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도중 출토되었다는 삼존불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번지에는 비구니의 요람이라는 봉녕사가 소재한다. 봉녕사는 비구니 승가대가 있는 절이다. 봉녕사의 용화각에는 고려중기의 석불로 보이는 석조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다. 이 석조삼존불상은 대웅보전 뒤편 언덕에서 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도중에 출토되었다고 한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어있는 석조삼존불상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있다. 불상과 연화대좌는 각각 하나의 석재로 조성하였는데, 모래가 많이 섞인 화강암으로 조성하였다. 삼존불 모두 뚜렷한 이목구비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오랜 시간 땅 속에 파묻혀 마모가 된 것으로 보인다.

 

16일 오후, 봉녕사를 찾아갔다. 전날 찾아가려했지만 15일은 우란분절이라 봉녕사를 찾아오는 신도들 때문에 삼존불이 모셔져 있는 용화각에는 접근조차 쉽지 않을 것 같아 뒷날인 16일을 택한 것이다. 봉녕사 경내로 들어서니 사진촬영금지라는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함부로 사진촬영을 했으면 이렇게까지 현수막을 걸어 알리고 있는 것일까?

 

 

종무소를 찾아가 사진촬영 허가받아

 

먼저 봉녕사의 업무를 관장하는 종무소를 찾아갔다. 종무소 근무자에게 삼존불 촬영을 하기위해 왔다고 설명한 후 잠시 기다리고 있으니 남자 한분이 들어와 무슨 일로 삼존불 촬영을 하는 것이냐?”고 묻는다. 문화재소개를 하기 위해 촬영을 하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난 후, 관리자의 안내를 받아 용화각으로 향했다.

 

용화각(龍華閣)의 명칭을 용화전이라고 해야 하는데 용화각에 붙인 명칭을 바꾸겠다고 했더니, 문화재로 지정을 받은 후에는 바꿀 수 없다고 해서 용화전으로 고치지 못했어요.”

관리를 하는 분의 설명을 듣고 용화각 전경을 한 장 촬영하고 난 후 용화각 안으로 들어서 삼존불을 촬영했다.

 

카메라가 아닌 휴대폰을 이용해 사진을 찍는 모습을 보고 의아한가보다. “카메라는 플래시를 써야하기 때문에 삼존불에 피해가 갈수도 있어 휴대폰으로 촬영을 한다고 설명을 드렸더니 그런 것까지 세세하게 신경을 쓰는 기자는 처음 보았다.”며 웃는다.

 

 

삼존불의 중앙에 좌정하고 있는 본존불은 석조여래좌상으로 얼굴모습은 원만한 편이다. 그저 편안한 느낌을 받게 하는 본존불의 머리 부분은 파손되어 있고 눈, , 입 부분은 심하게 마모되어 희미하다. 법의는 왼쪽 어깨에만 걸치고 오른쪽 어깨가 노출된 우견편단으로, 법의의 주름도 상당히 도식화 되어있다.

 

오른손은 무릎에 놓고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는데 부자연스럽게 조각하였다. 석불의 밑을 받치고 있는 좌대인 연화대는 일석으로 2단으로 되어있으며, 가운데가 잘록하고 아래 위가 넓게 조성하였다. 연화대 위편은 커다란 앙련을 조각하였는데 사이가 너무 벌어지게 잎을 조성하였다.

 

본존불의 좌우에 서 있는 협시불의 얼굴 형태는 원만한 편이나 각 부분은 마멸이 심하여 정확한 모습을 알아보기 힘들다. 협시보살의 법의는 두 어깨를 모두 가린 통견으로 조성을 하였는데 마모가 워낙 심해 원래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협시불은 왼손은 가슴에 대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내리고 있으며, 원추형의 대좌에는 연화문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고려 중기 한 사람의 석공에 의해 조성한 듯한 삼존불,

 

용화각에 모셔진 석조삼존불은 모두 평평한 느낌을 준다. 조각 기법이나 각 부분의 형식과 표현 수법이 도식화 되어 있다는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존불 모두 전체적으로 표현기법 등이 동일해 한 사람의 장인에 의해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봉녕사 삭조삼존불. 모두 정확한 형태를 알아보기는 어렵다. 땅에 묻혀있던 삼존불을 발견했다는 것만으로도 불자들에게는 이 삼존불이 예사삼존불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나 역시 생활을 하다가 어려운 일이 생기면 봉녕사를 찾아가 석조삼존불 앞에 머리를 조아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어제는 백중이라 워낙 많은 사람들이 용화각을 찾아와 아마 사진촬영도 하지 못했을 거예요

관리자의 설명이 없다고 해도 15일이 백중일임을 알고 다음날 찾아간 것이다. 음력 715일을 우리는 흔히 백중일(百中日)’ 또는 백종일(百種日), 이라고 부른다. 백중 때가 되면 채소와 과일 등을 수확할 수 있는 시기로, 100가지 과실이 나온다고 하여 백종(百種)이라고도 했다. 이날을 망혼일, 중원일(中元日) 혹은 불가에서는 우란분절이라고 부른다. 우란분절에 불가에서는 하안거를 해제하고 망자들을 위한 제를 올린다.

 

 

우란분절의 내력은 이러하다. 예전 목련존자가 있었는데 어머니가 지옥에 있는 것을 알고 부처님께 어머니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물었다. 부처님은 백가지 과일과 꽃을 차려놓고 스님들을 청해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열어주라고 일렀다. 목련존자는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대덕스님들을 모셔 우란분회를 열어 어머니를 지옥에서 구했다고 한다.

 

그래서 우란분절에는 모든 절에서 재를 올린다. 세상을 먼저 떠난 영가를 천도하는 의식이다. 다음날 찾아갔지만 마음속으로 돌아가신 분들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며 고개를 숙인다. 봉녕사 삼존석불을 돌아본 후 마음속으로 생각한다. “먼저 가신 분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합니다


영주시 가흥1동 264번지에는 보물 제221호인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앞으로는 서천이 내려다 보이는 거대한 바위 윗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마애삼존상이다. 이 마애삼존상은 앞에서 보면 바위에 조각을 한 것처럼 보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삼존불이 새겨진 돌이 바위와는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존불의 주변으로는 크기 20㎝내외의 사각형 흠이 나있고, 삼존불상 앞으로도 기둥을 세웠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마애삼존불상을 보호하기 위한 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삼존불 중앙에 본존불은 좌상으로 표현을 하였으며, 좌우에 협시불은 입상으로 조각을 하였다.



영주시 가흥동 마애삼존상과 참례를 하는 사람들

통일신라 초기의 우수한 석조물


삼존불 중 중앙에 좌정한 본존불의 높이는 330cm 정도이다. 우협시보살은 198cm, 좌협시 보살은 약간 작은 195cm이다. 이 삼존불상은 두텁게 돋을새김을 하였는데, 처음부터 암반을 파들어가면서 조각을 한 것으로 보인다. 중앙에 본존불을 거대하게 조각을 하고, 양편에 협시불은 본존불 쪽으로 약간 기울 듯 조성을 하였다.


본존불은 소발로 육계가 뚜렷하다. 두터운 통견의 법의를 걸치고 있으며, 수인을 보면 시무외여원인을 하고 있다. 이 마애삼존불에 새겨진 불상은 비교적 살이 올라 통통한 편이며, 둥근 얼굴의 상호가 지역적인 특징으로 보인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불 역시 얼굴이 통통하다. 중앙의 본존불은 앙련을 새긴 연화대 위에 결가부좌를 하고 앉았으며, 좌우 협시불 역시 연화대 위에 서 있다.





본존불의 뒤편에 있는 광배는 상단이 뾰죽한 보주형이다. 연화문을 둥그렇게 중앙을 에워쌓 듯 두르고 있고, 바같으로는 꽃을 새겨 넣었다. 그리고 마무리는 돋을새김으로 둘러놓았다. 대좌는 연화대좌로 마련을 했으며, 무릎에 닿게 연화문 8엽을 앙련으로 새겨 넣었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불도 본존불과 같은 돋을새김으로 처리를 하였다.


누군가 눈을 다 파내


좌측에 서있는 협시불은 왼팔을 어깨 위까지 들고 오른팔은 배 앞으로 대고 있다. 우측의 협시불은 두손을 가슴 앞으로 모았는데, 보관에는 보병이 새겨져 있다. 양편 협시불의 팔목에 걸친 천의 자락이 두터운데도 불구하고, 옷주름 선 등이 유연하게 처리되었다. 또한 신체 등의 비례가 알맞은 것으로 보아, 조각술이 뛰어난 우수한 장인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삼존불상은 영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통일신라 초기의 불교조각작품을 대표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이 삼존불상을 보면 누군가 양쪽 눈을 모두 깊게 파버렸다. 처음부터 이렇게 조성이 되었을리는 없는 것이고 보면, 누군가에 의해 심하게 훼손이 되었다는 것이다. 본존불만이 아니고 양편의 협시불까지 그렇게 눈을 파낸 것이다. 그렇게 훼손한 얼굴이 흉하기만 하다.


천년 세월을 높은 바위 위에 자리를 잡고, 앞으로 흐르는 내를 바라다보면서 서 있었을 가흥동 마애삼존상. 두텁게 돋을새김을 한 형태는 전국을 다니면서 보아도, 그리 흔한 모습이 아니다. 그만큼 당대의 뛰어난 장인에 의해 조성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흉하게 눈을 다 파놓은 것을 보면서 마음이 아리다. 숱하게 훼손이 된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가슴은 시커멓게 썩어가고만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