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한 번 꾸러미라는 것을 받는다. 매달 말일 경이 되면 어김없이 택배 상자가 하나 배달되어 온다. 그것을 받을 때마다 미안한 생각이 드는 것은, 그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 때문이다. 물론 그냥 받는 것은 아니다. 가격을 정해놓고 받는 것이지만, 가격에 비해 터무니 없는 것들을 받기 때문이다.

 

벌써 이렇게 매달 받는 꾸러미가 4달째인가 보디. 그러는 사이에 집안에는 여기저기 도자기가 늘었다. 도자기도 아무 곳에서나 막 살 수 있는 그런 것들이 아니다. 작가가 정성을 다해 빚어 장작 가마에 구워낸 것들이다. 가격으로 쳐도 만만치 않은 것들을 받는 것이 어찌 마음 편할 수 있겠는가?

 

 

벌써 둥지를 튼 지가 20년이 되었다니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골짜기 산 밑 마을을 즘골이라고 부른다. 즘골이란 이곳에 과거에 가마터가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예전에는 그릇을 만드는 사람들을 일러 즘놈이라고도 했다. 20년 전 작가부부가 이곳에 둥지를 튼 것도 알고 보면 하늘의 인연이란 생각이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이 부부를 남들은 참 아름답다고 이야기들을 한다.

 

사람을 좋아하는 부부이다. 그저 술 한 잔 걸치면 속을 다 내어주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속을 내주는 이 부부들이 나무와 풀과 꽃들과 풀벌레와 함께 살아가는 동안, 세상은 변하고 또 변했다. 그저 묵묵히 그 자연 속에서 살던 이 부부가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서 준비한 것이 바로 이 꾸러미라는 상자이다.

 

 

세상과의 소통, 사람과의 소통이 되는 꾸러미

 

작가부부는 이 꾸러미로 인해 세상과의 소통을 하고 사람과의 소통을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꾸러미의 내용물을 보면 사람과 세상에 베푸는 것이란 생각 밖에는 들지 않는다. 한 달에 한 번 지불하는 가격보다 몇 배나 되는 소중한 것들을 받기 때문이다. 요즈음 사람들은 그런 것들에 대한 소중한 가치를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아는 사람들은 받을 때마다 미안하다는 것이 공통된 생각이다.

 

이번 달에도 역시 자연에서 채취해 5년간이나 숙성시켜 만든 백초식초가 한 병 담겨있다. 120가지나 되는 식물을 5년 동안 항아리에 밀봉을 해 만든 식초이다. 이런 식초 한 병만으로도 소중한 것인데, 그 안에는 쇠비름나물과 건조야채, 자연산 달걀지단과 칡 꽃차 등이 담겨 있다.

 

칡 꽃차는 에스프로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기관지에 좋고 숙취해소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들에게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무공해 야채와 직접 로스팅한 커피도 함께 동봉이 되어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도 중요하지만 함께 잘 포장이 되어오는 도자기들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공유했으면

 

이번에 들어있는 도자기들은 사과를 닮은 과일포크 꽂이가 들어있다. 거기다가 도자기로 만든 커피 드립이라니. 사람들은 흔히 커피를 내릴 때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도자기로 고민하여 만든 커피드립은 또 다른 멋을 자아낸다. 작은 찬기도 하나 들어있다. 이렇게 매달 받는 도자기류만 해도 지불하는 가격을 상회한다.

 

이 작가 부부의 바람은 소통이다. 더 좋은 사람들과 자연에서 채취한 올바른 먹거리를 함께 나누면서 세상의 즐거움도 함께 공유하자는 마음이다. 그 마음이 꾸러미 안에 담겨있는 것이다. 그러한 자연과의 소통에 더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였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사실 그 바람 또한 미안한 일이다. 이 부부에게 그만큼 무거운 짐을 지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꾸러미 가격 / 10만원(한 달에 1회 배달)

주문 및 문의 / 010-2631-9584

계좌번호  / 우체국 102343-02-006428 장순복

속이 비어버린 서낭나무 아래 부부가 나란히 섰다. 합장을 하고 난 뒤 남편은 무릎을 꿇고 부인은 잔에 술을 따른다. 그리고 맨 땅에서 삼배를 한다. 서낭할머니에게 드리는 마지막 예를 올리는 것이다.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335번지에는 화가 부부가 산다. 남편도 부인도 모두 화가이다. 하지만 생활을 하기 위해 남편이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장작가마에 구워내는 도자기의 색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품위가 있다. 그런데 문제는 도자기를 구워 팔아도 생활이 되지 않는다. 주변에서는 생활자기를 만들라고 조언을 해보지만, 굳건히 자신의 길을 지켜간다.

 

단종이 울며 지나던 길 가에 선 서낭나무

 

이 부부가 사는 집은 상교리 중에서는 맨 끝 집이다. 이 집을 해우재라고 부른다. 해우재는 남편인 김원주(54)의 호이다. 아래채는 도자기 전시관과 손님맞이 방으로 사용을 한다. 20여 년 전 부부는 어린아이 하나를 데리고 이곳에 정착을 했다. 그리고 이곳에 터전을 내리면서 자연 그대로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런 삶이 이 부부가 우리 것들에 대해 남다른 애착을 갖게 했는지도 모르겠다. 이 집에서 흙길을 따라 뒤편으로 돌아가면 여주 고달사지로 나가는 길이다.

 

그 길가 구부러진 곳에 6.25 한국동란 때 폭탄이 떨어져 한 편이 잘려나간 고목이 한 그루 서 있다. 속은 텅 비었지만 그래도 한 가지는 늘 잎을 달고 있다. 이 나무가 바로 서낭할머니로 불리는 나무이다. 나무의 밑동으로 보아 수령이 수백 년은 족히 되었을 것 같다. 이 나무가 서 있는 길은, 예전 단종임금이 노산군으로 강등이 되어 울면서 영월로 향하던 소로 길이라고 한다.

 

 

이포에서 배를 내린 단종임금은 지금 여주시 대신면 상구리에 소재한 블로헤런 CC 안에 자리한 어수정에서 목을 축인 후, 북내면 소재 고달사지 곁을 지나 이 좁고 낮은 고개를 넘어 서원리로 행했다는 것이다. 그 때도 이 서낭나무가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고속도로 공사로 나무를 자른다고

 

이곳이 제2영동고속도로 부지로 들어갔단다. 13일 이른 시간부터 굉음을 내는 중장비들이 일대를 시끄럽게 만든다. 전날 모임이 있었기 때문에 늦은 시간까지 이야기들을 하느라 늦잠이 들었다. 하지만 이른 시간부터 중장비 소음이 잠을 깨운다. 다시 잠을 청해보지만, 집이 울리는 소리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다. 밖으로 나가보니 7시 밖에 되지 않았는데도, 주변에 중장비들이 여기저기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서낭할머니 나무는 상교리 주민들이 위하는 나무였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 김원주 부부가 사는 집에 사시던 할머니 한 분이 이 서낭나무를 지극히 위했다고. 하지만 한국전쟁 때 폭격을 맞아 반이 잘려나간 후 마을의 섬김이 끊어진 듯하다. 서낭나무 뒤편에는 옛날 제를 올리던 제단 터의 흔적이 보인다.

 

우여~ 서낭할머니 이제 떠나신다.

 

이제 고속도로 공사로 인해 이 서낭할머니 나무가 잘려나간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제를 올렸다고 하지만, 이 부부의 마음은 아직도 편치 않은 듯하다. 그 서낭할머니 나무에 대해 늘 마음속으로 정성을 들여왔기 때문이다. 점심을 먹은 후 빗방울이 떨어진다. 막걸리 한 통과 북어 한 마리를 들고 서낭나무를 찾아갔다.

 

 

마침 이 집에 모임 때문에 들린 스님 한 분이, 서낭할머니께 마지막 축원을 해준다고 자청을 한다. 막걸리를 따르고 삼배를 한 후, 스님의 독경이 시작되었다. 서낭할머니를 마음속으로 떠나보내는 절차이다. 폭탄을 맞고도 살아남은 서낭할머니는 고속도로로 인해 댕강 잘리게 되었다.

 

스님의 독경이 끝 난 후 막걸리 잔을 손에 든 김원주의 피 토하는 소리가 즘골을 울린다. 통곡의 소리이다. 일제 때는 문화말살 정책으로, 그리고 그 뒤에는 우상이라고 떠들어 대는 광신도들에 의해, 그리고 새마을운동 때 무수히 잘려나간 서낭나무들이다. 이제 고속도로 공사 때문에 잘려나갈 상교리 즘골 서낭할머니. 마지막으로 막걸리를 늙은 나뭇가지 위로 냅다 쏟아낸다.

 

서낭 할머니 편히 가시오. 아무쪼록 무지한 것들이 할머니의 몸을 잘라도, 사고나 없게 해주시오.”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우두산 일대와 주암리 뒷산인 옥녀봉. 그리고 서원리 뒷산을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수도 없이 많은 굴을 발견할 수가 있다. 마을 주민들은 상교리 뒷산인 우두산에 만도 어림잡아 40~50여개는 넘을 것이라는 말이다. 물론 이굴은 자연적인 굴이 아니다. 모두가 일제에 의해서 파여진 인공적인 굴이다. 굴 중에는 군인들에 의해서 군 작전상 막아놓은 것들도 있다.


굴은 대개 땅을 아래로 파 들어가 그곳부터 옆으로 굴착한 것들이 있고, 처음부터 암벽을 평행으로 파 들어간 것 등 다양하다. 이 굴들은 주변에 바위를 뚫고 들어간 것인데, 깊은 것은 수 십 미터에 이르는 것들도 있다고 한다. 왜 이렇게 많은 굴들을 이곳 여주군 북내면 일대 산에 뚫어놓은 것일까?


금광채취를 위해 뚫어놓은 굴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즘골 뒤 우두산.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금광이 있었다 

다음지도에서 본 금광굴이 집단으로 있는 위치

옥녀봉 방향 뒷산은 눈이 많이 쌓여있어 오르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할 수없이 북내면 상교리 ‘즘골’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즘골이란 예전에 가마가 있던 곳이라고 한다. 눈길은 아무래도 위험할 듯 해, 카메라를 소지하고 오르기를 포기했다. 우두산은 그리 높지는 않지만, 쌓여있는 낙엽과 녹지 않은 눈으로 인해 길이 미끄럽다.


잎이 다 떨어진 앙상한 나뭇가지들엔 새들이 앉아 낯선 사람을 경계하듯 시끄럽다. 눈이 녹은 나무 밑에는 한겨울을 보낸 영지버섯 하나가 추위에 떨고 있다. 생명의 끈질김을 본다. 눈길에는 고라니를 비롯한 짐승들의 발자국이 무수히 찍혀있다. 낮에도 사람의 발길에 놀란 고라니들이 뛰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산으로 얼마 오르지도 않았는데, 산 중에 축대를 쌓은 듯한 돌담들이 보인다. 잘 다듬어진 돌이 삐죽 고개를 내밀고 있다. 아마도 이곳에 집이라도 있었는가 보다. 금광을 채굴하기 위해서 파 놓은 굴 옆에는, 지금도 알아볼 수 있는 축대가 있다. 금광을 채굴하던 사람들이 묵었던 막사를 지었던 곳이었나 보다.



산으로 오르다가 보면 집터인 듯한 곳이 보인다. 주추돌인 듯한 돌들과 축대가 있다.

한 때는 60호가 넘는 집들이 있던 곳


즘골의 뒤편에 있는 우두산은 ‘소머리산’이다. 이 즘골로 들어가는 곳에는 유난히 소를 키우는 목장이 많다. 현재 즘골에는 16호 정도의 집들이 있다. 하지만 금광을 한창 채굴 할 당시에는 60여 호나 되는 집들이 있었다고 한다. 산에서 캔 광석을 잘게 부수어 마을 앞으로 흐르는 냇가에 와서 채질을 했다는 것이다.


이 우두산은 산세가 그리 높지는 않다. 하지만 이 산은 명산이라고 한다. 마을 어르신들은 이 우두산은 가히 인재를 키워낼 만한 산이었기에, 인근에 ‘고달사지’가 자리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 우두산이 일제강점기에 무수히 파 놓은 굴로 인해, 그 명산의 혈이 모두 끊겨버렸단다. 그래서 즘골에는 인재가 나오기 힘들 것이라는 이야기도 한다.




금광굴의 흔적. 이 사진들은 모두 핸드폰으로 촬영하였다.

가시지 않는 상처


산을 이리저리 돌아다녀 본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양편에 무수히 많은 굴들이 있다. 이곳에는 아직도 금이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들도 한다. 산 중에 축대를 쌓고 관리를 하는 집까지 지었던 흔적이 있는 것을 보면, 아마도 상당한 금이 묻혀있었던 것 같다. 산 위에도 여기저기 예전 집터가 보인다.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와 재화를 찬탈해간 일제. 그런 점도 마음이 아픈데 이런 흔적들이 전국에 수도 없이 널려있는 것을 보아야 하다니. 언제나 이 아픔이 그치려는지 모르겠다. 마을의 어르신들조차도 “죽어도 그 원수는 갚아야 혀. 너무 많이 고통을 받았어. 우리 민족들이” 라고 분노를 표한다. 산을 내려오는데 철모르는 딱따구리 한 마리가, 가지만 남은 오동나무가지를 쪼아댄다.


산으로 오르는 길에 난 야생동물이 지나다닌 흔적과 영지버섯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