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완산구 교동 105-4에 소재한 학인당. 현재 전북 민속자료 제8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이곳을 일컬어 '서울 북촌에 윤보선 고택이 있다면, 전주 한옥마을에는 학인당이 있다'고 할 만큼 격식을 갖춰 지은 집이다. 한옥마을에 있는 많은 한옥을 대표하는 학인당은 100년이 지난 대형 한옥으로 건축 당시에는 2000평의 대지에, 건평만 99칸의 집으로 지은 집이다.

 

학인당은 조선조 말 왕조가 퇴락하자 반가의 상류층에서는 한국 전통 건축기술을 이어받은 도편수와 목공 등을 청해 집을 짓는 것이 유행이었다. 학인당은 당시 궁중건축양식을 민간의 가옥에 도입한, 상류층 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집으로 그 가치가 높다. 연인원 4280명이 압록강과 오대산 등지에서 구입한 우리 목재를 이용하여 28개월 끝에 완공을 했다는 학인당. 당시 돈으로 백미 4000(8000가마)을 들여 지었다는 학인당의 규모는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백낙중은 효자로 소문이 나 고종황제는 특별히 그의 효행을 높이 사 '승훈랑'이란 벼슬을 내려주었다. 백낙중은 이 집을 장남 백남혁이 태어남을 기념하여 1905년에 부친 백진수에게서 물려받은 대지에 지은 것이다. '학인당'이란 명칭은 백낙중이 서거 후 그의 호인 '인재(忍齎)'에서 ''자를 따서 지은 명칭이다.

 

6·25 한국전쟁 이후 급격히 가세가 기울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는 안채와 행랑채를 매각. 했다. 1970년대에는 용인민속촌에 이 집을 통째로 옮기기 위해, 삼성그룹 고 이병철 회장이 거액을 제시하며 두 차례나 팔기를 권유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몇 번의 권유가 있었으나 백남혁 부친의 유지를 지키기 위해 힘을 썼다고 한다.

 

 

전북 예술의 산실 학인당

 

부친 백낙중의 서거 후에 일본에서 돌아 온 백남혁은 부친에게서 물려받은 재력으로 전북 예술인들의 후원에 힘을 쏟는다. 심농 조기석, 유당 김희순 등의 서예가와 청천 이상범, 금추 이남호 등을 후원했으며, 소리꾼인 남전 허남옥을 비롯하여 만정 김소희, 박녹주, 김연수, 박초월 등의 명창들을 지원했다. 학인당은 일제치하에서 전북 예술을 지켜가는 문화교류의 장이었다.

 

일제치하의 암울한 시절. 예술인들은 많은 고통을 당했다. 그러나 그 끈질긴 맥을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학인당과 같은 보이지 않는 버팀목이 있기 때문이다. 학인당은 해방 후에는 영빈관으로 사용이 되기도 했다. 김구 선생이 전주를 방문하면 학인당에서 묵고는 했다는 것이다. 그만큼 학인당은 전북 모든 분야에서 구심점이 되었다.

 

 

변화된 모습의 학인당

 

학인당의 솟을 대문에는 '영릉 참봉 수원 백낙중지려'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전통문화 체험장으로 개방된 학인당에는 최근 전통찻집 '선다원'이 문을 열었다. 학인당에서 차 한 잔 여유와 휴식을 즐길 수가 있다. 학인당을 찾았다. 대문이 걸려있는데 집 앞에 전화번호가 적혀 있다. 전화를 걸었더니 쪽문을 열고 들어오라는 것이다. 안으로 들어가니 작지만 아름답게 꾸며 놓은 정원이 있고, 뒤편 학인당의 대청에는 주인과 객들이 차를 마주하고 담소를 하고 있다.

 

신문시에서 왔다고 했더니,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다녀갔다고 한다. 안주인인 듯한 분이 손수 나와 반기며 학인당에 대한 설명을 해준다. 200년간이나 이 집터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정원에는 계단을 내어 깊은 곳에 물이 고여 있다. 지하샘이라고 하는 이곳은 원래 식수로 사용한 것이었는데, 현재는 김치 저장고로 사용하고 있단다. 계단 입구가 용꼬리가 되고 지하샘 위쪽이 용머리가 된다는 것이다. 그것 하나의 설명만으로도 이 집의 기운을 느낄 수가 있다.

 

 

학인당 앞에서 대문채를 보니 양편에 방을 드렸다. 대문을 팔작지붕으로 꾸민 것도 특이하다. 그 한편으로 건물 한 동이 있고, 학인당의 뒤편과 좌측에도 한 동이 있다. 학인당이라는 현판을 건 본채는 팔작집으로 지붕 처리가 남다르다. 지붕의 팔자로 갈라진 아랫부분에는 문을 내고, 끝부분의 둘레를 동판으로 싸 비바람을 막게 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잘 꾸며진 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 안채와 행랑채 등 예전의 99칸 형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면, 주변에서는 보기 힘든 저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집안 구석구석을 살펴보다 보니 100여 년 전 상류층 사회의 집 구조가 옛 고택과는 많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서울 북촌의 윤보선 전 대통령의 집과 비길 만 하다는 학인당.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전통문화 체험을 하면서 또 다른 즐거움을 느낄 것 같다.

 

굴뚝 이야기, 알고 보면 흥미롭다. 옛 고택 답사를 하면서 옛 집에서 보는 것들이 비단 굴뚝만 흥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굴뚝도 굴뚝이지만 옛 집에는, 집집마다 나름대로의 볼거리들이 많이 때문이다. 그런 것들은 다음으로 미루고, 우선은 굴뚝 이야기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굴뚝이 그냥 연기를 빼는 용도로만 사용이 되었을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란 생각이다. 굴뚝을 보면 나름대로의 형태에서 그 지역적 특색이나, 집 주인의 성품, 심지어는 그 집안의 가세를 짐작할 수도 있다. 왜 굴뚝에서도 그런 특색이 있다고 보이는 것일까? 물론 추론일 수도 있겠지만, 그 나름대로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위는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담장굴뚝이다. 아래는 속초 김근수 가옥의 담장 안에 연도를 뺀 굴뚝이다, 아마도 심한 바람을 이겨낼 수 있도록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른 굴뚝의 형태

굴뚝은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고 앞서 설명을 한 적이 있다. 그러한 굴뚝은 강원도 동해안 등 3 ~ 4월 심한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굴뚝을 별도로 조형을 하는 것이 아니고, 대개는 담장 안에 연도를 이어 굴뚝을 만든다. 굴뚝도 상당히 견고하게 쌓는 편이다. 아마도 그러한 것들은 바람으로 인해 굴뚝이 넘어가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위는 경기 양평의 이항로 생가의 굴뚝이다. 가운데는 전북 고창의 인촌생가의 낮은 굴뚝이며, 아래는 익산 가람 이병기 생가의 굴뚝이다. 내룍이라 그런지 굴뚝이 낮게 조성이 되었다.


서해안 인접 지역 역시 상당히 견고한 굴뚝을 조성한다. 이곳도 바람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와는 달리 내륙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굴뚝들이 나타난다. 지역으로 보면 경상도 지방의 굴뚝이 화려하고 크다. 이렇게 화려하게 굴뚝을 조성하는 것은, 이 지역의 고택들이 상당히 넓고, 큰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 즉 굴뚝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가 집 자체가 크기 때문이다.

경기도 지역과 충청남도 지역의 굴뚝들은 대개가 낮다. 집이 넓다고 해서 굴뚝을 높게 만들지를 않는다. 이런 것은 그 지역의 특징이다. 이렇게 낮은 굴뚝을 조성한 것은, 일기가 비교적 순탄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위는 서천의 이하복 가옥의 굴뚝이다. 아래는 부여 민칠식 가옥의 굴뚝이다. 큰 집에 비해 낮은 굴뚝을 조형했다. 


가세에 따른 굴뚝의 형태

집안의 가세를 보려면 광을 보라고 했다. 오래도록 권력을 잡았던 집인데도 불구하고, 곳간채가 작은 집이 있는가 하면, 안채나 사랑채는 그리 크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곳간채가 상당히 큰 집들이 있다. 이런 경우 그 집의 굴뚝을 보면 상당히 높게 축조가 되었다. 바로 부의 상징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만 같다.



위는 강원도 강릉 지역이 대표적인 선교장의 굴뚝이다. 가운데는 경남 거창의 정온 생가의 굴뚝이며, 아래는 함양 오담고택의 굴뚝이다. 굴뚝이 높게 조형되었다.


또 오랜 세월동안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드나 든 집들을 보아도 굴뚝이 높이 솟아있다. 그만큼 많은 불을 땠다는 것이다. 많은 양을 불을 때려면 아무래도 낮은 굴뚝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굴뚝의 형태는 단순히 불을 때고 그 연기를 뿜어대기 위한 용도만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그동안 200여 채 이상의 고택을 답사하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해보면, 굴뚝 하나에도 그 집안의 내력이 함께 자리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위는 서산 김기현 가옥의 굴뚝이며 아래 좌측은 전주 학인당의 굴뚝이고, 우측은 충북 괴산 청천리 고가의 굴뚝이다. 굴뚝이 높고 화려하게 조성이 되었다.


집안에서 음식을 조리하고 난방을 하기 위한 조형물인 굴뚝. 아마도 지금까지 보아온 고택의 몇 배를 더 답사를 하고나면, 나름대로 ‘굴뚝의 미학’ 정도 한 권쯤은 쓸 수 있지는 않으려는지. 그래서 고택답사의 발길은 늘 바빠진다.(연재 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