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나란 예전 작은 양철로 된 용기에 설탕과 소다를 넣어 연탄불에 올려놓으면 설탕이 녹는다. 그것을 철판 위에 붓고 비행기, 짐승 등을 조형한 강철로 만든 틀을 눌러 그 모형대로 따내던 또뽑기 놀이였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달고나는 전혀 다르다. ‘달빛아래 고색(古色)을 배경삼아 놀자꾸나.’가 달고나란다.

 

그렇다고 매번 달이 뜰까? 안 뜨는 날은 마음에 달을 하나 만들면 된다. 고색은 수원 화성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다는 방화수류정 앞에 조성한 용연이 놀이터이다. 한 마디로 화성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화수류정 앞 용연에서 한번 놀아보자는 것이다. 13일 토요일 8, 용연 주변에는 1,000명 정도의 관람객이 무대 맞은편에 자리를 잡았다.

 

 

용연 안에는 작은 인공섬이 있다. 그 섬에 가교를 설치하고 무대를 마련했다. 그 무대에서 한 시간 정도를 질펀하게 놀자는 것이다. 노는데도 격이 있다. 한 마디로 여긴 노는 물이 다르다. 수원문화재단에서 913일부터 1011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에 마련한 달고나는 국악과 다양한 장르를 결합시킨 공연이다.

 

남사당놀이와 춤이 결합된 젊은 놀이판

 

13일 오후 8시부터 무대에서 조명이 켜지면서 함께 태평소 소리가 들린다. 이어서 12명의 젊은 남녀들이 무대 위로 올랐다. 이 친구들 쉴 새 없이 춤을 추어댄다. 오빠는 강남스타일로 시작한 춤은 온갖 걸그룹들의 춤과 2000년대 박남정의 춤까지 정신없이 이어진다. 넌버벌 퍼포먼스 <The Club >이 만들어가는 무대이다.

 

 

이 친구들 복장을 보니 클럽께나 다녔던 친구들이다. 춤 또한 예사롭지가 않다. 시간여행으로 조선조 말기 남사당까지 이어진 놀이판은 결국 진도북춤과 소고춤, 그리고 난타와 버나, 살판 까지 들고 나왔다. 구경하는 사람들은 흥이 난다. 장단에 맞추어 손뼉을 치다가 손바닥이 얼얼한지 손을 흔들기도 한다.

 

젊은 사람들이 참 재주도 많다. 클럽에서 노는 날라리들인 줄로만 알았는데 하는 양을 보니 풍물께나 접한 친구들이다. 한바탕 춤을 추고 난 뒤 한 젊은 처자가 호주전통 악기인 디저리두를 들고 자리에 앉았다. 디저리두 연주를 하는 동안 무대 위에 슬그머니 북을 갖다 놓는다. 두드림의 미학이라는 난타를 해보겠다는 심산이다.

 

 

이 사람들 어쩔 것이여? 밤새 놀아봐?

 

난타연주가 끝나자 사물패가 먼저 장단을 치면서 무대에 올랐다. 그리고 층이 진 아래무대에 젊은 처자 둘이 북을 메고 나온다. 진도북춤 한 판을 신바람 나게 출 모양이다. 난장을 펼칠 남사당의 장단에 진도 북춤 한판이라. 기대를 하게 만든다. 춤을 추는 선이 아름답다. 뒤편 방화수류정에서 예전 정조대왕도 이렇게 용연의 춤을 즐기지는 못했을 텐데. 그런 생각을 하니 미안한 마음도 든다.

 

탈을 쓴 이매가 나와 춤을 춘다. 춤이라고 하기보다는 젊음의 몸짓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래도 언젠가 몸에 익으면 제대로 된 몸짓 한 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버나잽이가 접시를 돌린다. 커다란 버나 하나를 들고 나온 친구가 사람들을 웃긴다. 이 친구들 나이에 비해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 줄을 안다.

 

 

다시 처자 둘이 소고를 들고 나왔다. 사물에 맞추어 소고춤을 멋들어지게 춘다. 조금은 미숙한 면이 더 미소를 짓게 만든다. 살판을 하는 땅재주꾼들이 사람들을 즐겁게 만든다. 박수를 치는 사람들도 무대에서 재주를 펴는 사람들도 즐겁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열두발 상모가 무대에 올랐다. 걱정하던 일이 벌어졌다. 좁은 무대에 마음대로 돌리지 못하는 상모가 몸을 치감는다.

 

그래도 관객들은 아랑곳 하지 않는다. 이미 이 젊은이들의 놀이판에 푹 빠져들었기 때문이다. ‘오늘 어디 밤새 한 판 벌려봐라는 소리들을 하지만, 1초도 쉬지 않고 이어진 클럽 판의 무대는 꼭 한 시간 만에 조명이 꺼져버렸다. 마음속에 아쉬움만 남겨 놓은 채.

요즈음이야 고령사회가 되었으니, 60년이란 세월이 그리 대단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 분야에서 60년을 외길로 걸어왔다고 한다면, 그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손은 그렇게 곧추세우지 말고 비스듬히 해서 아름답게 끌어 올려”

 

음악에 맞추어 제자들과 함께 춤을 추고 있는 김진옥 선생은 벌써 춤을 시작한지 50년이 훌쩍 넘었다. 어린 나이에 어머니께 이끌려 처음으로 춤을 추기 시작한 것이 어느새 강산이 5번이나 뒤바뀐 세월이 되었다. 땀이 등줄기를 따라 흥건히 흐르고 있는 날이지만 가르치는 선생도 배우는 제자도 모두 열심이다.

 

“교방춤은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흥과 한을 동시에 갖고 있는 춤이다. 먼저 마음으로 춤을 추어야 제대로 된 교방춤을 출 수가 있어”

 

 

부채를 쥔 손 하나하나를 지적을 하면서 제자들에게 타이른다. 그렇게 쉬지 않고 열심을 하는 길만이 제대로 된 춤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고려 때부터 전해진 교방춤

 

교방무는 고려 문종 때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관기제도에 따라 교방청에서 전해진 춤을 말한다. 교방청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나 외국의 사절을 맞이할 때, 관에서 특별히 기예를 익힌 ‘예기(藝妓)’들로 하여금 연희에 참석을 하게 하였는데, 그들을 가르치는 관의 한 기구였다.

 

교방은 고려 때부터 제도적으로 곤에 속해 예기들을 가르쳐 왔으며, 조선조 광무 4년인 1900년에 궁내부에 교방사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조산왕조의 몰락과 함께 관기제도가 폐지됨으로써 1905년에 폐지되었다. 이후 교방에 속해있던 예기들은 ‘기녀조합’을 결성하게 되었고, 악가무(樂歌舞)로 생업을 이어가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단단한 기본으로 다져진 춤꾼

 

현재 정민류교방춤보존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진옥 선생(여, 65세)은 남다른 열정을 갖고 춤을 추는 춤꾼이다. 어릴 때부터 시작한 춤은 이제는 선생에게서는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소중한 삶의 한 부분이다. 하루에도 몇 곳을 돌며 제자들을 가르치지만, 아직도 한 사람이라도 더 가르쳐야 한다며 늘 바쁜 걸음을 걷는다.

 

김진옥 선생의 이력은 일일이 열거할 수가 없다. 춤을 춘 세월도 오래지만, 그만큼 많은 활동을 했기 때문이다. 제자를 키워내는 일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국내외를 돌면서 한 공연 횟수만 해도 이루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이다.

 

“그동안 참 숨 가쁘게 달려왔네요. 지금은 저희 교방춤 보존회가 국내는 물론이고, 일본과 미국에 까지 지부를 두고 있을 정도입니다. 외국 공연도 활발하게 하였죠. 이제는 한 숨 돌리고 경기도에 교방춤의 뿌리를 내리고 싶어요.”

 

경기도에 교방춤의 뿌리를 내릴 것

 

경기도와는 이미 1990년부터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1990년에 사단법인 대한어머니회 경기도지회에 무용부가 발족이 되면서 지회장인 김동숙으로 부터의 부탁을 받아 회원들을 가르친 것이 경기도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는 것이다. 벌써 경기도에서의 20년 세월이 훌쩍 지났다. 100여 명의 회원을 가진 무용부는 1994년 문화의 전당 대공연장에서 공연을 가질 만큼 열심들을 냈다.

 

2001년에는 국악협회 경기도지회 이사를 맡기 시작하면서, 경기도의 춤꾼들에게 본격적으로 교방춤을 가르쳤다. 무용을 전공한 제자들만 하여도 수십 명에 이르고 일반인들 제자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아 수백 명이 넘는다고 한다.

 

“경기도는 화성재인청(수원)이 있던 곳으로 제인청의 춤이 문화재로 지정을 받는 등 많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옛 선생님들 말씀을 들으면 교방 또한 경기도의 여러 곳에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정조의 화성행차시나 혜경궁 홀씨의 연례에도 교방에 속한 예기들이 연희를 한 것을 알 수가 있죠. 하기에 경기도는 교방춤에 대한 재해석을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경기도에 적을 두고 있으면서 안성 국립한경대학을 비롯하여 명지대학교 예술종합원, 경기국악당 등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다. 경기도에도 교방춤보존회 경기지회(지회장 심규순)을 비롯해 화성, 수원, 용인, 안성, 평택 등에 지부를 두고 있다.

 

그동안 춤을 가르친 선생님들은 모두 세상을 떠났다. 교방춤을 가르친 고 정민선생을 비롯하여 전 진도씻김굿의 보유자인 고 박병천 선생, 그리고 벽사 한영숙 선생의 전통춤도 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늘 마음이 바빠진다.

 

“이제는 저도 나이가 있으니 제자들과 함께 무엇인가 경기도를 위한 공연을 무대에 올리고 싶은 생각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한국의 명인명무전 등에 초청이 되어 춤을 추면서도 늘 경기도에서 큰 무대를 한 번 만들고 싶었거든요. 내년쯤에는 경기도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기 시작한지 20년을 넘긴 기념으로 교방춤의 제전을 한 번 열었으면 합니다. 그것이 제가 선생님들께 그동안 배워 온 것에 대한 보답이라는 생각이기도 하고요”

 

 

선생은 몇 년 전에 mbc TV 일일연속극 ‘왕꽃선녀님’에서 탤런트 사미자와 이다해에게 한국무용을 지도하여, 극중 문화센터 한국무용강사로 직접 출연하여 한국무용을 지도하는 장면이 여러 회 방영 된 바도 있다. 대담을 하면서도 연신 제자들의 연습을 하는 곳으로 눈길을 보내고 있는 김진옥 선생. 아마도 그런 열정이 있는 한 경기도에 멀지 않아 교방춤의 꽃을 피울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