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역사의 시작

말 그대로 무엇인가 사람들을 끌어 들일 것만 같은 제목이다. 29일부터 83일까지 수원화성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열리는 전시회가 시작됐다. 그동안 화성박물관에 기증, 기탁한 것들을 한 자리에 모아 놓은 전시회이다. 이 전시회는 보물을 비롯하여 문화재자료 등 우리가 평소에 접할 수 없었단 소중한 문화재들이 진열되어 있다.

 

수원화성박물관은 개관5주년을 기념하여 그동안 기증, 기탁 받았던 유물의 전시회를 갖게 된 것. 수원화성박물관은 2009427일 개관한 이래, 현재까지 14명의 기증자가 2193점의 유물을 기증, 기탁했으며 이 중 기증품은 500여 점을 상회하고 있다. 이 중에서 기증자별로 코너를 마련하여 전시회를 마련한 것이다.

 

전시장에서 만난 박물관 관계자는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애도의 의미로 개막행사는 취소하였다. 하지만 특별전시는 많은 고민 끝에 정상적으로 개최했다. 지방선거가 끝난 다음 기증자들을 한 자리에 모아 조촐한 기념행사를 가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기증자별로 전시 코너 마련해

 

이번에 기증, 기탁한 유물로는 번암 채제공 6대 후손인 채호석이 기증한, 채제공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던 보물 제1477-1호로 일괄 지정된 채제공 초상을 비롯해 정조 어찰 등 153점 중에서 채제공 부인의 묘 망주석과 상석, 그리고 채제공 아들인 채홍원 부부의 묘지석, 도지기류 등이 전시되었다.

 

미수 허목의 12대 후손인 허찬의 기탁유물도 전시가 되었다. 허목은 숙종 때의 대학자이자 정치가였다. 미수 허목(許穆, 1595~1682)의 집안에서 허목의 부친 허교 초상과 허목 초상 등 6점을 기탁했다. 허목의 초상은 모두 6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 3점이 화성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김후(金㷞, 1751~1805)는 무반이다. 본관은 해풍이고 자는 광중이다. 영조 47년인 1771년에 정시무과에 급제했으며, 1793년에 경기중군이 되어 경기지역의 모든 군사업무를 실질적으로 통솔했다. 김후는 17942월 화성성역 별감동이 되어 화성 성역에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는 김후 초상은 무관초상화 가운데 단연 돋보이는 가작이다. 김후의 초상은 별도의 보관함까지 갖추고 있어 소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기증자는 김후의 6대 종손 김영규이다.

 

질암 최벽과 홍영식의 후손들도 유물 기탁해

 

질암 최벽(崔璧, 1762~1813)은 정조시대 대표적인 초계문신이다. 최벽의 6대 손인 최상덕은 집안에서 가전되어 오던 고문서 및 고서 1649점을 기탁했다. 최벽 문중의 기탁유물에는 최벽의 장원급제 당시 답안지 및 초계문신 시절 시험지와 은사장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문서들은 정조시대의 규장각과 초계문신 제도의 운영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 다.

 

 

우정국을 설립한 홍영식의 3대 후손인 홍석호가 기증한 유물로는, 홍석호가 훗날 선조들의 유물을 간신히 수집한 유물 238점을 2011년에 기증했다. 이러한 소중한 기증, 기탁한 유물을 전시한 것이다.

 

수원화성박물관의 관계자는

기탁한 유물도 기탁자들과 섭외중입니다. 우리에게 맡긴 유물을 얼마나 잘 보관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번 전시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는지 등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그래서 기탁유물도 기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한다.

 

이번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 중에는 보물급도 상당수가 있다고 한다. 83일까지 수원화성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만날 수 있는 또 다른 역사의 시작에 발걸음을 옮겨보기를 권유한다. 

 

보물로 지정이 된 채제공의 초상화 3

 

아마 우리나라에서 역대 군왕을 제외하고 한 인물을 그린 초상화가 세 점이나 보물로 지정된 경우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번암 채제공 한 사람뿐일 것이다. 채제공은 10여 년을 정조와 함께 했다. 홀로 재상의 지위에서 그 오랜 세월을 지낸 것이다. 영조가 사도세자를 폐위시키려 하자 채제공은 그에 반대를 했다. 아버지에 대한 효심이 지극한 정조임금이 채제공을 중용을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지난 달 28일부터 20142월까지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49에 소재한 화성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개막을 한 번암 채제공전. 이곳에 가면 자신의 속한 정파의 주장을 충실히 지키면서,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 인물인 채제공의 초상화 3점을 만날 수가 있다. 이 초상화들은 3점 모두가 보물 제14771-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부채와 행낭을 든 시복본

 

수원시 소장 시복본1792년에 그려진 것으로, 채제공이 73세에 그려진 초상화이다. 사모에 관대를 한 옅은 분홍색의 관복 차림에, 손부채와 향낭을 들고 화문석에 편하게 앉은 전신좌상을 그렸다. 초상화의 우측 상단에는 聖上 十五年 辛亥(1791) 御眞圖寫後 承 命摸像 內入 以其餘本 明年 壬子(1792) 이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 그림을 그린 화가는 이명기임을 밝히고 있다.

 

이어서 우측 상단에 채제공이 직접 쓴 자찬문도 있다. 시의 내용을 보면 정조임금으로부터 부채와 향낭을 선물 받은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선물을 표시하기 위해서 손을 노출시켜 부채와 향낭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이 시복본은 보물 제1477-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시복본 초상화는 120x79.8cm이며, 전체 크기는 173x90cm이다.

 

 

사실적인 묘사가 뛰어난 금관조복본

 

보물 제1477-2호로 지정이 된 금관조복본1784년 작으로, 65세 때 그린 초상이다. 초상의 왼편에는 채제공의 자찬문을 이정운(1743- ?)이 썼다. 이 금관조복본은 서양화법을 따른 명암법을 적절히 구사하여 얼굴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금관조복을 금박과 선명한 채색, 명암법 등으로 화려하게 표현했다.

 

이 금관조복본은 사실성과 장식성을 어우러지게 하여, 조선 초상화의 뛰어난 수준을 잘 보여준다. 그림을 누가 그렸는지 화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입체감이 두드러진 안면과 옷주름의 표현, 그리고 바닥의 화문석 표현기법으로 볼 때 이 금관조복본 역시 당대의 화공인 이명기가 그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관조복본은 그림부분 145x78.5cm, 전체영정은 202.9x 91.6cm이다.

 

 

부여 도강영당에 모셔진 흑단령포본

 

보물 제1477-3호로 지정이 된 흑단령포본은 오사모에 쌍학흉배의 흑단령포를 입은 전신의좌상이다. 이 흑단령포본은 본래 부여 도강영당에 모셔져 있던 것이다. 그 안면의 기색으로 볼 때 부여본은 앞에 살펴본 73세상과 흡사하다. 안면과 옷주름의 입체감 표현, 투시도법에 의한 화문석과 족좌와 의자의 사선배치는 이명기의 초상화법으로 보인다. 흑단령포본은 그림 크기 155.5x81.9cm이고, 전체길이는 210x94cm이다.

 

이렇게 조선 후기에 그려진 번암 채제공의 초상화는, 조선후기 채제공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상화를 그린 화가 이명기의 회화적 수준이 당대 최고임도 알 수 있다. 채제공의 3점의 영정은 조선후기 문인 초상화의 각종 유형을 다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유지초본까지 전하여 조선시대 초상화 연구에 학술적 가치도 높다.

 

화성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만날 수 있는 보물로 지정이 된 채제공 초상화. 정조시 10년간이나 재상의 위치에 있으면서, 강한 국권을 형성하기 위해 애쓴 정조를 도와 화성축성 등에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다. 또한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정조의 정치적 포부가 담긴 곳으로,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삼기 위해 한양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곳이었다.

둘레의 길이 5,744m인 화성은 동쪽지형은 평지를 이루고, 서쪽은 팔달산에 걸쳐 있는 평산성의 형태로 축성이 되었다. 성내의 시설물로는 문루 4, 수문 2, 공심돈 3, 장대 2, 노대 2, 포(鋪)루 5, 포(砲)루 5, 각루 4, 암문 5, 봉돈 1, 적대 4, 치성 9, 은구 2등 총 48개의 시설물이 있었으나, 이 중 수해와 전란으로 7개 시설물(수문 1, 공심돈 1, 암문 1, 적대 2, 은구 2)이 소멸되고 현재는 41개 시설물이 남아 있다.



창룡문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파손이 되었던 것을 복구하였다. 동쪽으로 난 문인 창룡문은 푸를 '창'자를 써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아래 사진을 보면 옹성 밖의 성벽이 돌출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성문을 지키는 옹성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다. '철옹성'이란 말이 생각난다.


동문인 창룡문을 들어서다

수원화성은 규장각의 문신인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1793년에 저술한 <성화주략>을 지침서로 하여 축성을 하였다.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하여 1796년 9월에 완공을 하였다. 화성 축성 시에는 거중기와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화성의 동문인 ‘창룡문(蒼龍門)’. 이 이름은 음양오행설에서 푸를 '창'자가 동쪽을 의미한다는 데에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동방을 ‘청(淸)’이라고 하는데, 그 청을 상징하는 것인가 보다. 창룡문은 한국전쟁 당시 크게 소실된 것을 1978년에 복원하였다. 창룡문은 홍예의 크기만을 놓고 볼 때는 장안문보다 더 크다. 안팎으로 홍예를 설치하였는데, 안쪽은 높이가 16척 너비가 14척, 바깥쪽은 높이가 15척 너비가 12척, 전체 두께는 30척이다.




동문의 옹성은 밖은 벽돌로 쌓고, 안은 화강암으로 이용하여 축성을 했다. 옹성 안으로 들어가는 길은 터진 곳 밖에 없다. 성문을 깨트리는 공성무기를 안으로 옮기기도 힘들지만, 성문 앞으로 다가서면 전멸을 하게 된다. 성문은 모두 여러조각의 철퍈으로 덮어 놓았다


창룡문을 들어서면 우선 홍예의 크기에도 놀랍지만, 창룡문서부터 팔달문까지 이어지는 제1저지선이 있다는 것에 더욱 경이롭다. 용머리길이라고 하는 이 외곽의 저지선은 그 자체가 토성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루로 올라본다. 한편을 터놓고 둥글게 문을 감싸고 있는 옹성. 옹성위로도 병사들이 이동을 할 수 있어, 적이 성문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비하였다. 성벽 여기저기에는 뜨거운 기름등을 부어 성벽을 타고 흐르게 만들었다. 성문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적을 막아내기에 부족함이 없다.



문루에 올라가면 옹성위로 난 길을 따라 이동을 할 수가 있다. 옹성 위 여장에는 총혈과 화살을 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아래로는 기름 등을 부을 수 있는 구멍도 있다. 상상만 해도 옹성 안으로 들어온 적이 어떻게 될지가 그려진다.


보물로 지정된 화서문

‘화서문(華西門)’은 화성의 서문으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보물 제403호로 지정이 되었다. 서문인 화서문의 홍예와 문루의 제도는 모두 동문인 창룡문과 같다. 다만 좌우의 돌계단을 꺾어지게 해서 층을 만든 것이 다르다. 화서문을 둘러쌓고 있는 서옹성의 제도는 동옹성과 동일하며, 높이는 11척이다.

화서문은 안과 바깥 면 모두에 평평한 여장을 설치하고, 외면에는 방안 총혈 19개의 구멍과 활 쏘는 구멍 6개를 뚫었다. 나머지는 모두 동옹성과 같다. 화서문은 정조 19년인 1795년 7월 21일 공사를 시작하여, 정조 20년인 1796년 1월 8일에 완성을 하였다, 화서문은 서해안과 남양만 방면으로 연결되는 곳이다.



서장대에서 성벽을 떠라 내려오다가 만나게 되는 화서문. 화서문은 옛 모습을 보존하고 있어 보물 403호로 지정이 되었다


화서문의 편액은 초대 화성유수였단 채제공이 썼다고 한다. 동문인 창룡문의 옹성이 벽돌로 쌓은데 비해, 화서문의 옹성은 단단한 화강암으로 쌓아 올렸다. 문루는 양편으로 출입문을 내었으며, 안에는 마루를 깔았다.

성문, 그 위에 올라서

수원화성은 축조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 손실되었다. 파손된 부분을 1975~1979년까지 축성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 복원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동문인 창룡문과 서문인 화서문, 그 위 문루에 올라서 난 무엇을 보았을까?



서문인 화서문은 문루로 오르는 계단을 꺾어 놓아 또 다른 형태로 조성을 하였다. 화성의 모든 문은 각기 특색있게 꾸며졌다. 성문의 두께도 대단하지만, 겉을 보누 철판으로 마감을 하였다.


화성의 성문들은 자연이다. 사방으로 난 길을 따라 난 성문들은, 그 형태들이 나름대로 특징을 갖고 있다. 네 곳의 문이 다 다른 모습으로 서 있다. 그 자체가 하나의 자연인양 하다. 주변의 지형에 맞게 꾸며진 사대문. 그것 하나만으로도 화성에 쏟아 부은 정성이 어느 정도였는지, 또 얼마나 심혈을 기울인 성곽인지 알만하다.



옹성 위로 올라가면 성문에 접근하는 적이 한눈에 들어온다. 공성무기조차 사용할 수 없는 화성의 문. 당시 어떻게 이런 구조물을 생각해 낸 것일까?  


사람들은 화성을 돌아보면서 참 잘 쌓은 성이라고 한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될 만하다는 칭찬을 늘어놓는다. 그러나 그 엄청난 성을 쌓기 위해 수많은 눈물을 이곳에 얼마나 흘린 것일까? 땀과 눈물, 창룡문의 문루 위에서 저 멀리 높게 보이는 서장대를 바라보니, 군사들의 함성과 함께 수많은 민초들의 땀으로 얼룩진 모습이 있다. 끝내 이루진 못한 이산 정조의 눈물까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