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34-11에 소재한 보물 제563여수 흥국사 홍교 (麗水 興國寺 虹橋)’. 흥국사 입구에 있는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를 말하는 것이다. 이 흥국사 홍교는 인조 17년인 1639년에 세워진 다리로, 지금까지 알려진 무지개형 돌다리 중에서는 가장 높고, 긴 다리이기도 하다.

 

언제 찾아가도 주변 경치와 잘 어우러진 이 다리는, 개울 양 기슭의 자연 암반에 기대어 쌓았다. 부채꼴 모양의 돌을 서로 맞추어 들어 올린 다리 밑은,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가 아릅답게 조형이 되어있다. 이 흥국사 홍교의 특징은 양옆으로 둥글둥글한 돌로 쌓아올린 벽이다. 마치 학이 날개를 펼친 듯, 길게 뻗쳐 조화를 이룬다.

 

 

계특대사가 조성하였다는 홍교

 

이 흥국사 홍교는 인조 17년인 1639년에 계특대사가 화강석을 이용하여 쌓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주변 경치와 어울려 하나의 아름다운 조형물로 평가되는 이 홍교는, 다리 아래로 흐르는 하천의 암반 위에 편단석을 놓고, 그 위로 같은 형태의 석재를 층층이 쌓아 홍예를 조성하고 있다.

 

86괴의 장방각석이 반원의 형태를 이루면서, 정확한 각을 이루어 스스로 지탱하도록 하였다. 그 당시에 어떻게 이렇게 견고하게 홍예를 조성할 수가 있었는지 놀랄 만하다. 다리의 총 길이는 11.8m이며 폭은 2,7m, 높이 5.5m의 흥국사 홍예교. 흥국사를 답사할 때 들렸던 이 무지게 다리는 아직도 눈에 삼삼하다.

 

 

자연잡석을 이용한 노면

 

기하학적인 정확한 각을 이루어 스스로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조형을 한 흥국사 홍교. 그러나 1981년 폭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붕괴가 되었으나, 그 이듬해 복원을 하여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홍예의 한복판에는 양쪽으로 마루돌이 튀어 나와, 그 끝에 용머리를 장식하여 마치 용이 다리 밑을 굽어보고 있는 듯하다.

 

양측벽은 자연잡석을 마구 쌓기로 하여, 완만하고 긴 노면을 형성하고 있다. 잡석을 쌓은 양쪽 석벽 하류는 여유 있는 날개 모양으로 전개되어, 수압 및 자체 하중에 견디도록 구축하였다. 홍예의 석축 위에는 흙을 쌓아 자연 노면을 만들었는데, 그 양쪽 가에는 풀이 나서 자연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선조들의 놀라운 조형술

 

우리나라의 많은 돌다리 중 홍예교를 보면 가히 놀랄 수밖에 없다. 어떻게 그리 정확한 수치로 계산을 해, 한 장의 돌이 아닌 여러 장의 석재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 돌들이 서로 버티면서 무너지지 않고 오래도록 갈 수 있는 것인지. 선조들의 조형술은 가치 압권이란 생각이다.

 

늦은 가을에 찾아갔던 흥국사 홍교. 아마도 수많은 문화재를 보기위해 전국을 다녔지만, 그 중에서 만난 석교 중에서도 주변 경치와 가장 잘 어울리는 다리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올 가을 단풍이 흐드러지게 드는 날 다시 한 번 찾아가 보아야겠다. 문화재란 늘 잊지 않고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기 때문이다.

 

아마 명칭을 육송정 홍교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이 다리 부근 어딘가에 육송정이라는 정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보물 제1337호인 고성 육송정 홍교는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에 위치하고 있다. 소재지가 두 곳의 지명을 사용하는 것은, 이 홍교를 놓은 내가 해상리와 탑현리의 경계가 되기 때문이다.

 

간성읍에서 고성 건봉사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군 훈련장과 같은 곳이 보인다. 그리고 현재 사용하는 다리 옆에 육송정 홍교가 자리하고 있다. 이 홍교는 보물인 건봉사 능파교와 비슷한 시기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조 영조 24년인 1748년에 편찬된 간성군읍지에는, 이 홍교가 언제 만들어졌는지 모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 점으로 보아 건봉사 능파교보다 앞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연 암반을 이용해 축조한 홍교

 

육송정 홍교는 하천의 폭이 12.3m 정도가 되는 곳에, 10.6m의 다리를 놓았다. 다리 위는 양편으로 네모난 장대석을 줄지어 놓고, 그 위에 황토 등으로 메우는 방법을 택했다. 다리 밑으로 내려가 본다.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육송정 홍교는, 동쪽은 그대로 암반을 이용해 그 위에 홍예돌과 비슷한 크기의 장대석을 올렸다.

 

서쪽은 3단의 지대석을 쌓은 뒤, 그 위에 홍예석으로 올리는 방법을 택했다. 이 지대석의 1단은 땅 속에 묻혀있어, 그 크기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2단과 3단의 지대석은 커다랗고 네모난 돌을 사용했으며, 각각 두 장의 돌을 붙여놓았다. 그 크기는 2단의 높이가 70cm 정도이고, 3단은 60cm 정도인데, 3단의 가운데는 안쪽으로 파손이 되었다.

 

 

이 육송정 홍교는 축조한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능파교와 함께 영조 21년인 1745년 대홍수 때 붕괴가 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능파교를 축조한 숙종 30년인 1704년이나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한다.

 

꾸밈이 없는 단아한 육송정 홍교

 

이 육송정 홍교의 특징은 홍예와 날개벽 사이의 교각 면석을 장대석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자연적인 냇돌을 사용하였는데, 아래편에는 큰 돌을 위편에는 작은 돌을 써서 무게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단칸 홍교로는 보기 드물게 단아한 형태로 축조가 된 육송정 홍교는, 20066월에 홍교를 해체 복원하였다.

 

 

홍예를 구성하고 있는 장대석은 갈고 짧은 것을 적당히 섞어 공고하게 축조를 하였다. 2~3장의 장대석으로 이를 맞추어 쌓은 홍예는 매우 견고하게 보인다. 홍예밑으로 흐르는 물은 암반 위로 흐른다. 하기에 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인한 피해는 거의 없을 듯하다.

 

동편 홍예의 지대석을 자연 암반을 그대로 이용하여 쌓은 육송정 홍교는 단아하다. 화려하게 모양을 낸 여느 홍교와는 달리 고졸한 멋을 풍기고 있다. 다리 하나를 놓으면서도, 이런 세세한 면까지 신경을 쓴 선조들의 지혜에 감탄을 할만하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을 닮았다는 생각이 드는 육송정 홍교. 아마도 이 다리가 그렇게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것도,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은 아닌지. 육송정 홍교 위에 서서, 몇 번이고 소리를 내어 감탄을 한다.

전남 벌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벌교의 유명한 참꼬막의 맛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줄을 잇고 찾아오기 때문이다. 벌교에 도착한 시간은 해가 지기 전이다. 해가 길어서 조금 늦게 가도 언제나 대낮이다. 요즈음 답사는 절로 신이 난다. 하루 해가 길다가 보니, 겨울철 보다 두 배는 더 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벌교에 도착하자마자 먼저 홍교로 달려갔다.

 

홍교보다 ‘횡갯다리’가 더 좋아

 

홍교라는 말보다는 ‘횡갯다리’라는 말이 더 정겹다. 우리 문화재의 명칭이나 부분을 설명할 때 거의가 어려운 한문으로 되어있다. 아이들이나 한문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읽어보기에는 난해하다. 각 지역에서 부르는 우리말을 사용하면 더 친근감이 들고, 오히려 귀중한 것임을 알리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명인 벌교(筏橋)라는 말은 '뗏목다리'라는 뜻이다. 벌교읍 벌교리 벌교천에 놓인 다리를 말한다. 예전에는 이 벌교천 위에 뗏목다리를 놓아 통행을 했기 때문에 벌교라는 지명도 그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뗏목을 연결해 만든 다리를 말하는 '벌교'라는 보통명사가 고유명사로 바뀐 유일한 곳이 바로 벌교라는 것이다.

 

월천공덕으로 지어진 다리

 

홍교는 무지개다리를 말한다. 무지개다리란 아치형으로 만든 다리를 말하는데, 벌교 홍교는 세 칸으로 축조된 다리이다. 다리의 길이는 총 27m 정도이며 높이는 3m, 폭은 4.5m 정도이다. 이 다리는 조선 영조 5년인 1729년에 순천 선암사의 초안과 습성 두 선사가 만들었다고 전한다.

 

 

 

'월천공덕'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깊은 내에 다리를 놓아 사람들에게 편의를 주는 것이다. 사람이 할 수 있는 공덕 중 하나이기도 한 월천공덕. 선암사의 두 선사는 비가 많이 오면 물이 불어 사람들이 건너지 못하는 벌교천에, 횡갯다리를 놓아 언제나 사람들이 건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심곡의 사설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선심하마 발원하고 진세 간에 나가더니 무슨 선심 하였느냐 바른대로 아뢰어라

늙은이를 공경하며 형우제공 우애하고 부화부순 화목하며

붕우유신 인도하여 선심공덕 하마더니 무슨 공덕 하였느냐

배고픈 이 밥을 주어 기사구제 하였느냐 헐벗은 이 옷을 주어 구난선심 하였느냐

좋은 터에 원을 지어 행인구제 하였느냐 깊은 물에 다리 놓아 월천공덕 하였느냐

목마른 이 물을 주어 급수공덕 하였느냐 병든 사람 약을 주어 활인공덕 하였느냐

높은 뫼에 불당 지어 중생공덕 하였느냐 좋은 터에 원두 놓아 만인 해갈하였느냐

 

 

다리 옆에 중수비군이 서있어

 

벌교 홍교는 현재 보물 제30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다리는 영조 13년인 1737년과 헌종 10년인 1844년에 중수를 하였다. 홍교 곁에는 다리를 중수할 때마다 세워놓은 중수비가 있다. 홍교는 '단교(斷橋)'라고도 했다. 이는 비가 많이 오면 다리가 끊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홍교 옆에 있는 5기의 중수비에도 단교라고 적혀있다.

 

이 중수비는 마모가 심해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가 힘들다. 중수비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1737년, 1844년, 1899년에 보수를 한 것이 파악이 되었다. 현재의 홍교는 1981 ~ 1984년에 걸쳐 보수하여 원형을 찾은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홍교 곁에 붙여 건축한 또 다른 다리다. 그 다리로 인해 자칫 보물인 홍교의 가치를 잃을 것만 같다. 괜한 우려인지는 몰라도. 차라리 홍교는 그 상태로 놓아두고 조금 떨어진 곳에 다리를 가설했다면 더 좋았을 것을. 아니면 홍교 곁에 뗏목다리를 놓아, 홍교의 옛 모습을 재현했다면 하는 바람이다.

 

 

 

벌교의 명물인 보물 횡갯다리. 다리 밑으로 들어가면 천정에 붙은 용머리가 보인다. 얼핏 말머리 같기도 한 이 용머리는 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물이 많이 불어나지나 않을까 지켜보고 있는 듯하다. 월천공덕으로 놓아졌다는 이 다리에서 초안, 습성 두 선사의 마음을 읽는다. 잠시나마 부처가 된 마음으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