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영사는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있는 고찰이다. 불국사의 말사인 불영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이 세웠다고 전하는데, 의상은 이곳의 산세가 부처님이 계신 인도의 천축산과 비슷하다고 하여, 천축산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곳의 연못에는 9마리의 독룡이 살았는데, 이들을 주문으로 쫓아낸 뒤 구룡사라 하였단다.

 

그 뒤 서쪽 산 위에 부처님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못에 비춰 불영사라 개칭을 하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불영사는 명승 제6호로 지정된 불영계곡을 끼고 조성된 아름다운 절이다.

 

많은 수난을 당한 불영사

 

불영사는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많은 아픔을 당한 절이다. 조선 태조 6년인 1397년에는 나한전만 남긴 채 화재로 모두 불에 타 버린 것을 이듬해 소운대사가 연산군 6년인 1500년에도 다시 소실된 것을 양성법사가 중건하였으며, 선조41년인 1608, 경종 4년인 1742, 고종 3년인 1899년에도 중건을 하였다.

 

불영사 경내에는 보물 제730호인 응진전, 보물 제1201호인 불영사 대웅보전, 보물 제1272호인 불영사 영산회상도와 지방문화재로 지정이 된 삼층석탑과 불영사 부도 등이 있다. 불영사 대웅보전은 기단 밑에 거북 돌을 받쳐 건물을 받들게 하였는데, 이는 불영사가 있는 자리가 화산이어서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고른 균형을 보이는 삼층석탑

 

이 불영사 대웅보전 앞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인 불영사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높이 3.21m의 삼층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크지는 않지만 고른 균형을 보이는 탑으로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한다.

 

불영사 삼층석탑의 아래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에 양우주를, 가운데에는 탱주인 기둥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올렸으며, 몸돌의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한 양우주를 가지런히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올라갔다.

 

그런데 이 불영사 삼층석탑의 지붕돌의 형태는 2층 지붕돌의 낙수면의 기울기 등이 1층과 3층에 비해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상륜부인 꼭대기에는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을 놓고, 위로 엎어놓은 그릇모양인 복발과 연꽃이 활짝 핀 모습을 한 앙화가 놓여 있다. 불영사의 삼층석탑은 아담하지만 전체적으로 고른 균형을 이루고 탑으로, 기단의 조각수법과 지붕돌의 모습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시대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죽어서도 서원을 이루는 굴참나무

 

불영사를 들어가다가 보면 우측에 돌을 가득 쌓아올린 나무 그루터기가 보인다. 이 고목이 되어 쓰러진 나무는 한 때 천연기념물 제157호로 지정이 되어있던 불영사 굴참나무이다. 살아있을 때는 수령이 1,300여 년에 수고는 35m, 둘레가 6.2m에 이르던 거목이었으나 고사로 인해 지정 해제가 되었다.

 

 

이 굴참나무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대사가 불영사를 창건한 기념으로 심은 나무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이었던 이 굴참나무는 썩은 몸통만 남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위에 서원을 한 돌을 올려놓았다. 죽어서도 사람들의 서원을 들어줄 수 있는 천연기념물. 불영사 굴참나무는 비록 고사를 했지만, 그 의미는 세월이 지나도 달라질 것이 없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