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남문은 전주시 완산구 전동 2가 남문시장 인근에 자리한다. 이 풍남문은 보물 제308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전주읍성의 남쪽 문에 해당한다. 읍성이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곳으로,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하는 것이다.

 

풍남문은 선조 30년인 1597에 일어난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인 1734년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고 불렀다 한다. '풍남문(豊南門)'이라는 명칭은 영조 43년인 1767년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인 1768년에 풍남문을 중수하면서 붙인 것이다. 풍남문은 조선조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현재의 풍남문은 1978년부터 시작된 3년간의 보수공사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특별한 기둥의 수법이 뛰어나

 

풍남문의 규모는 1층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지어졌고, 2층은 정면이 3칸인데 비해 측면은 1칸이다. 이렇게 갑자기 이층 누각이 줄어든 것은 1층 안쪽의 기둥을 그대로 이층까지 올려 모서리 기둥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둥을 사용하는 수법은 우리나라의 문루 건축상 매우 드문 형태이다.

 

풍남문의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꾸며졌으며,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짠 장식은 기둥위에만 있는 주심포계로 구성되었다.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해태 등 동물들을 장식한 것도 풍남문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풍남문의 부재에 사용된 조각이나, 가운데칸 기둥 위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은 점들로 보아 풍남문의 건립년도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건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견고한 성곽, 수원 화성을 닮아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화성을 축조하고 난 뒤, 우리나라의 모든 성곽은 화성을 기본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풍남문과 연결이 되는 전주읍성의 경우에도 문을 받치고 있는 아랫부분의 성곽을 보면, 화성도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문루에는 성 안쪽으로는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이라 적고 있으며, 성문을 에워싸고 있는 옹성 쪽인 성 밖으로는 풍남문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다. 성을 쌓고 있는 돌은 서로 귀퉁이를 깎아내 엇물리게 만들었다. 이는 성곽을 더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인다.

 

 

 

 

 안에서 성문을 바라보며 밖으로 옹성이 보인다. 옹성 한편에만 출입구를 내어 적이 공격을 할 때 어려움을 겪도록 만들었다. 옹성은 문을 위주로 둥글게 반원으로 꾸며졌으며, 옹성 위에도 길을 낸 후, 여장을 쌓고 총안 등을 내어 내외의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문은 두꺼운 철판을 입혀 적이 공성무기나 불 등으로 공격을 해도 잘 버틸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은 전주 남문시장과 접해있어 풍남문을 주위로 원을 그리며 많은 차량들이 지나다니고 있다. 성벽은 중앙에 문루를 중심으로 양편에 포 등을 설치한 치와 같은 형태의 구조물이 있다. 양편으로 성곽이 연결되어 있던 부분인 듯하다. 성안에서 양편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으며, 좌측 위에는 포가, 우측 위에는 종이 달려있다. 위를 올라갈 수가 없어 이 종이 정확하게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는 알 수가 없다.

 

 

 

어디나 그러하지만 문화제를 보존한다는 명목으로 모든 곳을 출입하기가 쉽지가 않다. 풍남문도 위로 오르는 계단에 출입통제 목책을 세워놓아 위로 오를 수가 없다. 위편을 찍으려면 아무래도 계단을 올라야 한다. 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는 길이 무조건 문을 잠가버리는 것만이, 최고의 보존방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오늘이 입춘(立春)입니다. 말 그대로 오늘부터 봄이 시작되는 것이죠. 며칠간 혹독한 추위를 우리는 흔히 ‘입춘추위’라고 합니다. 아무리 추워도 봄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봄을 세운다.’ 우리 선조님들은 참 말을 멋지게 표현을 했다는 생각을 합니다.

입춘에는 ‘춘축(春祝)’이라고 하여 좋은 글귀를 대문이나 기둥 등에 써 붙이기도 합니다. 이는 새로운 해가 시작되는 첫 절기인 입춘에 글을 붙여, 그 해에 그런 좋은 일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이것을 춘축, 혹은 ‘춘첩자’라고 했으며, 상중에는 이런 글을 붙이지 않습니다.


입춘축대로 되소서.

입춘에 많이 사용하는 글귀로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혹은 ‘국태민안(國泰民安) 가급인족(家給人足)’을 많이 써 붙입니다. 조금 글께나 읽은 선비님들은 이보다는 조금 글귀가 많은 것을 좋아했는지,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나 ‘부모천년수(父母千年壽) 자손만세영(子孫萬世榮)’ 등의 글귀를 붙이기도 합니다.

이런 좋은 글귀를 써 붙이고 나서 그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작은 소망들이, 새해의 첫 절기를 편안하게 합니다. 사람들은 입춘일에 여러 가지 일 년의 운세를 미리 알아보기도 합니다. 아마도 한 해를 세운다는 뜻을 가진 입춘이니, 우리의 심성에서는 이 날이 바로 새해의 첫날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이 날 무가(巫家=무당집)에서는 간단한 음식을 차려 놓고, 신자들을 위한 축원을 합니다. 이것을 ‘입춘굿’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입춘일에는 일 년의 운세를 보기위해, 많은 사람들이 무가를 찾아들기도 합니다.

보리뿌리 점도 치고

입춘은 저리 중 가장 첫 번 째 절기입니다. 실제적으로 농촌에서는 입춘을 맞이해 농사가 시작됩니다. 그동안 얼어붙었던 땅이 해동이 된다고 하여, 이날부터 농기구를 손질하고 농사준비에 바쁘게 움직입니다.

입춘 일에 시골에서는 보리뿌리를 캐어보기도 합니다. 이것을 ‘보리뿌리 점’이라고 하는데, 보리 뿌리를 캐보아 가닥이 세 가닥이면 그 해는 풍년이 든다고 합니다. 두 가닥이면 평년작이고, 뿌리에 가닥이 없으면 흉년이 든다고 합니다.

또한 이 날 오곡의 씨앗을 전이 낱은 솥이나 철판 등에 놓고 볶아보기도 합니다. 그 중 가장 먼저 밖으로 튀어나온 곡식이 그 해에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속설은 믿거나 말거나이겠지만, 그래도 옛 선조님들의 마음속에 풍년을 얼마나 갈구했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풍속 중 하나입니다.

역사적으로 흑룡 해인 임진년은 우리나라는 많은 환난이 있기도 했습니다. 올 해 역시 힘들 것이라고 이야기들을 합니다. 이런 임진년 입춘 일에 그저 잘 쓰지 못하는 글일망정, 정성을 들여 입춘축 하나 써서 문에 척 붙이시기 바랍니다. 제가 춘축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글귀는 바로 ‘부여해 수어산(富如海 壽如山)’이라는 글귀입니다. ‘복은 바다처럼, 명은 산처럼 ’이라는 글이죠. 그 뜻대로 이루어지시기 바랍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