그 화려함을 숨기고 있는 듯하다.

선국사의 대웅전을 돌아보니 이상한 것이 하나가 있다. 작은 법당치고는 유난히 여기저기 용의 조각이 많다. 대웅전 앞이나 측면의 공포와 부연 등에서 용의 조각이 보이고 있다. 법당 안에 있는 닫집에도 끝에 용두가 조각되어 있으며, 대들보 끝에도 용이 있다. 대웅전에서 만날 수 있는 용만해도 10여 마리는 됨직하다.




대웅전 외부에서 보이는 용조각

임진왜란 때 승병이 주둔하던 곳

왜 이렇게 크지 않은 대웅전에 용의 형상이 많은 것일까? 대웅전 안에는 한편에 커다란 북이 매달려 있다. 이 북은 전북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또한 승병대장이 사용했다는 인장도 있다고 한다. 이곳이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주둔했던 곳이라고 한다.

이 북은 둘레가 269cm, 지름이 79cm, 길이는 102cm로 절에서 사용하는 법당용 북으로는 상당히 큰 편이다. 소나무 몸통에 쇠가죽을 씌워 만든 이 대북은, 그 제작시기가 조선조 말엽으로 추정한다. 이 대북은 언제 사용을 했던 것일까? 교룡산성 안에 있는 선국사가 승병의 주둔지라고 한다면, 아마 이 북도 그와 관련이 잇을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 안에 걸린 민속자료 대북

선국사의 옛 이름은 용천사였다.

북과 인장은 그렇다 치고 도대체 이 선각사 대웅전에는 왜 특별히 용의 조각이 많이 나타나고 있을까? 선국사는 나라의 안녕을 비는 절이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그 전에는 어떤 이름을 썼을까? 바로 ‘용천사’였으며, 승려가 300여명이나 기거하던 대규모 절이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국사에 용이 많은 것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곳의 산성명칭도 교룡산성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을 보면. 이곳이 특별히 용과 관련이 된 전설이라도 있는 것은 아닐까? 용이 유난히 많은 선국사의 대웅전. 그 용들의 모습을 찬찬히 훑어본다. 대웅전 현판 옆에 있는 용은 입에 물고기를 물고 있다. 가끔 물가에 서 있는 정자 등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이기도 하다.



대웅전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용조각

사실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을 ‘반야용선’으로 비유한다. 그래서 대웅전의 중앙에는 용머리를 항상 조각한다. 하지만 선국사처럼 중앙과 네 귀퉁이에 용을 조각하는 예는 그리 흔치 않다. 그리고 법당 안에도 용의 조각이 있다. 이는 교룡산성, 용천사 등과 이곳의 지세가 남다른 점으로 보아, 이곳에서 더 큰 대국의 꿈을 키웠는지도 모른다. 다음번 이곳을 답사할 때는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겠다.

전국에는 ‘태실, ’태봉‘ ’태재’ 등의 이름을 가진 곳이 상당히 많이 있다. 이는 모두 왕족의 태를 묻은 곳이 있다는 이야기다. 왕자가 태어나면 태실도감을 설치하고 길일을 택해 ‘안태사.를 보내 태를 묻게 했다. 『경국대전』에 예전에 보면 지방은 관찰사가 왕과 왕비, 왕세자의 태실을 모두 살피게 되어 있다.

영조 22년인 1746년에 펴낸 조선 후기의 법전인『속대전』에는 태왕태실의 경계는 300보, 왕세자의 태실은 200보로 정해, 이 경계 안으로는 일반인의 출입을 금한다고 되어있다. 태실은 대개 한 사람의 것을 묻지만, 사적 제444호인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의 성주세종대왕 자태실은 모두 19기의 태실이 몰려 있는 곳도 있다.


태실은 어떻게 꾸미나?

태실은 대개 산의 봉우리 근처에 자리를 잡는다. 그러나 전주 경기전 안에 있는 예종대왕의 태실 및 비는, 일반 평지에 자리를 하고 있어 의아스럽게 생각을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 태실은 원래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현재의 자리에서 멀리 떨어진, 완주군 구이면 원덕리 구이초등학교 뒷산 정상부근에 있던 것이다.

이 자리에 있던 태실이 어떻게 해서 경기전 안으로 옮겨온 것일까? 태실은 태항아리라는 태를 담은 석실을 만들게 되어있다. 기단석을 놓고 그 위에 무늬를 새긴 앙련을 올려놓는다. 그 위에는 둥근 모양의 중동석을 놓고 개첨석을 올린다. 머리에 해당하는 덮개석은 복련과 보주로 구별된다.




이와 같이 땅 위에 있는 것과 달리 지하에는 기단석 밑으로 토석을 깔고 그 밑에는 개석을 놓는다. 태를 담은 태항아리는 돌로 만들고 그 안에 석함을 놓는다. 전체적으로는 땅 밑에서부터 태항아리, 석함, 개석, 토석, 기단석, 앙련, 중동석, 개첨석, 복련, 보주 등의 순서로 위로 올리게 되어 있다.

일제에 의해 파 해쳐진 예종대왕 태실

완주군 구이면에 있던 예종대왕의 태실은 선조 11년인 1578년에 태실을 만들었고, 영조 10년인 1734년에 고쳐지었다. 이렇게 태실을 고쳐지을 때는 예조의 당상관 및 감역관이 감독을 하는 자리에서만 가능했다. 이러한 예종대왕의 태실은 1928년 조선총독부가 태실에 있는 태항아리를 가져가면서 파괴가 되었다.

1920년대 우리문화말살정책을 편 일제는 숱한 우리의 문화재를 일본으로 가져가면서, 태실에 보관 중이던 태항아리도 가져간 것으로 보인다. 그 후 1970년에 태항아리를 잃고 폐허가 되어있던 예종대왕의 태실 및 비를 경기전 안으로 옮겨 복원하고, 전북 민속자료 제26호로 지정하였다.



그나마 석물은 보존이 잘 되어있어

다행인 것은 태항아리를 일본인들이 가져갔다고 하지만, 태실과 비의 석물들은 잘 보존이 되어있었다는 것이다. 예종대왕의 태실은 팔각형의 돌난간을 두르고, 그 안에 기단석을 놓았다. 그리고 배가 불룩한 둥근 중동석을 놓고 지붕돌을 덮은 형태이다. 태실 한편에는 비가 서 있는데 이 비에는 예종대왕의 태실이라 적혀있으며, 뒷면에는 건립년대를 적고 있다. 뒷면에 적힌 연대를 보면, 이 태실이 ‘만력 6년 10월 초 2일’에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선조 11년인 1578년이다.

비는 받침석을 거북이로 했는데 특별한 조각을 하지는 않았다. 다만 비의 덮개석에는 뿔이 없는 용을 새겨 넣은 것이 특이하다. 이틀 후 8월 29일은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날이다. 일제에 의해 수많은 우리 문화재가 훼손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숱한 문화재들이 있는데, 이 땅에 있는 문화재조차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는 현장을 볼 때마다 가슴이 미어지는 듯하다. 그보다는 먼저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가 제대로 알려질 수 있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중매체에 혈안이 되어있는 국적 없는 문화를 선호하는 우리민족의 우둔함이 더욱 가슴을 찢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