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자기 이름으로 된 땅을 갖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부자나무’라고 부른다. 자그마치 2천평이나 되는 땅을 갖고 있는 나무이다. 그리고 옆에는 2세까지 키워가면서 산다.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294호 석송령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땅을 지니고 살고 있는 나무 석송령은 그 자태만으로도 부자스럽다.

 

나무의 생육상태도 좋은 편이다. 그만큼 신경을 쓰고 있다는 소리이다. 가슴 높이의 줄기둘레가 자그마치 4.2m나 된다, 수령 600년에 나무의 높이는 10m정도다. 그러나 이 정도로 아무 것도 아니다. 그런 생육면에서는 이 나무가 부러울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그 나무는 자신의 앞으로 등기가 되어있는 땅이 있다는 점이다.

 

 

자신의 땅이 있어 안전하다

 

천연기념물이 자신의 땅이 아니라고 해서, 그 땅에서 나가달라고 할 사람은 없다. 천연기념물은 어디에 있던지 당연히 보호를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송령은 다르다. 자신의 앞으로 등기가 난 땅에 살고 있으니, 아무도 이유를 달수가 없다.

 

같은 천연기념물이지만 전주 삼천동의 곰솔은, 수령이 약 250살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4m, 가슴높이의 둘레 3.92m의 크기다. 인동 장씨의 묘역을 표시하기 위해 심어졌다고 전해지는 나무다. 그러나 2001년도 독극물 주입에 의해 ⅔ 가량의 가지가 죽어 외과수술을 받았다. 잘라진 가지가 보기에도 안타깝다.

 

 

 

남의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천연기념물들은 이런 피해를 입기도 한다. 그래서 석송령이 더 부러운 것이다. 자신의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니, 자연스럽게 보존이 된다. 옆으로 뻗은 가지는 쇠기둥과 돌기둥으로 받쳐놓았다. 보기만 해도 그 위용에 압도당할 만하다. 석송령이 이렇게 자신의 땅을 갖게 된 것은 이유가 있다.

 

마을의 신목인 석송령

 

석송령은 마을의 신목(神木)이다. 마을 사람들이 지극하게 위하는 나무이기 때문에 아무도 건드리지를 않는다. 우리의 습속 중에 하나인 신목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들이 전한다. ‘신목을 건드렸다가 그 해를 넘기지 못한다.’거나 ‘마을에서 위하는 나무를 잘라다가 땔감으로 썼는데, 그 집안에 우환이 그치지를 않았다’라는 이야기는 늘 들어 본 이야기다.

 

 

 

이런 설화 때문이 아니라고 해도 석송령은 끔찍이 위함을 받는 나무다. 석송령이란 이름이 붙여진 것도 이유가 있다. 약 600여 년 전 풍기지방에 큰 홍수가 났을 때 석관천을 따라 떠내려 오던 것을 지나던 과객이 건져 이곳에 심었다는 것이다.

 

그 후 1930년 경 이 마을에 사는 이수목이란 사람이 영험한 나무라고 하여 ‘석송령(石松靈)’이란 이름을 붙이고,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토지 6,600㎡(1,996.5평)를 석송령 앞으로 등기를 내주었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석송령은 ‘부자나무’로 불리고 있단다.

 

 

 

언제 찾아보던지 푸름을 잊지 않고 당당한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석송령. 소나무의 수령이 600년 정도가 한계라고 하지만, 석송령의 모습을 보면 그런 수령의 한계를 넘어설 것 같다. 곁에는 석송령의 2세가 자라나고 있으니, 부자나무는 무엇이 달라도 다르다는 생각이다. 볼 때마다 느끼는 위엄이 있어 기분 좋은 나무, 석송령은 그렇게 당당하게 우리를 맞이한다.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국도변을 지나다가 보면, 커다란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멀리서보면 마치 한 마리의 용이 머리를 쳐들고 있는 것 같은 이 소나무는, 수령 400년이 지난 천연기념물 제426호 대하리 소나무이다.

대하리 소나무는 반송의 일종으로 그 줄기가 마치 용이 뒤틀고 있는 듯한 형상이다. 2개의 우산을 맞대어 놓은 것 같다는 대하리 소나무. 그 모습은 여느 소나무에서 찾아보기 힘든 아름다움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426호 대하리 소나무

마을의 수호신이었으나 이제는 시들해

대하리 소나무는 높이가 6m, 가슴 높이의 둘레가 3m가 넘는다. 가지는 동서로는 15m 정도에 남북으로는 20m가 넘어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가까이 가서보니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보인다. 오랜 세월을 지나다가 보니 그런 세월의 아픈 상처가 생기는가 보다.

대하리 소나무는 주변에 황희선생의 영정을 모신 장수황씨 종택사당과 사원이 있어, 마을 이름을 ‘영각동’이라 불렀다. 마을에서는 주민들이 모여 매년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평안과 가내의 안녕을 기원하는 영각동제를 지냈다고 한다.

소나무 잎에 돌이 음식을 진설하는 지석이었다.

소나무의 앞을 보니 제단으로 사용했을 지석이 보인다. 사람들이 그동안 이 소나무를 얼마나 정성을 다해 위했는가를 알 수 있다. 지금은 영각동제도 중단이 되었다고 한다. 세월이 변하면 사람들도 그러한 것에 별 의미를 두지 않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주인의 마음이 2세를 키우고 있어

소나무를 찍으려고 하는데 옆에 있는 식당에서 한 분이 나와 제지를 한다. 이유를 알고 보니 대하리 소나무가 있는 대지의 주인이란다. 소나무야 문화재청에서 관리를 하는 것이지만, 이 땅의 주인이니 엄밀히 따지자면 이 분이 주인이 되는 셈이다. 사람들이 함부로 사진을 찍는다고 소나무를 해칠까 걱정이 된다는 것이다.


대하리 소나무는 반송의 일종으로 마치 용이 뒤틀고 있는 형상이다.

미처 이야기를 하지 못했음을 사과를 하고, 소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물었다. 소나무 여기저기를 둘러보면서 친절하게 설명을 한다. 소나무로 인해 주변 정리를 함부로 할 수도 없어서 많은 불이익을 보고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그러다가 따라오라고 하여 건물 뒤로 따라갔더니, 작은 소나무들이 보인다. 바로 천연기념물인 대하리 소나무의 2세라는 것이다. 그저 지정만하고 아무 대책도 세워놓지 않아, 수령이 많아 죽어간 나무들을 보아온 터다. 그런 것들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는데, 대하리 소나무는 2세들이 자라나고 있었다. 제법 큰 나무들도 보인다.


수술을 안 부위가 안에서 썪어가고 있다고 한다.
식당 건물 뒤편에 자라고 있는 대하리 소나무의 2세들.

나무가 상해 잘라내고 외과수술을 한 곳이 드러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어찌 이렇게 방치를 할 수가 있나 싶었는데, 그나마 2세들이 자라나는 것을 보니 조금은 위안이 된다. 수많은 천연기념물들이 훼손이 되는 모습들을 보면서, 그래도 위안이 되는 것은 바로 이런 정성을 드리고 있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이다. 탁주라도 한 잔 마시면서 오랜 시간 이야기라도 하고 싶었지만, 정해진 일정 때문에 소나무를 뒤로한다. 매번 상처를 받아 돌아오는 답사 길이었는데, 모처럼 찡그리지 않는 날이었던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