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상광교동 산41에 소재한 수원시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 창성사는 고려 말의 국사인 화엄종사였던 진각국사(1305~1382)의 사리탑과 함께 조성이 된, 보물 제14호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가 있던 곳이다. 진각국사의 탑비는 현재는 수원 화성 안 방화수류정 길 위편으로 옮겨져 있다.

 

상광교동 버스 정류장에서 광교산 방향으로 폭포농원이 있다. 창성사를 오르는 길이 따로 나 있지 않아 이곳을 통과해 안쪽 하천에 놓인 가교를 건너야 한다. 이곳에서 산으로 오르는 길은 그저 평범한 어느 산골마을을 찾아가는 길 같다. 길가에 쓴 몇 기의 묘를 지나 산길을 걷다보면 길이 양편으로 갈라진다. 좌측으로 난 길이 창성사지로 오르는 길이다.

 

 

누가 쌓아놓은 돌탑일까?

 

18일 오후에 오른 창성사지 오름길. 이곳부터는 길이 험해진다. 발밑에서 바삭하며 부스러지는 마른 낙엽들이 아파하는 소리가 난다. 물길과 산길을 따라 수북이 쌓인 낙엽들을 밟으며 걷다보면 때 늦은 단풍들이 손짓을 한다. 좌측으로 계곡 옆에 선 커다란 바위 덩어리들이 보인다.

 

천천히 걸어 조금 더 오르면 누군가 쌓다가 만 돌탑이 보인다. 막돌로 쌓아놓은 이 탑은 언제 누가 쌓은 것일까? 아마도 누군가 이곳에서 간절히 바라는 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길이 갑자기 험해진다. 낙엽이 쌓인 밑으로 뾰족한 돌들이 발바닥을 찌른다. 아마도 낯선 사람이 이 길로 들어선 것이 못마땅한 모양이다. 땀이 흐르는 것을 닦으며 조금 더 오르니 창성사지가 보인다.

 

 

창성사지 이렇게 대단했었나?

 

고려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옛 축대가 보인다. 높이 4 ~ 5m 정도의 축대로 보아, 이곳을 기점으로 아래 위에 전각이 들어서 있었을 것이다. 창성사지 주변에 온통 여기저기 줄을 늘어놓았다. 수원시 향토유적인 창성사지를 한신대학교박물관과 수원시에서 발굴을 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보물로 지정이 된 창성사지 진각국사 탑비는 이곳을 떠났다. 아마도 절이 사라져버린 산 중에 놓아두는 것이 불안했던 모양이다. 여기저기 발굴의 흔적이 보인다. 모두 3단으로 축대를 쌓고 전각을 지었을 것으로 추정이 되는 창성사지는, 발굴을 하면서 각종 와편과 석재들이 노출이 되었다.

 

그 뒤편에도 작은 축대 한 곳이 있다. 아마도 그 위에는 산신각이나 삼성각이 자리했을 것이다. 모습을 드러낸 석재들과 함께 몇 곳에 우물의 흔적도 보인다. 이렇게 발굴을 하고 있는 사지를 돌아보니, 창성사지가 적은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잘 다듬은 장대석을 보아도 이 절의 크기가 가늠이 간다.

 

 

많은 석재와 와편들, 창성사지 옛 역사 밝혀질까?

 

현재 발굴중인 창성사지는 장대석과 주초 등의 석재나 우물터, 축대 등으로 보아 모든 발굴을 마치고나면 사적이나 문화재자료로 지정도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 정도로 장대석을 잘 다듬어 사용을 했다. 한창 발굴중인 창성사지를 돌아본다. 산 정상을 바라보고 있는 소나무 뒤편으로 문양을 한 사각형의 석재가 보인다.

 

가까이 다가가보니 우물인 듯하다. 삼면을 잘 다듬은 네모난 석재로 마감을 하고, 그 위에 네모난 문양을 곁들인 돌을 올려놓았다. 안에는 물이 고여 있다. 그동안 노출이 되어있던 우물터는 모두 막돌로 주변을 쌓아놓았었다. 그런데 이 우물은 왜 이렇게 정성들여 꾸며 놓은 것일까? 전문가가 아니니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이 우물은 특별하게 사용한 것은 아니었을까?

 

 

잠시 소나무 아래 그늘에 앉아 저 멀리 보이는 산을 바라본다. 마치 용트림을 하듯 굴곡진 산등성이들이 보인다. 옛날 진각국사도 이런 풍광 때문에 이곳에 창성사를 중창한 것은 아니었을까? 현재 드러난 잘 다듬은 장대석과 주초, 와편, 우물터와 전각 터 등을 보아도 예사 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발굴이 다 끝나고 나면 창성사에 대한 더 자세한 역사를 알 수 있지 않을까? 조급한 마음으로 기대를 해본다.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7호인 윤영채 가옥이 자리하고 있다. 5월 22일 찾아간 집은, 일반적인 고택에서 보이는 모습과는 영 딴판이다. 집의 구조가 일반 양반집이나 민초들의 형태가 아닌 특이한 형태로 꾸며져 있다. 집을 돌아보면서 느낀 것은, 많은 옛 고택을 나름대로 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생소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이 집은 원래 사람이 생활을 하는 고택은 아니었다. 현재 안채와 중문채, 문간채를 겸한 사랑채 등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튼 ㅁ 자 형태로 꾸며져 있다. 이 집은 원래 남원을 ‘방(坊)’이라는 작은 행정구역으로 나누면서 48개의 방을 조성했는데, 그 중 ‘이언방(伊彦坊)’에 속하였던 곳이다. 이언방이란 아마도 선비들이 많이 살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48방 중 최고의 명당에 자리해

이 이언방이 선비들이 많이 살고 있었다는 것은, 바로 옆에 서원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아 알 수 있다. 이 집은 중종 6년인 1511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돼, 500년이 지난 유서 깊은 집이다. 이 이언방은 48방 중 가장 명당에 속한다고 한다. 이 건물은 이언방이라는 마을에 있던 집으로 ‘동대(東臺)’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아, 관청의 한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일설에는 이 건물이 남원 수령의 별장이었다고도 한다. 건물은 중앙에 안채인 듯한 세 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편에 부속건물을 붙여지었다. 현재는 개인 소유로 되어있는 이 집은, 그 형태가 남다르다. 우선은 집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고택과 그리 큰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중간에 살림집으로 개조를 하면서 약간의 형태가 달라진 듯하다.



전체적인 구성으로 볼 때 현재의 문간채에 붙은 사랑채는 후에 다시 붙어 지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청의 옆에 붙은 날개채 역시 근자에 들어서 사람이 살림을 할 수 있도록 고쳐지은 것으로 보인다.

안채와 행랑채 사이에 높임마루가

윤영채 가옥의 사랑채는 후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문을 마주하고 좌측으로는 방으로 꾸몄다. 그리고 그 끝에는 판자문을 달아낸 툇마루를 두고 있다. 이 사랑채를 나중에 꾸몄다는 것은 집의 구조로 보아 알 수 있다. 낮게 막힌 담이 사랑채에 연결이 되어있는데, 그 안에 중문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이 중문은 안채의 뒷마당으로 출입을 할 수 있는 문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중문을 들어서면 우측으로 방이 한 칸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옆으로 사이를 두고 한 층이 높은 방 두 개가 나란히 붙어있다. 이 중문에서 대청까지는 모두 세 단으로 높아진다. 두 개의 방과 안채 건넌방 사이에는 높임마루가 있다. 일반적인 높임마루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뒤로는 벽을 막아 판문을 달고, 마루 밑으로는 아궁이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어느 집에서도 찾아보기가 힘들다. 아마도 이 집의 특성상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듯하다. 이곳이 명당이기 때문에 지형을 건들이지 않고, 그대로 지형에 맞게 축조를 한 것이란 생각이다.



활주조차 색다른 윤영채 가옥

넓은 대청은 아무런 장식이 없다. 관청의 동헌을 보는 듯하다. 뒤로는 세 칸 모두 판문을 시원하게 달아냈으며, 마주보고 우측으로 부엌과 안방, 윗방이 자리하고 있다. 사람이 살림을 하기 위해 꾸민 집이 아니라는 것은 한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그런 집을 후에 살림을 할 수 있도록 여기저기 개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부엌의 바깥 지붕은 활주를 따로 주추를 놓지 않고, 기둥에 기대어 건물 주추위에 올려놓았다. 윗방의 뒤편에는 벽을 돌출시켜 다락의 용도로 사용했다. 전체적인 집의 모습은 예전과 달라졌다고 하지만, 중문채와 안채의 사이에 특이한 형태의 높임마루와,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꾸밈새 등이 특이하다. 옛 고택은 아무리 돌아보아도 새로운 것은, 바로 이런 색다른 모습을 보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석탄정. 남들은 석탄정이라고 하면 먼저 옛 노랫말을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 석탄정을 본다면 그런 노랫말을 생각하기 전에 먼저 입부터 벌릴 것이다. 마을을 들어가는 길 한편에 보이는 거목들이 우거진 숲. 그리고 그 안에 자리한 작은 정자 하나. 그것이 바로 석탄정이 운치있게 자리한 모습이다.


석탄정을 찾아가 제일먼저 느낀 것은 쉬고 싶다는 생각이다. 아주 편안하게 두 다리를 뻗고, 그저 세월을 막아버리고 싶은 그런 마음이었다. 정자 안에 걸린 수많은 편액들. 이 석탄정이 왜 그토록 발을 쉬고 싶었는지, 바로 이해가 간다. 얼마나 많은 시인묵객들이 이곳을 들려 편안하게 발을 뻗고 세월의 흐름을 잊은 것일까?




석탄 류운선생이 건립한 정자 


석탄정은 고창군 고창읍 율계리에 자리한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전혀 생각지도 않았던 문화재를 만날 수가 있다. 바로 석탄정이 그런 곳 중 하나이다. 주소를 잘못 찾는 바람에 만나게 된 정자. 석탄정을 찾아들어 슬그머니 남모르는 미소를 짓는다. 열심히 답사를 하다가보니, 이렇게 좋은 곳으로 안내를 했는가 보다고. 전혀 생각지도 않았던 소득이기 때문이다.


선조 14년인 1581년에 지은 정자이니, 벌써 430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정자이다. 류운 선생은 성격이 고매하고 학식이 높아, 청암찰방이라는 직책을 제수받았다. 그러나 벼슬에 나아가지 아니하고 이곳에 이 정자를 지었다. 동서로는 상풍루와 영월헌을 세우고, 정자 앞에는 조대를 세웠다고 한다. 주변에는 나무를 심어 풍취를 돋우었다고 하니, 주변에 있는 나무들의 수명이 그러하단 것을 말한다.





커다란 느티나무가 뿌리가 드러나 보일 정도이다. 다 드러난 맨살을 보이고 있는 고목에서, 석탄정의 역사를 알수 있다. 이렇게 멋진 정자를 만나기도 쉽지가 않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정자는 가운데 방을 들였다. 그래서 주변을 마음대로 돌아볼 수 있도록 꾸몄다. 정자의 앞으로는 높임마루를 놓고 그 밑에 아궁이를 들였다.


풍취를 자아내게 하는 정자


그 높임마루 하나가 정자의 모습을 바꾼다. 이 높임마루가 아니더라도 방을 둘러쌓고 있는 마루에 앉으면 세상 시름을 잊을 것만 같다. 덤벙 주초위에 원형의 기둥을 놓고, 팔작지붕으로 꾸민 정자는 그렇게 옛 풍취를 자랑이라도 하는 것일까? 사방을 둘러 걸린 편액들이 편안한 다리를 뻗은 나그네를 긴장케한다.





무엇인가 이 석탄정에서는 글 하나라도 짓지 않는다면, 댓돌 밑으로 내려가지 못할 것만 같은 분위기다. 한바퀴 빙 둘러 걸린 수많은 편액들이 이곳을 자랑하고 있다. 석탄 류운선생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과 교분을 쌓은 것일까? 이곳을 둘러보면서 스스로를 나무란다. 과연 난 선생과 같은 그런 마음을 간직할 수는 있는 것일까?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스스럼없이 좋아할 수는 있는 것일까? 


마음을 읽을줄 모르는 새 한 마리가 고목의 가지에 앉아 요란하게 울어댄다. 아마 저 새도 세상을 살면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아끼지 못한 나를 탓하는가 보다. 오늘 이 석탄정에 올라 시름 하나를 내려놓고 간다. 그리고 숱한 답사길에 쌓인 피로도 내려놓고 가련다. 그것이 석탄 선생이 기다리는 바가 아닐런지. 석탄정에는 수많은 나그네들의 피로가 놓여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