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과 일제치하에서 일본인들이 우리 문화재를 찬탈해간 숫자는, 아직도 어림잡아 계산을 할 뿐이다. 그 정확한 숫자가 얼마인지 그저 현재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의 수보다 많을 것이라는 막역한 추측을 할 뿐이다. 2003년 문화재청의 자료에 따르면 해외에 유출된 우리 문화재는 일본과 열강이라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을 합쳐 20개국에 모두 75,226점이라는 것이다.

 

그 중 일본이 가져간 것은 34,157점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조사를 할 수 있는 문화재의 숫자일 뿐, 실제로 고서화 등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그 숫자는 훨씬 더 많은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런 문화재를 수탈해간 아픔의 흔적이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에 ‘등록문화재’로 자리하고 있어, 마음이 아프다.

 

 

일본의 우리문화재 찬탈의 흔적

 

등록문화재 제182호. ‘구 일본인농장 창고’라는 명칭으로 등록문화재로 지정이 된 이 건물은, ‘발산리 금고’라는 명칭으로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이 되었었다. 그 후 <군산 구 시마타니 농장 귀중품 창고>라는 명칭으로 등록문화재 제182호로,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었다.

 

군산은 우리에게는 아픔이 많은 곳이다. 한수 이북과 경기, 호남, 강원도, 그리고 충청권의 많은 소중한 문화재들이, 이곳 군산으로 옮겨져 일본으로 건너간 집결지이기 때문이다. 한 때는 이런 일본의 잔재들을 모두 없애야한다고 주장들을 했지만, 그것도 우리 역사의 한 일면이라는 점에서 등록문화재로 지정을 하였다. 아마도 이런 문화재 찬탈의 장소인 창고가 곳곳에 있었다는 것을 요즈음 사람들이 알게된다면, 우리 문화재에 대한 생각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창피한 과거의 흔적이야말로 우리가 반성을 하고, 다시는 그러한 아픈 역사를 갖지 않도록 기억하는 것도 중요하다. 창피하다고 가리고 숨긴다면 그 아픔은 잊을 수가 있겠지만, 또 다시 그러한 역사가 반복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 그런 점에서 이 구 시마타니 농장 귀중품 창고는, 우리의 아픈 과거를 반성하는데 있어, 더 없이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시마타니 귀중품 창고, 그 아픔을 보다.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에 소재한 발산초등학교. 그 우측 뒤편에는 수많은 석조문화재들이 전시가 되어있다. 일본으로 반출을 하기 위해 전라북도 인근에 있는 석조문화재들을 시마타니 농장으로 옮겨 와 보관을 한 것이다. 이 석조물들을 우측에 두고, 좌측으로 학교 건물 뒤편으로 돌아가면 3층의 창고 건물이 보인다.

 

이 건물이 바로 등록문화재인 시마타니 농장의 귀중품 창고이다. 이곳 금고에 보관한 귀중품이라는 것은 바로 우리의 문화재들이었다. 일제시대 군산지역의 대표적인 농장주였던 ‘시마타니 야소야’가 1930년대에 지은 농장의 금고이다. 시마타니는 우리 문화재에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수많은 우리 문화재를 수집한 장본인이다.

 

 

이 금고형 창고는 모두 3층으로 꾸며져 있다. 현재 1층은 반 정도가 땅 속에 묻혀있어, 반 지하로 꾸몄다. 3층의 콘크리트 건물에는 층마다 좌우편에 작은 창을 내었는데, 철장을 지르고 그 겉을 철문으로 꾸민 이중의 문이다. 이렇게 창고 하나를 금고형으로 지어 놓은 것은, 그 안에 시마타니가 수집한 우리 문화재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아픔이 있는 시마타니 금고

 

학교건물 쪽으로 난 이층에는 미국에서 수입을 했다는 철제 금고문이 달려있다. 아마 이 문을 통해 금고 안으로 드나들었을 것이다. 이 철제문이 달려있는 곳은 이중으로 건물이 지어졌던 것 같다. 금고 문 위로 보면, 벽에 건물을 잇대어 지었던 흔적이 보인다. 그토록 단단하게 창고를 지었다는 것이다.

 

 

우리의 고서화나 도자기 등 창고에 넣을 수 있는 것은 이 금고에 보관을 하고, 부피가 큰 석조물들은 야외에 두었다니 도대체 그 숫자가 얼마나 많았던 것일까? 쇠창살 안으로 1층 안을 들여다보니 꽤 넓은 공간이다. 그 한편에는 이층으로 올라가는 나무계단이 보인다. 이층에 낸 금고의 문은 쇠사슬로 묶어놓아 안을 볼 수가 없음이 아쉽다.

 

그러나 건물 외벽으로 난 창을 보면, 안으로는 창살을 대고 밖으로는 철제문을 달아 이중으로 보안장치를 했다. 그만큼 우리 문화재를 수탈해가면서 보호를 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단단하게 지어진 덕분에, 한국전쟁 때도 아픔이 있었다고 한다. 바로 인민군들이 옥구지역의 우익인사들을 감금하는 장소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우리문화재가 사라져간 곳. 그 주위를 돌면서 분노를 느낀다. 하지만 이런 당시의 잔재가 아직도 남아있어, 다시 한 번 지난날을 반성하게 만든다. 더구나 이 건물이 학교 뒤편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에 더욱 더 고맙다. 적어도 이 학교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우리 문화재에 대한 생각이 남다를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