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시 설악동 켄싱턴 호텔 길 건너편에 보면 장엄한 탑이 1기가 서 있다. 속초시내에서 신흥사를 올라가는 길 좌측에 서 있는 이 삼층석탑은, 보물 제443호인 향성사지 삼층석탑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탑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이 탑은, 상륜부는 없어졌으나 그 모습이 웅장하고 잘 보존이 되어 있다.

 

8매의 돌로 구성된 지대석은 하단까지 지표에 노출되어 있고, 그 위에는 높직한 괴임대와 같이 4매의 장대석으로 결구된 기대를 마련하여 하층기단 면석을 받치고 있다. 하층기단면석은 대소 8매의 장방형석재로 이루어졌는데, 각 면마다 양우주와 중앙의 탱주가 돋을새김 되어 있다. 그 위의 갑석은 5매의 판석으로 덮였는데, 그 상면은 현저하게 경사를 이루었다.

 

자장이 창건한 향성사

 

신흥사사적에 의하면 향성사는 신라 고승 자장이, 진덕여왕 6년인 652년에 건립했다고 전해지는 신흥사의 전신이다. 지금은 신흥사가 뒤로 물러나 있지만, 이 삼층삭탑이 있는 자리로 보아 이곳까지 향성성의 가람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 같다. 처음으로 해체보수를 할 때, 3층 탑신석 중앙에서 사리구멍이 발견되었으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전체 높이가 4, 33m에 이르는 장엄한 탑이지만, 전체적으로는 간결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설악을 뒤로하고 수 백 년은 족히 넘었을 노송을 곁에 둔 삼층석탑, 그동안 이곳을 몇 번이나 지나쳤는데도 보지 못했을까? 아마 그동안은 나와 인연이 없었나보다. 나뭇가지 사이로 비치는 빛이 탑에 아른거리는데, 천년 그 자리에 서 있는 탑은 말없이 지나는 차들의 소음을 듣고 서 있다.

 

뒤편으로 흐르는 계곡의 물과, 그 너머에 있는 설악. 예전 같으면 그 탑의 자리에 서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불심이 일었을 것만 같다. 지난 시간 천년, 앞으로 또 수많은 시간을 자리를 지키고 있을 이 탑을 보면서 마음속으로 간구를 한다. 다시는 이 많은 문화재들이 수난을 당하지 않았으면 하고.

 

 

이 향성사지 석탑을 처음으로 해체 보수할 때 3층 탑신석 중앙에서 사리공이 발견이 되었지만 내용물은 없었다고 한다.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석탑과 석불 안에 있던 내용물은 도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문화재는 민족이 정신을 계승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 소중한 문화재를 우리는 그동안 너무 홀대해 왔다는 생각이다.

 

문화재보존 제대로 이루어져야

 

문화재를 제대로 간수하지 못하는 것은 지금도 다를 바가 없다. 나라에서 국보나 보물 등으로 지정을 해서 보존을 하고 있거나, 사찰 경내에 있어 보존을 하는 문화재들은 그나마 나은편이다. 들이나 산 등에 산재한 문화재들은 아무래도 사람들의 손을 탈 수밖에 없다. 며칠전 뉴스에서 모 지방의 문화재지킴이들이 문화재를 도굴해 팔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결국 문화재를 도둑놈들에게 맡겨놓은 꼴이 되었으니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일인가? 그 정도로 우리는 문화재 보존에 대해서 불감증을 앓고 있는 나라라는 생각이 든다. 자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문화재. 향성사지 3층 석탑 앞에서 머리를 숙이는 것은, 나 자신도 그런 문화재 보존에 대해서 제 할 일을 다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은 옛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낙안읍성이 있다. 낙안면은 백제시대에 분차 또는 분사군이었으며, 통일신라 제35대 경덕왕 때는 분령군이라 불렀다. 고려 때에 들어서 낙안 또는 양악으로 칭하여 나주에 속해 있으면서, 1172년인 고려 명종 2년 에 감무를 두고 그 후에 지주사가 되어 군으로 승격되었다.

 

1515년인 조선조 중종 10년에는 고을에 불륜한 일이 일어나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575년인 선조 8년에 복구되어 낙안군이라 하였다. 1908년인 융희 2년에 낙안군이 폐지됨에 따라 읍내면이라 칭하여 순천군에 편입되었다. 그 후 191441일 군면 폐합에 따라 내서면 20개리와 동상면의 교촌, 이동일부와 보성군 고상면의 지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낙안면이라 칭했다.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었다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에 소재하고 있는 금둔사. 현재의 금둔사는 과거 이곳에 있던 금둔사와는 별개의 사찰이다. 이 금둔사 일주문을 들어서 절 경내를 행하다가 우측 산 밑에 보면 보물 제945호인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는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는 조그마한 사찰이 지어져 금둔사의 명맥을 잇고 있다. 낙안읍성을 돌아보고 난 뒤 찾아간 금둔사지. 옛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석불입상이 이 곳이 예전 금전산 금둔사지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돋을새김한 팔부중상이 압권

 

금둔사지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양우주와 가운데 기둥 모양인 탱주를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새겼다.

 

 

특히 1층 몸돌의 앞뒷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을, 양 옆면에는 불상을 향하여 다과를 공양하는 공양보살상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밑면의 받침이 5단씩이고, 처마는 평평한 편이다. 낙수면은 완만하게 경사가 지다가 끄트머리 네 귀퉁이에서 힘차게 치켜 올려져 있다.

 

이 금둔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을 갖추고 있어, 9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1층 몸돌에 공양상이 새겨져 있는 점은 특이한 예이며, 각 부의 비례도 좋고 조각수법이 세련된 석탑이다. 탑의 뒤편에는 절개지 연의 앞에 석불입상이 서 있는데, 이들은 서로 연관된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엣 금둔사는 어떤 절이었을까?

 

동국여지승람에 소개가 되어있다는 금전산의 금둔사. 지금 절이 들어서 있는 금둔사의 모습이나. 석불입상과 삼층석탑의 자리 등으로 보아서 옛 금둔사도 큰 절은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만한 가람이 들어서기에는 장소가 협소한 듯하다. 하지만 석불입상이나 석탑의 형태로 보면 이곳에도 제대로 일탑 일가람 형식의 절은 있었을 것 같다.

 

세월이라는 시간 속에서 사라져 버린 수많은 문화재를 갖고 있는 절터들. 전국을 돌면서 만난 수많은 사지들은 늘 마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아마도 그 많은 절들이 보존만 되었다고 해도, 지금보다는 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났을 것이기 때문이다. 금둔사지를 돌아보고 뒤돌아 내려오면서 내내 속이 편치가 않다.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성주사지. 딴 곳의 사지보다 석탑이 유별나게 많은 절터이다. 이곳에 보물로 지정된 금당터 앞 오층석탑 외에도, 금당터 뒤편으로 나란히 3기의 석탑이 서 있다. 이곳에서 조성된 탑이 아닌 딴 곳에서 옮겨온 이 탑들은, 동 삼층석탑, 중앙 삼층석탑, 그리고 서 삼층석탑이다.

 

보물 제47호로 지정이 된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은 성주사지에서, 금당터로 보이는 곳의 뒤쪽으로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을 말한다. 성주사는 처음에는 백제 때 세워졌다가 후에 낭혜화상에 의해 번창이 된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그 배치구조가 특이하며 탑 외에도 석비, 귀부, 석축, 초석 등 많은 석조유물이 남아 있는 곳이다.

 

탑에 웬 구멍이 이렇게 많을까?

 

서 삼층석탑은 기존의 석탑과는 다르다. 물론 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은 2단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 맨 위부분에는 1층 탑의 몸돌인 탑신을 괴기 위한 별도의 받침돌을 두었다. 이는 통일신라에서 이어지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3층으로 조성한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짐승얼굴모양의 고리 1쌍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네 귀퉁이는 경쾌하게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탑의 머리장식인 싱륜부는 사라지고 남아 있지 않지만, 장식을 받쳐주던 네모난 받침돌인 노반이 놓여 있다. 이 탑은 조형미가 뛰어나며, 상하 비율이 잘 맞아 균형미가 돋보인다.

 

 

그런데 이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에는 많은 구멍들이 보인다. 위층 기단의 옥개석과 삼층석탑의 머릿돌인 옥개석까지 작은 구멍이 여기저기 뚫려있다. 사면으로 돌아가면서 옥개석에 뚫린 구멍은 양측으로 아래위로 3개씩을 뚫어놓았다. 옥개석 한 면에 12개씩의 구멍을 뚫은 셈이다.

 

금동판과 장식품으로 치장을 한 화려한 석탑

 

이 서 삼층석탑의 옥개석에 뚫어 놓은 작은 구멍들은 절에서 의식을 행할 때, 금동판이나 장식 등을 매달아 두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옥개석에 가득 달린 금동판이나 장식품들이 바람에 날려 소리를 내거나, 바람에 날리는 모습들은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 화려함으로 친다면 세상 그 어느 탑이 이 탑을 따를 수가 있을 것인가?

 

 

이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은 높이 443cm로 나란히 서 있는 두 개의 석탑과는 차이가 난다. 면석과 탑신석인 몸돌에는 중앙에 탱주와 양편에 우주를 새겼으며, 화강암으로 조성한 석탑이다. 기단석과 몸돌의 비례, 층급받침이 4단으로 조성한 것, 옥개석 처마가 날렵하게 위로 솟아오른 점 등을 보면 전형적인 9세기의 신라석탑이다.

 

사리공을 도굴 당한 석탑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은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사리공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그 안에는 향나무 썩은 가루와 먼지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언제인지는 몰라도 사리공 안에 있는 복장물이 모두 도굴을 당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많은 문화재 복장물들이 도굴을 당해 사라졌다.

 

문화재보호법이 솜방망이로 먼지 터는 격밖에는 되지 않는 대한민국. 문화재란 자손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 문화재를 훼손할 시에는 엄한 처벌로 다시는 이러한 폄훼 등이 없어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종교가 다르다고, 혹은 그 것을 훔쳐다가 돈을 만들기 위한 이런 몰염치한 인간들은 단죄를 해야 한다.

 

성주사지 금당 터 후면에 위치한 다른 두 탑에 비해, 너비가 넓어 장중한 느낌이 드는 서 삼층석탑. 1130일 눈이 내린 성주사지 인근에는, 어디를 둘러보아도 그 흔한 CCTV 한 대 눈에 띠는 것이 없었다.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소재한 보원사지. 보원사지에는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들이 즐비하게 서 있다. 그 중 보물 제104호인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고려 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보원사라는 절이 어느 시기에 세워졌는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수많은 문화재들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과거 상당히 번창한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층석탑은 보원사지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추정하고 있으나, 보원사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인근 용현리에서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무게감을 더하고 있는 오층석탑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탑 중 하나이다.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조성한 오층석탑은, 아래기단 옆면에는 사자상을 새겼다. 하지만 오랜 세월 풍화로 인해 사장상의 모습은 정확히 식별하기가 쉽지가 않다.

 

 

 

 

윗기단은 양편에 양우주를 돋을새김하고 가운데는 탱주를 돋을새김 하였다. 옆면에는 팔부중상을 2구씩 각 면에 새겼는데, 조각은 세심하지는 않지만 힘이 있어 보인다. 8부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에 걸쳐 석탑의 기단에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무장의 모습을 하고 있는 팔부신장은 인도의 고대불교 이전부터 있던 신격이불교에 수용된 신들이다.

 

불국토를 수호하는 팔부중상

 

팔부신장은 흔히 ‘명중팔부’ ‘천룡팔부’ 등으로도 불린다· 불국토를 수호하는 팔부신장은 경전의 내용에 따라 여러 설이 있다. 경전상으로도 여래팔부중과 사천왕에 소속된 팔부중으로 나누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팔부중은 부처의 설법을 듣기 위해 모여든 여러 중생을 의미하는 여래팔부중을 말한다.

 

 

 

 

즉 천과 용, 야차와 건달바, 아수라와 가루라, 그리고 긴나라와 마후라가를 가리킨다. 그러나 사천왕에 소속된 팔부중은 건달바, 비사사, 구반다, 벽협다를 비롯해 용과 부단나, 야차와 나찰 등을 말한다. 석탑의 기단부나 불화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팔부신장은 통일신라시대의 석굴암에 조각된 팔부중상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백제계 양식을 모방한 고려석탑

 

탑신에서는 1층 몸돌 각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으며, 양우주를 돋을새김 하였다. 지붕돌은 얇고 넓은 편이며 귀퉁이가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가 온화한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보원사지 오층석탑의 지붕돌이 넓어진 것은, 백제계 석탑 양식을 모방한 것이다. 이 지역은 옛 백제지역이기 때문에, 그 지역의 석탑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탑의 상륜부에는 머리장식받침인 네모난 노반이 남아 있고, 그 위로 머리장식의 무게중심을 고정하는 철제 찰주가 높이 솟아있다. 이 탑은 세부조각이 형식적으로 흐른 듯 하지만, 장중하고 기단과 몸돌의 균형이 안정감이 느껴지는 고려 전기의 우수한 석탑이다.

 

문화재답사를 하면서 가장 행복한 것은, 한 곳에서 이렇게 많은 문화재를 만날 때이다. 문화재 하나를 소개하기 위해서 먼 길을 걸어야하는 나로서는, 보원사지와 같은 곳이 정말 즐거울 수밖에 없다. 오층석탑 주변에 즐비하게 널려진 보물들과 석재들. 그런 것을 바라보면서 힘들게 걸어 온 길의 피로를 잊는다.

경남 진주시 수곡면 효자리 447-1번지 옛 절터에는, 고려시대의 석탑 한 기가 남아있다. 이 석탑은 2단의 기단위에 세워진 삼층석탑으로, 기단은 여러 장의 판석을 이용해 상, 하로 구분되어 있다. 현재 보물 제379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晉州 妙嚴寺址 三層石塔)’으로 불린다. 이 탑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탑이다.

지난 6월 11일에 찾아간 진주 수곡면 효자리. 마을을 돌다가 만난 묘엄사지 삼층석탑은, 화강암으로 조성된 높이 4.6m 의 삼층석탑이다. 이 탑이 세워져 있는 곳을 ‘탑골’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이 탑 외에도 또 다른 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 주위에는 주춧돌과 석주, 부도의 덮개돌 등으로 추정되는 석재들이 발견이 된 것으로 보아, 당시 묘엄사는 상당히 번성한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진주시 수곡면 효자리에 서 있는 묘엄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79호이다. 이 탑은 고려 중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묘엄사 ‘명’ 기와편이 발견돼

현재 삼층석탑이 서 있는 주변정비를 하던 2008년에, 이곳에서 묘엄사 ‘명’ 기와편이 발견이 되어 이곳의 절 이름을 알게 된 것이다. 이 탑 맞은편에도 불상과 탑이 있었다고 전한다. 그런 것으로 볼 때 이탑 형식의 큰 절이었을 것이다. 이 묘엄사지 삼층석탑의 위층 기단은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폭이 넓은 양우주와 탱주의 기둥이 새겨져 있다. 그 위로 기단의 덮개돌을 얹었으며, 한가운데 2단의 고임을 깎아내 탑신을 받치게 하였다.

상층기단 중석은 모두 4매의 판석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양우주와 가운데 탱주가 조각되어 있다. 삼층석탑의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층마다 각각 한 장의 돌로 조성을 하였는데, 1층의 몸돌은 지나치게 높고, 2층부터는 급격히 줄어들어 균형과 안정감을 잃었다. 몸돌인 탑신에는 기단에서와 같이 양편에 폭이 넓은 모서리기둥인 우주를 새겼다.





고려 중기 이후에 조성된 석탑

이 묘엄사지 삼층석탑은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중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석탑에는 1층의 서쪽 면에 창살이 있는 두 짝의 문 모양과 고리가 얇게 새겨져 있을 뿐 아무런 조각도 없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넓이에 비하여 두꺼운 편이며, 밑면받침은 1층과 2층이 4단씩이고 3층은 3단으로 줄어든다.

지붕돌은 두껍고 낙수면의 경사가 급해 보이며, 처마의 선은 위아래가 모두 수평을 이루다가 네 귀퉁이 끝에서 위로 완만하게 솟아있다. 이 탑은 전체적으로 상하의 균형을 잃어 거친 느낌이 들며, 각 부의 짜임새나 제작수법도 둔화되었다. 하지만 탑의 형태로 보아 제작시기 등을 알아 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정비를 마친 삼층석탑 주변에는 간주석과 덮개석으로 보이는 석재들이 쌓여있다


나뒹굴고 있는 보물 표지석

탑을 돌아보고 난 뒤 곁에 쌓여진 석물을 돌아본다. 석등의 받침석과 간주석, 덮개석과 같은 석재들이 놓여있다. 그 상태로 보아 화사석만 있다면 당장에라도 삼층석탑 옆에 세워둘만한 훌륭한 석조물이란 생각이 든다. 그런데 그 뒤편에 대리석으로 조형이 된 석재 하나가 보인다. 이런 곳에 웬 대리석 석재인가 싶어 다가가보니 글이 새겨져 있다.

글씨는 ‘보물 제379호 진주 묘엄사지 삼층석탑’이라고 한문으로 적혀있다. 석탑 앞에 세웠던 안내표지석이다. 이곳을 정비했다고 적혀있는데, 정작 안내를 하는 표지석은 그대로 뽑아내 석물들과 함께 한 옆에 쌓아놓았다는 것이 이해가 가질 않는다. 물론 안내판이 있으니 보물로 지정된 소중한 문화재인 것은 알겠지만, 그래도 이렇게 안내표지석이 한 옆에 나뒹굴고 있다는 것이 볼썽사납다.


석재들을 쌓아놓은 안에 보물 표지석을 함께 쌓아놓아 볼썽사납다


묘엄사가 언제 세워진 절인가는 확실치가 않다. 하지만 마을 어르신의 말씀으로는 이 탑이 서 있는 인근에서 기와조각 등이 발견되고, 돌이 많이 있었다는 이야기로 보아 아마도 상당히 큰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삼층석탑 한 기와 몇 개의 석물만 그 자리에 남겨놓고 있는 묘엄사. 과연 언제 적 누구에 의해 창건이 되었으며, 언제 사라진 것인지 궁금하다. 이렇게 답답한 일을 당할 때마다 한숨만 터져 나온다. 지켜내지 못하고 있는 문화재의 훼손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