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없이 화성을 걸었다. 10년 넘게 화성을 촬영하면서 아픔도 보았다. 바로 서장대가 화재로 인해 소실이 된 사건이다. 지금은 번듯하게 제 모습을 하고 있는 서장대를 바라보면 늘 고마움을 느낀다. 서장대는 팔달산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정조대왕은 8일간의 화성 행차 때 이곳에서 밤에 군사훈련을 주도했다. ‘야조가 그것이다.

 

26e수원뉴스 김우영 주간과 함께 서장대에 올랐다. 화성을 돌아보는 사람들 누구나 이곳을 오른다. 하지만 서장대만 바라보았지, 그 뒤편 서장대의 성벽을 살펴보는 것을 차근차근하지 않는다. 그런데 성벽이 이중으로 쌓여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곳에 총안이 있다. 그냥 성벽을 걷는 길인 줄로만 알았는데 이중의 성벽이라니.

 

암문을 통해 성 밖으로 나가보았다. 무심히 지나쳤던 화성 서장대의 밖의 성벽. 참 어지간히 바보라는 생각이 든다. 성벽 위 여장에 난 총안이 아니라 성벽에 총안이 있다. 총안마다 네모나게 단단히 총안 주변을 돌을 쌓았다. 그리고 이곳의 여장에는 틈이 없다. 여장을 붙여 설치를 했다. 중요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적이 왔다면 지례 기겁을 할 판

 

서장대 밖의 성벽을 보다가 또 다른 화성을 만났다. 만약에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하면, 가파른 팔달산을 힘들여 올라온 적들이 숨조차 돌리기 전에 미리 기겁을 하고 죽을 판이다. 여장에서만 화살과 총알이 날아오는 것이 아니라, 성벽에서도 끓는 물과 화살과 총알이 날아온다고 생각을 해보라. 그 자리에서 지례 겁을 먹고 숨이 멎을 판이다.

 

정말 대단한 화성인데 한 번도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지지 않은 것이 아깝네.”

아마 적들이 힘들게 여기까지 기어올라 왔다면 그 자리에서 바로 죽음이라니

 

서장대 바깥의 성벽을 보면서 놀라움이 이어진다. 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성을 쌓을 생각을 한 것일까? 주요시설마다 여장의 틈을 주지 않은 것도 놀라운데, 이중으로 된 성벽에 난 총안이라니. 새삼 화성의 견고함에 놀랄 수밖에.

 

 

쐐기흔적을 찾아내다.

 

서장대 바깥은 돌들이 여기저기 놓여있다. 바위를 절개한 흔적으로 보니, 이곳에서도 화성을 쌓을 때 돌을 뜬 곳이다. 수십 번을 이곳을 지나치면서도 돌을 떴다는 생각만 했지, 화성을 쌓을 때 돌을 떠내기 위해 쐐기를 박았던 흔적을 찾아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중으로 쌓은 화성을 보고난 뒤, 이곳에도 쐐기를 박았던 흔적이 있을 것 같아 두 사람이 여기저기 살펴보기 시작했다.

 

여기 있어요.”

김우영 주간이 작은 바위 하나를 가르친다. 작은 돌 하나에 쐐기를 박기 위해 파 놓은 자욱이 그렇게 남아있다. 서장대 바깥의 성벽은 멀리가지 않고 바로 밑 바위를 쪼개 쌓았다는 것이다. 하긴 이 꼭대기까지 어떻게 큰 돌을 날라다가 성벽을 쌓았을까? 그 흔적 하나가 화성의 또 다른 비밀을 알려주고 있다.

   

화성은 100바퀴를 돌아야 전부를 알 수 있다

언젠가 화성을 답사하다가 만난 어르신의 말씀이다. 그 때는 속으로 ‘100바퀴씩이나하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화성은 돌아보면 돌아볼수록 알지 못했던 것들이 눈에 띠기 시작한다. 이제야 그 어르신이 정말 화성의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가을날의 오후, 새삼스럽게 화성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전부를 알 수 없는 화성, 정말 100바퀴를 돌아보아야 할 것만 같다. 돌아보면 또 다른 무엇이 놀라게 하는 화성. 오늘 또 화성의 숨어있던 한 곳을 찾아낸다. 답사의 즐거움이다.

‘화성 겉돌기’라고 하니, 사람들은 화성에서 빈둥거리고 노는 줄로만 아는가 보다. 하지만 말 그대로 화성의 겉(밖)을 돌아본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화성을 이야기할 때 주로 안으로 돌면서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화성을 보다가 보면, 그 밖으로의 경치도 만만치 않게 아름답다. 또한 성이라는 축조물의 특성상 밖이 성이 되기 때문이다.

 

그저 성곽만 보이는 성벽을 끼고 도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이냐고 묻는다. 그렇지 않다. 성은 밖으로 돌면서 지형지물의 이용이나, 축성의 형태, 또는 주변 경관 등을 논하지 않고는 온전한 성을 이야기할 수가 없다. ‘화성 겉돌기’는 그래서 중요하다. 12회 정도로 나누어 돌아보는 화성 겉돌기를 하려는 이유이기도 하다.

 

 

채석의 흔적이 있는 화양루 밖

 

수원시 팔달구 교동 3-3에 소재한 수원중앙시립도서관을 마주보면서 우측으로 조그만 소로 길이 하나 보인다. 팔달산 지석묘군을 향해 오르는 길이다. 이 길 위에는 화성의 남쪽 능선을 지키는 용도가 있고, 그 끝에 서남각루인 화양루가 자리한다. 숲길을 따라 오르면 여기저기 지석묘군이 있다.

 

지방유형무형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지석묘군의 주변에는 바윗덩어리들이 널려있다. 바위에는 돌을 쪼아내기 위해 구멍을 파 놓은 것들이 보인다. 화성을 축성할 때 이곳에서도 성벽을 쌓을 돌을 채석한 것이다. 화양루를 향해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널린 바위들의 면이 똑바로 절개된 것들이 보인다. 아마도 돌을 떼어낸 곳인 듯하다.

 

 

 

그리고 보면 이곳의 바위와 성을 쌓은 돌의 색깔이 비슷하다. 멀리까지 갈 것 없이 바로 그 밑에서 떼어난 돌로 성을 쌓았는가 보다. 화양루를 끼고 성의 서쪽을 향해 걷는다. 이 길로 성길을 따라가면 서장대를 지나 화서문을 향할 수가 있다.

 

밖에서 보는 서남암문 과연 절경일세

 

9월 4일 오후. 비는 더 세차게 퍼 붓는다. 가끔씩 바람도 불어 땀을 씻어주는 것은 좋은데, 우산이 자꾸만 뒤로 넘어가잔다. 그래도 천천히 걸음을 걸으면서 숲 냄새를 맡아본다. 비가 오는 날은 숲은 더욱 더 냄새가 강하다. 심호흡을 하면서 성 밖의 소나무들을 본다. 이리저리 구불거리며 제 멋대로 자랐다.

 

 

 

아마 역사의 진저리를 저리도 몸으로 표현을 한 것은 아닐까? 용도 서편의 담이 유난히 낮다. 지금이야 이곳에 길이 생겼으니 이리 낮지만, 과거에는 이곳 밖으로 급경사였으니 굳이 성벽이 높아야 할 이유도 없었을 것이다.

 

빗발이 점점 거세진다. 그저 아무렇게나 휘어진 소나무 숲에서 짙은 숲의 향이 코를 간질인다. 이런 분위기가 못내 좋아 이 길이 늘 정겹다. 조금 더 걸어본다. 새 한 마리가 비에 젖어 나무꼭대기에서 오글거리고 있다. 어찌 보면 저 새야말로 가장 행복한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그저 날개를 툴툴 털고 가장 편안하게 날아오를 수가 있을 테니까.

 

 

 

내가 화성 겉돌기를 하는 까닭이지

 

성곽 보수를 하느라 아래 위를 다른 돌로 쌓아올린 곳을 지나치다 보면 옛 분위기 물씬 풍기는 치(성 벽으로 기어오르는 적을 뒤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성벽에서 돌출시켜 만든 구조물)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서삼치, 서쪽에 있는 치 중에서 세 번째 치라는 말이다. 화성을 안에서 돌던 때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받는다. 서삼치 앞에 늙은 노송 한 그루가 서 있다.

 

그 노송을 바라보고 있노라니, 먼 옛날 내가 이 자리에 있었을 것만 같은 생각이다. 저 나무는 그저 성벽을 타고 넘어 성 안으로 들어가고 싶었는지, 꽤나 키를 키우고 있다. 앞뒤로 보이는 서삼치의 풍광에서 첫 번째의 발길을 멈춘다. 그저 지나치기가 아쉽기 때문이다. 이런 풍광이 있어, 내가 화성 겉돌기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가끔은 뒤를 돌아다 봅니다. 그저 내가 지난 날을 어떻게 살아왔나? 그리고 남은 시간은 어떻게 마무리를 할까를 깊이 생각해 보고 싶어서이기도 합니다. 15일 오전과 오후 하루에 두번의 행사를 치루고나니, 거의 추주검 상태로 변했다는 것이죠. 역시 나이는 속일 수 없는 것이란 생각입니다. 이제 점점 기운이 떨어져간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죠.

사람은 가끔은 지난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도대체 나는 어떻게 찾아볼 수 있을까가 궁금해졌다는 것이죠.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서 나를 찾아보았습니다. 지금 다음뷰나 오마이뉴스에 보이는 나란 인간 말고, 또 어떤 나를 발견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 궁금하기도 했고요.


나이 20대에 작곡을 시작하다

가장 오래된 자료는 1970년에 <동아음악콩클 작곡부분>에 입상을 하면서 동아일보에 보도가 된 자료입니다. 벌써 40년이 지난 나를 인터넷에서 발견을 한 것이죠. 그리고 이어서 여러 해 작곡에 몰입하면서 여기저기 이름이 보이고 있습니다. 1979년 국립무용단 정기공연, 제1회 대한민국 무용제, 1982년 인천시립무용단 창단공연 등의 자료가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만나볼 수가 있습니다.




제일 위 신문은 1970년 동아일보입니다. 나눔 단 아래 첫 번째 신문은 동아일보 1979년 5월 신문으로 국립무용단 정기공연 작곡을 맡아했을 때, 두번 째는 1981년 제3회 대한민국 무용제 때 기사입니다. 그리고 밑은 1982년 인천시립무용단 창단공연인 '굴레야'를 작곡했을 때 신문기사입니다.
 
그동안 관현악, 중주곡, 무용음악 등 한 30여곡은 작곡을 한 듯합니다. 그 때의 악보는 하나도 갖고있지 못해 아쉽지만, 국립국악원 자료실과 문예진흥원 자료실에 자료가 남아있다고 하네요. 그렇게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입니다.

작곡가 사전이라는 책이 1999년에 발간이 되었는데, 그 책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1985년부터 책을 쓰기 시작해, 그 동안 저서 20여권

아마 책을 쓰면서 가장 많이 쓴 것은 일년에 4권인가를 썼습니다. 일년 동안 답사를 마치고 나면, 책상앞에 앉아 글만 쓴 것이죠. 1985년인가 이천에서 처음으로 '거북놀이'라는 책을 쓰고나서, 안성남사당풍물놀이도보, 용인의 내고장 민속, 대전의 한밭의 옛노래 등 지역의 전통문화와 민속, 무속 등에 대한 책을 열심을 내어 썼죠


그동안 쓴 책들이 20여권이 되는데, 일부만 몇 권 보관하고 있습니다. 이 책들은 거의 품절이 되어서 도서관에서나 만나볼 수가 있다고 하네요.

책을 쓴다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더욱 지역의 책을 한 권 쓰기 위헤서는 제가 다루는 부분의 특성상, 지역 전체를 마을마다 돌아다니면서 현장에서 채록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노력을 필요로 하죠. 

마을마다 다니면서 어르신들께 일일이 부탁을 드리고 가사를 녹취하고, 악보까지 곁들이기도 합니다. 하루 종일 돌아다녀보아야 한 두곳이 고작이죠. 그렇게 만들어낸 발로 쓴 책들입니다.
 

네이버에서 책 한권을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품절이 되어서 이제는 구할 수조차 없는 책이 되어버렸네요.

 

위는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 책의 목록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있는 책입니다.

살다가 보면 내가 무슨 일을 해왔는가가 정말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하루 종일 지쳐 자리에 들어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지난 시간의 흔적을 보고 싶어 찾아낸 내용들입니다. 참으로 숨 가쁘게 살아온 세월이었네요. 별로 편안하게 쉬어 본 적이 없는 듯합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바쁜 걸음을 걸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이제 문화재에 대한 열망으로 당연히 또 그런 세월을 살아야 할테죠.

'그것이 사람사는 것 아닌가요?' 하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해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