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루는 이순신 장군의 유명한 시인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 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에 나오는 누정이다. 수루는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에 소재한 사적 제113호인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지 안에 소재한다. 10월 14일 통영유람선터미널에서 배를 타고 한산도로 향했다. 불과 20분 정도의 거리였지만, 들어가면서 바라본 한산만 일대는 작은 섬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다도해(多島海)라 하기에 손색이 없다.

 

 

 

 충무공의 유적지를 돌아보다.

 

관람을 할 수 있는 표를 구입한 후 출입문인 ‘한산문’을 통과하여 제승당으로 향했다. 이 곳 유적지는 선조 25년인 1592년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한산대첩에서 왜선을 섬멸한 후, 선조 26년부터 30년인 1597년까지 삼도수군의 본영으로 삼았던 곳이다. 두억포에는 임진왜란 때 전함인 판옥선과 척후선 등 100여척이 정박해 있었으며, 740여명의 수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천천히 바닷가를 거닐어 제승당으로 향한다. 굽이굽이 돌아가는 길에는 늙은 적송들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두 병의 모형병사가 문을 지키고 있는 앞에는 우물이 있다. 물을 들여다보다가 그만 울화가 치민다. 어떻게 유적지 안에, 그것도 이순신 장군이 이곳에 머물 때 1,340일을 사용했다는 우물을 이렇게 쓰레기가 떠다니게 만들 수 있단 말인가?

 

 

 

 

 계단을 올라 유적지 안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제승당이 보인다. 제승당은 현재의 해군작전사령부와 같은 역할을 한 전각이다. 1593년 7월 15일부터 1597년 2월 26일(음력) 한양으로 압송을 당하기까지 3년 8개월을 이곳에 진영을 설치했다. 장군의 일기인 ‘난중일기’ 1,491일 중, 1,029일이 이곳에서 쓰였다.

 

한산만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는 수루

 

사실 수루는 정자가 아니다. 일종의 망루와 같은 곳이다. 장군은 늘 이곳에 올라 한산만 일대의 지형을 살피고, 시간마다 달라지는 조수의 차를 꼼꼼히 살펴보았다. 이 곳 일대에는 유난히 많은 암초가 있다고 한다. 그 암초들까지도 일일이 헤아렸을 것이다.

 

 

 

 

 

이곳에서 오른쪽의 고동산, 왼쪽의 미륵산, 뒤쪽의 망산을 이용하여 적의 동태를 살폈다고 한다. 봉화와 고동 연 등을 이용하여 적의 동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작전을 세운 곳이다. 이곳 수루에서는 한산만 일대가 한 눈에 들어온다. 수도 없이 지형을 파악하고, 그 지형에 따른 작전을 세웠기에 55척의 배를 갖고 세계 4대 해전 중 하나인 ‘한산대첩’을 이루어내지 않았겠는가?

 

고증을 통해 복원한 수루가 시멘트 건물이라니

 

수루의 앞에는 설명을 하는 안내판이 보인다. 그곳에는 1976년 정화사업 때 한산만을 내려다 볼 수 있는 현 위치에 고증을 통해 세웠다고 적혀있다. 양편으로 계단을 내고,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다. 주변에는 난간을 둘러 운치를 더했으며, 수루는 팔작지붕이다.

 

 

 

 

수루 위에 올라 멀리 한산만을 바라본다. 한산만은 통영의 미륵도와 한산도 사이에 있는 만으로, 이곳은 안쪽은 넓고 입구가 좁다. 이 한산만은 수심이 낮아 소형선박들의 출입이 가능한 곳이다. 크고 작은 섬들과 낮은 수심, 여기저기 만과 포구들을 이용한 이순신 장군의 전략이 한산대첩의 승리를 만들어 낸 곳이기도 하다.

 

수루를 둘러보다가 보니 무엇인가 이상하다. 칠이 벗겨진 곳에 들어난 부분이 아무래도 나무 같지가 않다. 두드려본다. 시멘트로 만들어 놓은 듯하다. 어이가 없다. 물론 그 당시에 는 목재를 다듬어 수루를 복원한다는 것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딴 곳도 아닌 충무공의 유적지 안에, 역사적인 전각인 수루를 시멘트로 조성을 했다는 것은 납득이 가질 않는다.

 

 

 

 

 

장군의 혼이 깃든 곳인데, 더럽게 부유물이 떠돌고 있는 우물도 그렇고, 수루도 마음을 아프게 한다. 영웅은 사라지고 수루만 남았지만, 그 수루마저 사람을 슬프게 만들다니. 연신 사람들을 실어 나르는 유람선을 뱃고동이 더욱 슬프게 들린다.

한산섬, 그 이름으로 만도 가슴이 설렌다. 어릴 적 가장 존경하는 이를 쓰라고 하면 언제나 ‘이순신장군’을 써 오던 나이기 때문이다. 꼭 한번은 가고 싶었던 곳. 10월 14일 한삼섬을 돌아볼 기회를 얻었다. 한삼섬은 세종 1년인 1418년 삼군도제찰사 이종무가, 병선 227척과 병력 1만 7천 285명을 이끌고 대마도 정벌의 대장정에 오른 출전지이기도 하다.

 

1592년에는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영 행영으로 이곳에 제승당을 설치하였고, 이듬해인 1593년에는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원균의 참패로 제승당이 소실되었다. 1739년 조경 통제사가 유허비를 세우고 제승당을 중건하였다.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은 사적 제11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퉁영유람선터미널을 떠나 인근으로 가는 유람선(위)과 한산섬으로 가는 도중 만나는 남해안의 섬들(아래)


 

유람선을 타고 한산섬으로

 

10월 14일 오전 10시 30분. 통영유람선터미널을 출발하여 뱃길로 20여분. 한산섬으로 들어가는 길에 바라다 보이는 남해안의 크고 작은 섬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저 멀리 한산대첩 기념비가 서 있는 봉우리와 거북등대를 지난다. 이곳은 물이 빠지면 암초가 많이 솟아있다고 한다. 한산대첩은 바로 그런 자연적인 지형을 최대한 이용했다는 것.

 

선착장에 배가 닿자 사람들이 부지런히 걷기 시작한다. 주어진 한 시간 안에 더 많은 것을 돌아보기 위함이다. 하지만 아무리 바빠도 둘러볼 것은 둘러보아야지. 바다를 끼고 반원을 그리고 있는 적송이 한편으로 우거진 갈을 걷는다. 호흡을 깊게 해본다. 오염되지 않은 맑은 공기가 가슴 깊이 바닷내음을 전해준다.

 

매표소인 한산문을 지나 걸어서 5분. 과거 이순신장군이 사용을 했다는 우물이 나온다. 그곳을 지나치면 제승당으로 오르는 길이다. 천연기념물 제63호인 팔손이나무가 길 양편에 넓은 잎을 벌리고 손을 맞이한다. 조금 걸어 올라가면 계단 위에 충무문이 있고, 그 안에 이순신장군의 혼이 깃든 많은 유적들이 자리하고 있다.

 

장군의 충정을 느낄 수 있는 유적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제승당이다. 제승당은 1593년 7월 15일부터, 1597년 2월 26일 간적들의 모함으로 장군이 한양으로 압송될 때까지, 3년 8개월 동안 진영을 설치했던 곳이다. 1,491일분의 난중일기 중, 1,029일의 일기가 이곳에서 쓰여졌다. 제승당을 바라보고 우편에는 그 유명한 장군의 시에 나오는 수루가 서 있다.

 

 

제승당으로 오르는 길에 서 있는 팔손이나무(위)와 제승당(아래)

 

수루 위에서 바라다 본 한산만의 모습이 아름답다. 하지만 임진왜란 당시 이곳에 얼마나 많은 포화가 터졌던 곳일까? 수루를 내려오다가 보면 좌측에 충무공의 후손들로 통제사와 부사로 부임을 했던 이들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송덕비가 전각 안에 나란히 서 있다. 이 비들은 240년 ~ 130년 전에 세워진 것이라고 한다.

 

제승당의 뒤편으로는 바닷가에 서 있는 한산정이 있다. 한산정은 충무공이 장병들과 함께 활쏘기를 하던 곳이라고 한다. 한산정에서 바다를 건너 과녁이 보인다. 과녁까지의 거리는 145m. 충무공이 이곳에 활터를 만든 것은 밀물과 썰물의 교차를 이용해, 해전에서 실전거리를 적응시키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사적지 안에 한산만을 바라보고 서 있는 수루(위)와 장군의 후손들의 덕을 기리는 송덕비들(아래) 

한산정에서 바라다 본 바다 건너편에 보이는 화살을 쏘는 과녁

 

난중일기에는 이곳에서 활쏘기 시합을 하여 진편에서 술과 떡을 내어 배불리 먹었음을 여러 차례 기록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장군의 탁월한 전술로, 병사들의 사기진작을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장군의 영정 앞에 서다

 

한산정을 벗어나 충무사로 향한다. 외삼문인 솟을삼문을 지나면 한편에 제승당유허비가 서 있다. 1597년 정유재란 때 타버린 것을, 1739년 제107대 통제사인 조경이 제승당을 다시 세운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유허비를 지나 내삼문을 들어서면, 충무사가 나온다. 충무사는 이순신 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충무사


 

향을 한 개비 들어 불을 붙여 꽂고 머리를 숙인다. 왈칵 눈물이 흐른다. 가슴이 먹먹해지는 듯하다. 문화재 답사를 시작하면서 그렇게 찾아오고 싶었던 곳이다. 30년이 지난 오늘에야 이곳에 섰다. 그저 목석이 된 듯 서 있는데 사람들이 빨리 가야한다고 부산을 떤다. 일행이 없다면 하루 종일이라도 있고 싶었는데. 그렇게 잠시 장군을 보고 되돌아서야 한다니. 걸음이 떼어지질 않는다.

 

 

배를 타고 한산섬을 떠나오는데 갈매기 떼들이 배를 따르며 난리를 친다. 관광객들이 던져주는 과자를 받아먹느라고. 저 갈매기라면 언제나 그 곳 한산섬을 갈 수 있으련만. 언젠가는 혼자 시간을 내어 다시 이곳을 찾아야겠다. 저 갈매기들처럼 자유롭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