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의 대웅보전은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에 지어진 전각이다.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인 633년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소래사였다고 한다. 원래는 큰 절을 대소래사’, 작은 절을 소소래사라고 하였는데, 그 중 대소래사는 불타 없어지고 소소래사가 지금의 내소사이다.

 

대웅보전은 조선 인조 11년인 1633년에, 청민대사가 절을 중창할 때 지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 대웅보전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우측에 대세지보살, 좌측에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이다. 대웅보전의 규모는 정면 3측면 3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부분에 짠 장식구조가 다포양식인데,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들의 포개진 모습은 우리 옛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꽃 창살의 아름다움은 창호의 백미

 

내소사 대웅보전의 앞쪽 문에 달린 창호의 창살은 꽃무늬로 조각하여, 당시의 뛰어난 조각 솜씨를 엿보게 한다. 연꽃, 국화꽃, 해바라기 등 꽃문살 무늬는 문마다 모양이 다르고 나무결을 그대로 살려 꽃잎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다. 대웅보전 안쪽으로 들어가면 벽체 윗부분에 있는 부재 끝을 연꽃 봉오리 모양으로 장식하였고, 보머리에는 용이 물고기를 물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 건물의 화사함을 더해 준다.

 

천장은 우물천정으로 꾸몄으며, 불상 뒤쪽 벽에는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것 중 가장 큰 백의관음보살상이 그려져 있다. 공예로 가치가 높은 문살 조각과 독창적인 장식물 등 조선 중기 이후의 건축 양식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건물이다.

 

 

목침으로 꾸민 내소사 대웅보전

 

이 보불로 지정이 된 내소사 대웅보전에는 전설이 전한다. 대웅보전 오른쪽 천장의 목침이 왼쪽의 것보다 하나가 부족한데, 그에 관해 전설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소사가 퇴락해 가고 있을 때 창민대사는 날마다 내소사 일주문 앞에가 누군가를 기다리고는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대웅전을 짓기 위해 목수가 찾아왔다. 그 목수는 나무를 목침만한 크기로 잘라 다듬기를, 3년 동안이나 계속하였는데 그 동안 말 한 마디 하지 않고 일만 계속하였다. 주지인 청민대사는 기다리기만 했다.

 

그 절에 상좌스님이 목수를 곯려주려고 목침 하나를 감췄다. 3년 동안 목수는 목침 다듬기를 다 마친 후 수북이 쌓아둔 목침을 세더니 눈물을 흘리며 청민대사를 찾아갔다. 목수는 목침 하나가 없어졌으니 대웅전을 지을 인연이 없다고 말하고 돌아가려고 했다. 청민대사는 목침이 하나 없는 채로 법당을 짓도록 부탁을 했고, 목수는 그 목침을 이용해 순식간에 법당을 완성했다.

 

 

법당을 완성하자 청만대사는 화공을 불러와 단청을 그리도록 했다. 단청이 완성될 때까지 누구도 그 안을 들여다보아서는 안된다고 신신 당부를 했다. 법당 앞에는 항상 목수가 지키고 있었다. 상좌스님은 궁금해서 견딜 수 없었다. 그는 목수에게 대사가 찾는다고 거짓말을 하고 법당 안을 들여다보니 오색영롱한 작은 새가 부리에 붓을 물고 벽에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그런데 상좌스님이 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리면서 새가 날아가 버렸다. 법당 앞에는 큰 호랑이 한마리가 죽어 있었다. 커다란 호랑이가 죽어있는 모습을 본 청민대사는 대호선사여, 생사가 하나인데 그대는 지금 어디 있는가?”

 

 

이러한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내소사의 대웅보전. 벌써 다녀온 지가 꽤 오랜 시간이 흐른 듯하다. 올 봄 꽃이 필 때는 내소사를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짚은 우리 생활에 아주 오래 전부터 요긴하게 쓰였다. 우선 짚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초가집의 이엉 엮기이다. 추수가 끝나는 가을이 되면 초가지붕을 새로 덮는데, 짚을 엮어 씌우고 맨 위에는 용마름을 얹는다. 그 외에도 소의 사료로 사용하는가 하면, 각종 도구 등을 만들기도 했다. 새끼를 꼬는가 하면 광주리, 짚신, 삼태기, 망태기, 다래끼, 채반, 멍석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짚으로 제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짚을 사용하는 것은 제작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용을 하는 기간이 짧아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없지도 않아, 점차 짚을 이용해 제작한 도구 등이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짚을 이용해 도구 등을 제작하려면 일일이 수공예품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짚공예를 할 수 있는 어르신들이 세상을 떠나자 자연쇠퇴 되기도 했다.


‘호랑이 한 마리 사가시려우’

전주 경기전 안 서재마루. 열심히 짚을 이용해 무엇인가를 만들고 계시는 분들이 계시다. 한 분은 연신 판소리 한 대목을 불러가며 손을 놀린다. 그 옆에는 직접 만들었다는 짚공예품들이 나열이 되어있다. 일반적인 소품이 아니라 멧돼지, 호랑이 같은 동물들이다. 그 짚으로 만든 동물들을 보다가 그만 웃음을 터트렸다.

그 모습이 우스워서 웃은 것이 아니고, 짚으로 만든 호랑이의 표현력 때문이다. 코털을 세우고 입을 쩍 벌린 호랑이는, 금방이라도 포효를 할 것만 같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이빨이 날카롭고 혓바닥까지 있다. 외국인들은 신기한 듯 들여다보다가 연신 카메라에 담아낸다. 어린 아이 하나가 호랑이가 무섭다고 칭얼댄다. 옛날이야기라도 들은 것일까?



짚을 만지면 손이 거칠어진다. 그러나 예전에는 이렇게 직접 제작을 했다. 멧돼지와 돼지의 표현이 재미있다.

‘호랑이 한 마리 사가시려우?’농으로 하는 이야기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을 듯하다. 일일이 새끼를 꼬아, 그것으로 제작한 호랑이다. 몇 날을 저 호랑이 한 마리를 만들기 위해 소일을 했을 것이다. 그런 것을 가격으로 따질 수는 없다. 그저 그 호랑이의 모습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어르신의 미투리는 신어도 좋을 듯

그 옆에는 연세가 지긋하신 어르신 한 분이 연신 손을 놀리고 계시다. 앞에 보니 <김형철 할아버지의 수공예작품>이라고 쓰여 있다. 짚신이며 미투리, 소쿠리 등이 보인다. 비닐과 짚을 섞어 손수 제작하신 미투리가 눈길을 끈다. 당장 신어도 좋을 듯하다.


전주 경기전 안 서재마르에서 짚공예를 하시는 김형철 어르신과 수공예품인 미투리

짚공예의 역사는 상당히 길다. 『고려도경』에 보면 짚신을 만들 때는 삼이나 왕골 등을 섞어서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려도경은 전 40권으로 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 인종 1년인 1123년에 고려를 방문하여, 당대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군사, 풍속, 예술, 기술, 복식 등을 정리한 책이다.

누구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많은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짚공예. 이제는 실생활에 사용하기 보다는, 집안을 장식하는데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만큼 짚공예가 점차 사양길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기전 서재 마루에서 입을 벌리고 있는 호랑이도, 어쩌면 너무 많은 것을 잃어가고 있는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니었을까? 그 호랑이의 떡 벌린 입이 자꾸만 눈에 밟힌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