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간의 생태교통이 마무리를 했다. 그리고 101일 오후 7시 반부터 행궁 광장에는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생태교통의 성공을 축하했다. 50회 수원화성문화제와 생태교통 수원2013’이 함께 막을 내린 것이다. 그동안 생태교통을 찾아 온 관람객 수는 약 100만 명. 그러나 이것은 각 부스별 이용자 집계이기 때문에 실제로 다녀 간 사람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생태교통 시범지역인 행궁동은 어떻게 변했을까? 주민들은 어떻게 달라진 모습을 받아드리고 있을까? 그런 것들이 궁금해 다시 행궁동을 찾았다. 예견했던 것이지만 골목마다 차들이 그득하다. 화서문로에도 차들이 지나다닌다. 생태교통이 끝났으니 어쩔 도리가 없다. 앞으로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를 고민을 해야 한다.

 

 

차 없는 거리, 너무 행복했는데...”

 

사람들은 생태교통 때 몸에 배인 버릇이 아직 가시지 않았다. 하기야 아스팔트가 아닌 길을 굳이 차도라고 이야기 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어르신 한 분이 도로를 걷고 계시다. 뒤에서 따라가던 차가 답답했는지 빵빵거린다. 그런데 문제가 일어났다. 어르신이 차가 왜 이리로 다니느냐고 나무라는 것이다. 아직 생태교통의 여운이 가시지 않았다.

 

할머니, 어제부로 차 없는 거리가 끝났어요.”

그래도 여긴 차가 들어오면 안 되잖아

아뇨, 이제 차가 다닐 수 있어요.”

그래, 끝났어? 왜 벌써 끝내. 차가 없으니 세상 좋기만 한데

 

어르신은 끝내 눈물을 보이신다. 아마도 그 한 달 동안의 차 없는 거리가 너무 행복하셨나보다. 마음대로 도로를 걸어도 좋았다고 하신다. 굳이 주변을 살피지 않아도 아무 걱정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다시 옛날로 돌아간다고 생각을 하니, 이젠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는 걱정이 앞선다는 것이다.

 

 

정말 끝났구나. 허무하게도

 

아침에 일어나 나왔는데 눈앞에 택시가 보이는 거예요. 처음에는 택시가 왜 여기를 들어왔지 했는데 생태교통이 끝났다는 것을 알았죠. 이 아름다운 거리에 다시 차들이 돌아다니고 사람들은 그 차를 피해 다녀야 한다는 것이 정말 믿기지 않아요. 이렇게 끝나버리다니 너무나 허무해요.”

 

씸지공원 앞에서 땅콩공방을 운영하고 있는 차민희씨는 당분간은 적응이 되지 않을 것 같다고 하면서, 차가 다시 다닌다는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한다. 행궁동을 두 바퀴째 돌아보았다. 한 달 동안이나 얼굴을 익힌 사람들이 오늘도 나왔느냐고 이야기를 한다. 행궁동의 변화를 보러 나왔다고 했더니, 늘 인사를 하던 한 주민은 대책을 세워야한다고 이야기를 한다.

 

이렇게 끝날 것 같으면 한 달간의 고생이 무슨 필요가 있었겠어요. 이제는 하루 빨리 이 생태교통 시범지역인 행궁동을 지키는 일이 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주말에는 차가 없는 거리로 정한다던지, 이 지역에서는 자동차 경음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던지 그런 것을 정해야 합니다. 주민추진단에서 주민운영위 같은 것을 만들어야죠.”

 

 

아직은 적응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적응이 되기 전에 이 생태교통 마을을 지켜내는 것이 급선무라는 것이다. 한 어르신은 한 달간 차가 없는 거리에서 생활을 하면서, 이 세상 어느 곳보다도 행궁동이 자랑스러웠다고 말씀을 하신다.

 

세상에 어느 동네가 이렇게 아름다울 수가 있어요. 어느 곳이 이렇게 사람들이 자유스러울 수가 있나요? 이런 마을을 다시 옛날처럼 차가 다니고 빵빵대고, 도저히 생각하기도 싫은 그런 모습들을 다시 본다면, 앞으로 여기서 살아갈 길이 캄캄합니다.”

 

생태교통은 끝났다. 하지만 주민들 마음속에는 아직도 생태교통이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누구에게 떠넘길 일이 아닌, 누군가 앞장서서 이 지역을 지켜내는 것이 먼저일 듯하다. 생태교통은 성공했지만, 앞으로 이곳을 지켜내야 한다고 사람들은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진청 ‘잡곡 웰빙레시피’ 펴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우리 잡곡으로 만드는 웰빙레시피’(대표저자 고지연)을 펴냈다.

이 책은 예전부터 배고픔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던 많은 잡곡들이, 이제는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새로이 조명을 받고 있다는 것에 착안을 해서 발간을 했다고 한다. 요즈음 서구화된 많은 음식들을 사람들이 즐겨 찾으면서, 서구화된 식생활에서 오는 생활습관병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가 많이 먹는 잡곡은 그저 밥을 할 때 혼반용 정도로만 인식이 되어왔기 때문에, 잡곡을 이용하여 만든 전통음식 문화가 대부분 사라져버렸다. 이런 식문화의 변화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심각한 건강까지 위협을 하는 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예전부터 전해내려 오거나, 새로이 개발을 한 조리법을 모아서 엮은 책이다. 이 책에 소개되는 레시피는 어른들 뿐 아니라, 아이들까지도 함께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레시피를 소개하고 있다.


여섯 부분으로 구분해 소개

‘우리잡곡으로 만드는 웰빙레시피’는 모두 여섯 부분으로 구분을 했다. <든든한 아침>에서는, 잡곡죽 약곡죽, 바쁜 아침에 좋은 잡곡선식, 수험생에게 더 좋은 수수두부를 소개한다. <건강한 한끼>에서는 기력을 돌려드립니다 기밥, 피칼국수, 잡곡부침개, 메밀수제비, 메밀국수와 메밀묵채, 율무누룽지탕 등에 대한 레시피를 소개하고 있다.

<아이들이 더 찾는 잡곡간식>에서는 팥카라멜, 수수팥떡, 잡곡 쿠키, 수수부꾸미, 수수머핀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 <선물하기 좋은 잡곡과자>편에는 잡곡꽃양갱, 잡곡강정을 만드는 레시피가 소개되어 있다. <식후 차 한잔>편에는 라면 먹은 후에 팥차, 고소 구수 힘나는 율무차와 당뇨에 좋은 쓴메밀차를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끝으로 잡곡의 영양성분과 성분들의 효능, 잡곡의 건강기능성 등, 잡곡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몸에 이로운 성분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한국인에게 맞는 ‘표준 잡곡비율’을 소개하기도 했다.

대표저자 고지연은 농학박사로 1994년 농촌진흥청에 들어 온 이후, 농업환경과 잡곡의 이용성 증진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밀양에 있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기능성잡곡과에 근무 중이다.

김제 금산사에 수천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 중에는 외국인들도 보인다. 10월 17일 김제 모악산 금산사에 개산대제가 열리는 날이다. 개산대제란 금산사가 처음으로 문을 연 날을 말한다. 절을 ‘산문’이라고 한다. 개산대제는 바로 절문을 처음으로 열었다는 뜻이 된다. 금산사의 개창일이 되는 셈이다.

금산사는 조선 성종 23년인 1492년에 작성된 <금산사 5층 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진표율사는 중건자로 보아야 한다.

금산사가 통일신라시대에 ‘진표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중창자이지 창건주는 아니다. 그 이유는 <삼국유사>를 비롯한 기록에 보면, 진표율사는 금산사의 ‘순제법사’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표율사 이전에 이미 금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게 한다.



이날 금산사에 모인 인파는 5,000명 정도라고 한다. 아마도 절집에 이렇게 많은 인원이 모인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금산사 개산대제에는 언제나 그 정도의 인원이 모여, 부처님의 도량이 문을 열었음을 축하하는 것이다. 금산사 개산대제의 이모저모를 둘러본다.


개산대제를 거행하는 기념식장에는 외국인들도 보인다. 종교에는 벽이 없어서인지, 파란 눈의 외국인들도 개량한복을 똑같이 차려입고 많은 사람들이 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행사장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일어섰다. 죽장자를 짚은 전 조계종 총무원장이신 월주 대종사께서 현 금산사 주지 원행스님과 많은 인파를 대동하고 식장으로 입장을 하고 계시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사람들이 차를 받치고 입장을 한다. 그 뒤로는  쌀, 향, 꽃, 등, 과일, 차 등 공양물을 부처에 바치는 의식인 육법공양물을 손에 든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  '육법(六法)'이란 깨달음과 관련된 6가지 공양에 정신적인 상징을 의미하는 것이다.

(1)등(보시) - 지혜의 등불이다. 등은 세상을 밝히는 광명 지혜인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
(2)향(지계) - 해탈의 향기이다. 향은 가려진 곳에도 향기를 두루 나눠 주는 공덕이 있다.
(3)꽃(인욕) - 보살 행의 아름다움이다. 열매가 맺기 위해서는
먼저 꽃을 피워야 한다.
(4)과일(정진) - 깨달음의 열매이다. 지극히 바른 도로써 성취 하겠다는 정진을 표현한다
(5)차(선정) -열반의 맛을 의미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차는 보통 차가 아니라 '감로차(甘露茶)'이다.
(6)쌀(지혜) - 깨달음의 기쁨이다. 봄부터 수많은 노력을 한 후
가을에 추수할 때의 기쁨을 상징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두 손을 모으고 부처님을 찬양한다. 그리고 월주 대종사의 개산대제를 기념하는 법문으로 이어진다. 특히 이 날은 만등불사와 불자들이 법명을 받고 새로운 생을 시작하는 '보살계'가 함께 이루어져 더 많은 사람들이 참석을 했다.

남원 시내를 돌아다니려면, 목숨 하나를 더 달고 다녀야 한다. 그나마 중심가에는 인도라도 있어서 다행이다. 그러나 그 인도라고 하는 것도 사람이 다니기에는 영 불편하다. 양편으로 개구리 주차를 시켜놓아 사람들이 통행을 하기가 불편한데, 그 와중에 물건까지 길에 내 놓은 얌체족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체국을 들렸다가 일부러 운동도 좀 할 겸 걸어오는 길이다. 그런데 통행하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금을 그어 놓은 황색선 안에, 제집인양 차들이 주차를 하고 있다. 겨우 상점이 있는 안으로 들어가 보려고 했으나, 틈이 생기지를 않는다. 할 수 없이 차가 서 있는 밖인 차도로 걷는 수밖에.

사람이 다녀야 하는 곳에 버젓이 서 있는 차들과 오토바이

내 목숨 좀 지켜주시오. 제발!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걷고 있는데, 갑자기 뒤에서 ‘빵’하는 경적음이 울린다. 놀라 뒤를 돌아보니 운전자가 인상을 쓰고 있다. 그러고 보니 내가 차도로 걷고 있었던 것. 그러나 나도 차도로 걷고 싶어 걸은 것이 아니다. 어디로 갈 때가 없으니 할 수 없이 차도로 걷고 있었던 것.

그런데도 인상 쓰고 경적 울리는 이 기사 분. 차가 없으면 그냥 집안에 처박혀 있으란 표정이다. 딴 때 같으면 운전자를 끌어내어 패대기라도 쳤을 판이지만, 내가 차도로 걸었으니 무엇이라고 하겠는가? 그저 미안하다고 머리를 조아리는 수밖에.


사람이 다닐 곳이 없어 위험한 차도로 다니고 있다

그러고 보니 사람들이 걸어야 할 곳은 차들이 서 있고, 정작 사람들은 모두 서 있는 차를 비켜 차도로 걷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어떻게 사람들이 차를 피해 차도로 걸을 수가 있을까? 그나마 젊은 사람들은 빨리 피하기라도 하지만, 노인분들은 어쩔 것인가? 뒤에서 빵빵거리면 어쩔 줄을 모른다.

차를 대놓지 못하게 하던지. 아니면 짐을 밖으로 못 내놓게 하고 차를 바짝 대지 못하게 하던지. 사람들이 걷는 길을 만들어 주던지. 아무런 조치도 없이 이렇게 사람들이 차도로 걸을 수밖에 없는 모습. 참 불안하기 이를 데 없다.

어르신들은 어쩌라고. 목숨 좀 지켜주시오 제발

'나 목숨 하나뿐이오. 제발 내 목숨 좀 안전하게 지켜주시면 안 되겠오?'

모과나무는 어디나 있다. 모과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모과나무는 높이가 10m 정도까지 자라나며, 가을에 노랗게 익는 열매가 달린다. 이 모과나무는 차를 끓여먹기도 하고, 향기가 좋아 방안에 놓아두면 상쾌한 기분이 돌게한다.

모과나무를 수도 없이 보아오고, 에전 집안에는 모과나무가 있기도 했다. 그런데 수확철이 되면 이상하게 벌레가 먹고, 그나마 몇개 딸 수가 없었다. 그런데 오늘 난생 처음으로 정말 실한 모과나무를 만났다. 한 그루에 300여개는 괼만한 모과가 달린 나무이다. 단 한 그루 뿐인 모과나무에 어떻게 저렇게 많은 모과가 달렸을까? 정말로 불가사의하다. 그 모과나무를 열심히 찍어왔다. 혼자 본다는 것이 아까와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