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임금들의 능원이나 제를 지내는 전각 옆에는 우물이 있기 마련이다. 이 우물은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가 없다. ‘어정(御井)’ 혹은 ‘제정(祭井)’이라고 부르는 이 우물은, 임금의 제를 올릴 때 사용하는 물을 긷는 곳이다.

사적 제115호인 정조 임금의 어진을 모신 화령전에는, 운한각을 바라보고 좌측 담 너머로 우물이 자리한다. 이 우물은 일반적인 어정이 둥근 형태로 조성을 한데 비해,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올려 우물을 조성하였다. 아마도 이 우물은 화령전을 축조할 당시인 1801년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복원이 된 제정과 전사청

2011년 12월 10일 찾아간 화성 행궁. 날이 쌀쌀하긴 해도, 빠른 시간 안에 많은 곳을 돌아보자니 등줄기에 땀이 밴다. 언제나 그렇듯 답사는 늘 발길이 바쁘다. 그저 남들은 사진 하나 찍으려고 있는 대로 폼을 잡고는 하지만, 나 하고는 거리가 멀다. 세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으려면, 남들보다 더 많이 돌아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원래 제정의 옆에는 전사청을 비롯하여 제기고와 향대청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2005년도에 복원이 된 제정과 전사청만이 있다. 전사청이란 제사를 관리하는 관청을 말하는 것으로, 이곳에서는 젯상에 올릴 음식을 준비하고는 했다. 제기고는 제사에 사용하는 그릇 등을 보관하는 전각으로, 외삼문과 내삼문 사이에 있었다고 한다. 향대청은 전사청 부근에 있었으며, 제사에 사용하는 향과 초 등을 보관하던 곳이다.



조선조 순조 1년인 1801년에 축조된 화령전은, 순조가 아버지인 조선 제22대 임금이었던 정조(재위 1776∼1800)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해마다 제사지내던 건물이다. 23대 임금인 순조는 이곳에서 노인들을 모아놓고 잔치를 베풀기도 하였으며, 직접 정조가 태어난 탄신일과 돌아가신 납향일에 제향을 지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납일(臘日)’이란 동지로부터 세 번째 미일(未日)을 말한다,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그 날이 달랐으나, 조선시대에 와서 동지 이후 세 번째 미일(=양의 날)로 정한 것이다. 이 날은 궁에서는 종묘사직에 제사를 올렸고, 민간에서도 여러 신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이를 '납향(臘享)'이라고 했다.



납향일은 그 해의 끝에 해당하므로, 일 년을 정리하면서 조상들에게 감사를 드리는 마음으로 제를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순조도 이 납향일에 이곳 화령전에 와서 아버지인 정조에게 제를 지냈으며, 제정의 물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이 제사는 정조의 어진이 화령전을 떠날 때까지 계속되었다고 한다.

우물 하나에도 정성이 깃들어

화령전에서 제를 지낼 때 물을 떠 사용을 하던 제정은, 정방향의 형태로 각 방향에 14개씩 도합 56개의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올렸다. 높이는 5.5m이고 바닥에서 물이고인 높이는 약 4m 정도이다. 우물의 밖으로 뻗어 나온 돌은 서로 반을 갈라내어 엇물려 놓았다. 장대석을 쌓아올려 우물을 만들었다는 것도 색다르다.



현재 복원이 된 화령전 안의 제정은 밑에 복원된 전사청 앞으로 물이 흐르도록 되어있다. 전사청은 ㄱ 자형으로 지었는데, 동편 끝이 한 칸 돌출이 되도록 하여 마루를 깔았다. 모두 8칸으로 지어진 전사청은 동편에 방과 툇마루를 놓고, 4칸 째에 문을 두었다. 이 문을 통하여 운한각으로 음식 등을 날랐을 것이다.

좌측 4칸은 한 칸의 광과 세 칸의 방으로 되어있다. 전사청 앞에 굴뚝을 보아 이곳은 온돌방을 꾸몄을 것이다. 납향일이면 추운 동지 때를 지나서이기 때문에, 온돌방이 아니라면 전각 안이라고 해도 추위 때문에 제를 준비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향대청과 제기고가 복원이 되는 날, 사라져버린 역사의 한 조각이 맞춰질 것만 같다. 2011년 12월 10일에 찾아간 행궁 곁 화령전은, 그렇게 하나하나 역사를 되살리고 있었다.

김제 금산사에 수천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 중에는 외국인들도 보인다. 10월 17일 김제 모악산 금산사에 개산대제가 열리는 날이다. 개산대제란 금산사가 처음으로 문을 연 날을 말한다. 절을 ‘산문’이라고 한다. 개산대제는 바로 절문을 처음으로 열었다는 뜻이 된다. 금산사의 개창일이 되는 셈이다.

금산사는 조선 성종 23년인 1492년에 작성된 <금산사 5층 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진표율사는 중건자로 보아야 한다.

금산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진표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중창자이지 창건주는 아니다. 그 이유는 <삼국유사>를 비롯한 기록에 보면, 진표율사는 금산사의 ‘순제법사’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표율사 이전에 이미 금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게 한다.



이날 금산사에 모인 인파는 5,000명 정도라고 한다. 아마도 절집에 이렇게 많은 인원이 모인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금산사 개산대제에는 언제나 그 정도의 인원이 모여, 부처님의 도량이 문을 열었음을 축하하는 것이다. 금산사 개산대제의 이모저모를 둘러본다.


개산대제를 거행하는 기념식장에는 외국인들도 보인다. 종교에는 벽이 없어서인지, 파란 눈의 외국인들도 개량한복을 똑같이 차려입고 많은 사람들이 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행사장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일어섰다. 죽장자를 짚은 전 조계종 총무원장이신 월주 대종사께서 현 금산사 주지 원행스님과 많은 인파를 대동하고 식장으로 입장을 하고 계시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사람들이 차를 받치고 입장을 한다. 그 뒤로는  쌀, 향, 꽃, 등, 과일, 차 등 공양물을 부처에 바치는 의식인 육법공양물을 손에 든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  '육법(六法)'이란 깨달음과 관련된 6가지 공양에 정신적인 상징을 의미하는 것이다.

(1)등(보시) - 지혜의 등불이다. 등은 세상을 밝히는 광명 지혜인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
(2)향(지계) - 해탈의 향기이다. 향은 가려진 곳에도 향기를 두루 나눠 주는 공덕이 있다.
(3)꽃(인욕) - 보살 행의 아름다움이다. 열매가 맺기 위해서는
먼저 꽃을 피워야 한다.
(4)과일(정진) - 깨달음의 열매이다. 지극히 바른 도로써 성취 하겠다는 정진을 표현한다
(5)차(선정) -열반의 맛을 의미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차는 보통 차가 아니라 '감로차(甘露茶)'이다.
(6)쌀(지혜) - 깨달음의 기쁨이다. 봄부터 수많은 노력을 한 후
가을에 추수할 때의 기쁨을 상징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두 손을 모으고 부처님을 찬양한다. 그리고 월주 대종사의 개산대제를 기념하는 법문으로 이어진다. 특히 이 날은 만등불사와 불자들이 법명을 받고 새로운 생을 시작하는 '보살계'가 함께 이루어져 더 많은 사람들이 참석을 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