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안에 무엇이 날아다닌다. 창 밖으로 나가고 싶은가 보다. 창에 붙어 안간힘을 쓴다. 그것을 보고 있자니 답답하다. 어떻게 이곳까지 들어온 것일까? 하기야 날아다니는 곤충이 못 갈 곳은 없다. 하지만 어떻게 열차 안가지 들어왔을까?

어제 저녁 남원에서 전주로 올라오는 열차를 탔다. 자리에 앉았는데 무엇인가 창에 붙어 퍼득거린다. 날개 짓을 할 때마다 안 좋다는 흰 가루가 나른다. 자꾸만 나에게로 날아오니 짜증스럽다. 마땅히 잡을 것도 없다. 나방이다. 그것도 가루를 엄청 떨구는.
 


처음에는 그저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런데 날아다니면서 사람에게로 달라붙는다. 짜증이 난다. 여수에서 출발을 해서 용산으로 가는 열차인데, 도대체 열차안에 이런 것이 왜 들어와 있을까? 몇 번을 잡으려고 했지만 잡히지도 않는다. 


 
창 밖으로 풍경이 보인다. 나방이는 여기저기 날아다니다가 내 자리 옆으로 와 앉는다. 날때마다 가루가 심하게 날린다.

기분 좋게 떠난 길인데 초장부터 나방 한 마리가 사람을 짜증 나게 만든다. 그래도 어쩔 것인가? 너는 얼마나 힘들겠냐. 비록 창 밖으로 나가려고 가루를 날리고는 있지만, 그 창을 뚫을 수 있는 힘은 없을 것이고. 혼자서 키득거리다가 사진을 찍는다고 헸더니, 아우녀석 친절하게 휴대폰까지 꺼내 불까지 밝혀준다.  

열차 창 밑에 붙어 있는 나방. 앞으로 앞 좌석의 팔걸이 등이 보인다.

하지만 조금만 신경을 쓰면 승객들이 기분좋게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을. 이렇게 기분 찜찜하게 만들어야만 할까? 생전 나방이하고 함께 하는 열차여행은 또 처음이다. 여행 첫날부터 '옴 붙은 것'아 아닌 '나방 붙었다'.
 
이런 벌레 한 마리가 아무것도 아닐 수도 있다. 또 열차 안에 벌레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왜 하필 내가 앉은 자리에 이런 것이 따라 붙었을까? 아마도 내가 블로거라는 것을 알고, 글 소재 하나를 주려고 했나보다. 이런 글을 쓰면서도 무엇이 재미있는지 키득거린다. 오랫만에 마음 편하게 며칠간 떠나는 여행에서 오는 여유인가 보다.

억새풀로 지붕을 올린 집이 있다. 이런 이야기를 듣고 정말로 귀가 솔깃해졌다. 어떻게 억새풀로 지붕을 이었을까? 그런 집이 있다니 궁금해진다. 남원 선원사의 최인술 봉사단장과 함께 억새로 지붕을 인 집을 찾아 나섰다. 남원시 주천면 덕치리에 소재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5호인 덕치리 초가는 바로 짚이 아닌 억새로 지붕을 이은 집이다.

가을이 되면 하얗게 술을 나부끼며 멋을 자랑하는 억새. 그 풀을 베다가 지붕을 이었단다. 1895년에 박창규가 처음으로 이 집을 지었다는 것이다. 그 뒤 6,25 한국전쟁 때 소실이 되어, 1951년이 다시 지었다. 마을에서는 이 집을 ‘구석집’이라고 부른다. 안채와 사랑채, 그리고 헛간채 등으로 지어졌다.



억새풀로 지붕을 인 남원 덕치리 초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억새풀로 지붕은 올린 초가

구석집을 방문했을 때 주인이 반갑게 맞이해준다. 사랑채는 한창 공사를 하느라 부산하다. 9월부터 시작을 했다고 한다. 지붕을 보니 정말로 억새풀이다. 이 집 말고도 이 마을에는 억새풀로 지붕을 올린 집이 또 있다. 그러나 그 집은 예전의 모습을 잃어버렸다. 대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측간이 있고, 안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서 있다.

원래 논이었다는 구석집. 이 터가 명당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이 집을 지었다고 한다. 안채는 모두 4칸이다. 부엌과 방이 연이어 있다. 마당에서 일을 하고 있는 안주인이 사람은 찍지 말라고 당부를 하신다.

“안채에는 방이 몇 개인가요?”
“방이 둘 뿐예요. 예전 모습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요.”
“사랑채는 언제부터 공사를 하고 있죠?”
“올 9월부터 하고 있어요.”
“억새로 지붕을 올렸는데 매년 갈아 올리나요?”
“지금 지붕을 올린지가 7년 되었어요. 10년에 한번 갈아요.”

그러고 보니 억새에는 이끼가 가득 끼었다. 그만큼 오랜 세월이 지났다는 이야기다. 이 구석집은 일반 초가와는 달리 지붕의 경사가 급하다. 아무래도 빗물이 빨리 흘러 떨어지게 만든 구조라는 생각이 든다. 지붕을 이을 때는 억새를 단으로 묶어 올린다는 것이다.


덕치리 초가 안채와 부엌 문에 적힌 영화촬영 날짜
 
영화촬영도 몇 번 했다는 억새집

안채를 돌아보다가 보니 부엌문에 글이 쓰여 있다. ‘서기 1991년 1월 달 영화촬영하고 정지문 선사’ ‘ 1996년 음력 8월 24일 선진영화 촬영하고 금 30만원 받음’이란 글이다. 돌아가신 할아버님이 적어 놓으신 것이라고 한다. 선진영화라는 것은 아마 드라마를 말하는 것인 듯하다.

한창 공사를 하고 있는 사랑채는 그동안 보아왔던 집과는 비교를 할 수가 없다. 한 칸은 사랑으로 하고. 그 옆이 부엌이다. 네 칸인 사랑채는 부엌 옆에 마구간을 두고, 안채 쪽에 광채를 두고 있다. 지금은 공사 중이라 부산하다. 비가 오는 날 방문을 해서인가 마침 공사를 하지 않고 있어 사진을 찍기가 좋았다. 그도 다행이란 생각이다.



한창 공사중인 덕치리 초가의 사랑채와 여물통(가운데) 그리고 동학란 때 사용한 목창

구석집에는 동학란 때 사용한 창이 있다.

한창 사진을 찍고 있는데 아주머니가 헛간을 열고 들어가신다. 무엇이라도 있을 것 같아 따라 들어가 보았다. 지붕을 올려다보니 이상한 것이 보인다. 마치 소품으로 만든 창 같은 것이다. 그런데 그것에 적힌 글이 보인다. ‘갑오년 동학날리’라고 적혀있다. 그 창이 무엇이냐고 물어보았다. “저거요 저희 윗대 할아버님이 동학란 때 직접 들고 농민혁명 때 참가하신 창이라고 하네요. 그런데 지금까지 사람들이 몇 번 찾아왔어도 처음으로 물어 보시네요”라고 한다.

정말로 고택 답사를 하면서 처음으로 본 것들이 너무 많은 집이다. 억새로 지붕을 이었다는 것도 그렇고, 동학란 때 직접 사용했다는 창도 그렇다. 이렇게 새로운 것을 만날 때마다 신이난다. 아마도 그런 재미로 인해 답사를 계속하는 것이겠지만. 비를 맞으면서 하루 종일 돌아다닌 상인가보다. 사랑채가 완성이 된 후 다시 한 번 찾고 싶은 집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