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에서 734번 도로를 따라 영광IC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우측으로 장성군 삼계면 사창리가 나온다. 이 도로변 우측으로 키 큰 소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는데, 그 가운데 정자가 서 있다. 기영정, 이 정자는 1543년 처음으로 왕명에 의해서 지어진 정자이다.

 

지지당 송흠(1459-1547) 은 세조 5년인 1459에 참봉 송가원의 아들로 출생했다. 명종 2년인 1547년에 8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만고효자로 칭송을 받았다. 벼슬길에 나아가서도 노모를 생각하는 마음이 끔찍하여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전주부윤으로 전임한 뒤, 광주 나주의 목사, 담양과 장흥의 부사를 지냈다.

 


 

 1534년 전라도 관찰사가 되었지만, 노모와 떨어져 사는 것이 죄스럽다고 하여 왕의 특허를 받고 집에 돌아갔으며, 101세를 산 모친을 봉양하였다. 7회에 걸쳐 효렴으로써 상을 받은 송흠은 1538년 청백리에 녹선이 되고, 1696년에는 효헌이란 시호를 받았다.

 


  
중종은 전라감찰사로 부임을 하는 규암 송인수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고 송흠을 위한 정자를 짓고 그 이름을 기영정이라고 부르도록 명을 내렸다.


  
기영정에는 서로 다른 현판이 두 개가 걸려있다


  
기영정에는 다른 글씨로 쓴 현판이 두 개가 걸려있다

 

기영정은 1543년 당시 전라도 감찰사인 규암 송인수가 송흠을 위하여 왕명을 받들어 지은 정자이다. 정자는 키 큰 소나무들이 늘어선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용암천이 흘러 경치가 뛰어나다. 중종이 송흠을 생각하는 마음이 지극하였던 것 같다. 중종은 전라감찰사로 부임을 하는 규암 송인수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고 송흠을 위한 정자를 짓고 그 이름을 기영정이라고 부르도록 명을 내렸다.

 

사람이 올바른 생활을 하고 부모에게 효를 다하면, 세상 누구인들 그 사람을 우러러보지 않겠는가? 아마 송흠도 천하에 효자로써 어머니 모시기를 정성을 다하였으니, 당연히 중종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을 것이다. 기영정은 전쟁으로 소실이 되어 폐허가 되었던 것을, 송인수의 10세손인 송겸수가 영광군수로 부임을 하면서 철종 7년인 1856년에 고쳐지은 것이다.

 


  
정자 앞으로는 내가 흐르고 철 늦은 은행잎이 노랗다


방을 놓지 않고 사방을 트이게 했다. 주름이 진 기둥이 기영정의 역사를 알려준다


소나무 숲길을 따라 기영정에 오른다. 방도 없이 사방이 탁 트인 정자가 시원하다. 앞으로 흐르는 용암천가에 아직 잎을 달고 있는 은행나무가 노랗다. 정자 앞에는 잎을 다 떨어트린 백일홍이 서 있다. 기영정이란 다른 글씨의 현판이 좌우에 걸려있는 정자는 주춧돌도 자연석이다. 그저 자연을 닮아 평생을 효로써 마친 정자 주인을 닮았다는 생각이다. 아마 뒤로 난 도로가 없었다면, 그리고 달리는 차들의 소음이 없었다면 소나무 가지에 앉은 새들의 지저귐만 남았을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요직을 거쳤으면서도, 노모의 안위를 먼저 생각했던 송흠. 그에게 내려진 중종임금의 사랑이 깃들어서인가 마음부터 숙연해진다. 수많은 정자를 돌아보면서 각기 다른 이야기들을 지니고 있었지만, 오늘 기영정에 올라 효심(孝心) 하나를 배워간다.         

정자나 누각이라고 해서 꼭 경치 좋은 계곡이나 바닷가, 혹은 강가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전에는 절마다 누각을 지어 그곳에서 강론을 펴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법을 알려주는 장소로 사용을 하기도 했다. 전국의 사찰에는 이러한 누각이 상당히 많이 보존이 되어 있다.

내가 그 중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 경내에 있는 쌍계루를 좋아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쌍계루는 고려 충정왕 2년인 1350년에 ‘교루(橋樓)’라고 하여 최초로 지어졌다.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당시에는 다리 위에 지어졌던 것으로 추정한다.


물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누각

지금도 쌍계루 앞에는 물이 고인 곳이 있고, 그 물은 계곡에서 흘러드는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다. 그 뒤 고려 공민왕 19년인 1370년 폭으로 인해서 교루가 부서졌다. 고려 우왕 3년인 1377년에는 파손된 교루를 청수스님이 중수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정도전이 ‘백암산정토사교루기’를 지었다.


백양사 들어가는 길. 절을 찾아 가는 길부터 마음이 편안해진다.

고려 우왕 7년인 1381년에는 목은 이색이 교루의 이름을 쌍계루라 하고 ‘백암산정토사쌍계루기’를 지었다. 1980년에는 쌍계루가 복원이 되었는데, 그 후 몇 차례 중수를 하였다.



백암산을 뒤로 한 쌍계루와 쌍계루 현판

지금 시를 써 달라 청하는 백암사 스님을 만나니
붓을 잡고 생각에 잠겨도 능히 읊지 못해 재주 없음이 부끄럽구나.
청수스님이 누각을 세우니 이름이 더욱 중후하고
목은선생이 기문을 지으니 그 가치가 도리어 빛나도다.
노을빛 아득하니 저무는 산이 붉고
달빛이 흘러 돌아 가을 물이 맑구나.
오랫동안 인간 세상에서 시달렸는데
어느 날 옷을 떨치고 그대와 함께 올라보리.

포은 정몽주가 당시 이곳에 머물면서 청수스님의 권유로 지은 시이다. 여기서 백암사는 지금의 백양사를 말하는 것이며, ‘옷을 떨친다’는 말은 관복을 벗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몽주는 결국 이 시를 남겨놓고 선죽교에서 한 많은 세상을 떠났으니, 그 혼이라도 이곳에 들렸을 것만 같다.


최근 새로 보수를 한 쌍계루. 전체적인 보수를 마쳐 옛 모습을 되찾았다.

쌍계루 전각에 올라 보다.

쌍계루, 말 그대로 두 개의 물줄기가 있는 곳에 서 있는 누각이라는 소리일 것이다. 아마 백암산에서 흘러드는 물줄기가 이 쌍계루를 휘감아 도는 것은 아니었을까? 처음 교루라 이름을 붙인 것도, 후일 이색이 쌍계루라 이름을 붙인 것도 물과 연관이 지어지는 이름이다. 지금도 쌍계루 앞에는 고여 있는 물속에서 물고기들이 한가롭게 유영을 즐기고 있다.



쌍계루 위 누각에는 포은 정몽주의 시를 비롯해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이층 누각을 오르면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그 중 정몽주의 시판에 눈에 띤다. 아직도 이곳을 그리고 있지는 않을까? 그런 생각들을 하면서 주변을 돌아보는데, 낯선 작은 새 한 마리가 날아와 난간에 머문다. 혹시 포은 선생의 넋이 저리 새가되어 쌍계루를 찾은 것이나 아닌지. 오랜만에 찾은 쌍계루는 그렇게 말없이 지난 역사만을 알려주고 있다.

난간에 앉아 쉬는 작은 새 한 마리. 포은 선생의 방문은 아니었을까? 

 

 

마을의 입구나 혹은 사찰 입구에 보면, 부릅뜬 눈에 왕방을 코, 그리고 삐져나온 날카로운 이빨. 어째 썩 어울리지 않는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 있다. 흔히 장승이라 부르는 이 신표는 지역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다. 장승, 장성, 장신, 벅수, 벅시, 돌하루방. 수살이, 수살목, 수살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장승은 나무나 돌을 조형 해 만들어 세운다. 나무를 깎아 세우면 ‘목장승’이라 하고, 돌을 다듬어 세우면 ‘석장승’이라 한다. 장승만 세우는 경우도 있지만, 솟대, 돌무더기, 서낭당, 신목, 선돌등과 함께 동제의 복합적인 형태로 표현이 되기도 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처음으로 기록에 보인 장승

 

장승의 기원에 대한 정설은 아직 정확하지가 않다. 대개는 고대의 ‘남근숭배설(男根崇拜說)’과, 사찰이나 토지의 ‘경계표지’ 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기도 하지만 그 어느 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일설에는 솟대나 선돌, 서낭당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도 전해진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운 보물 제157호인 장흥 보림사의 ‘보조선사탑비’에, 장승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이 탑비의 내용에는 759년에 ‘장생표주(長生標柱)’가 처음으로 세워졌다고 했다. 그 외에 <용재총화>나 <해동가요> 등에도 장승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이로 보아 통일신라나 고려 때는 이미 장승이 사찰의 입구에 세워, 신성한 곳임을 알리는 경계표시로 삼았다고 생각한다.

 

 

이 외에도 장승은 성문, 병영, 해창(海倉), 관로 등에 세운 공공장승이나, 마을입구에 세운 수호장승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를 하면서 민속신앙의 대상물로 깊숙이 자리를 잡았다. 현재까지도 마을에서는 장승을 신표의 대상물로 삼고 있는 곳이 상당수가 있으며, 옛 지명 중에 ‘장승백이’나 ‘수살목’ 등은 모두 장승이 서 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승

 

장승은 설화나 속담 등에도 자주 등장한다. 그럴 정도로 우리와는 친숙하다는 것이다. 장승을 잡아다가 치죄를 하여 도둑을 잡았다거나. 판소리 변강쇠타령 등에 보이는 장승에 대한 이야기는, 장승이 민초들의 삶에 깊숙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척 장승같다’거나 ‘벅수같이 서 있다’ 등은 모두 장승의 형태를 빗대어 하는 속담 등이다.

 

 

장승의 기능은 경계표시장승, 로표장승과 비보장승 등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장승의 기능은 대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경계표시 장승은 사찰 등의 입구에 세워, 잡귀들의 출입을 막고 신성한 지역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로표장승은 길목에 세워, 길의 안내를 하는 기능을 갖는 장승을 말한다. 비보장승은 마을의 입구에 서서 마을로 드는 재액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장승나라 청양, '장승무덤'도 있네.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 입구에는 장승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 장승공원은 칠갑산 주변 마을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 10여 개 마을에서 지내오는 장승제로 인해, 1999년 칠갑산 장승문화축제를 개최하면서 조성한 전국 최대의 장승공원이다. 칠갑산 주변에는 대치리 한터마을을 비롯하여, 이화리, 대치리, 농소리, 정산면 용두리, 송학리, 천장리, 해남리, 대박리, 운곡면 위라리, 신대리 등에서 장승제가 전해지고 있다.

 

 

장승공원 안에는 장승체험관을 비롯하여 전국 최대의 천하대장군과 지하대장군, 청양 마을의 장승과 각 지역별 장승, 시대별 장승, 창작 장승, 외국의 장승까지 두루 갖추고 있다. 약 300기가 넘는 장승공원에 서 잇는 장승들은, 그 수명을 다해 쓰러지면 ‘장승무덤’에 갖다가 놓는다.

 

이 많은 장승들, 비오는 날 더 괴이하네.

 

7월 14일 비가 쏟아지는 장마에 장곡사를 둘러보고 난 후, 장승공원 주차장으로 들어섰다. 다시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우산을 들고 작은 카메라를 지참하고 공원 안으로 들어섰다. 비가 심하게 내리니 장승공원을 돌아보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편안하게 여기저기 아무렇게나 서 있는 장승들을 만나본다.

 

 

왕방울 눈에 매부리 코, 듬성듬성한 이빨을 보이며 희죽이 웃고 있는 장승. 그런가하면 새치름한 표정으로 비가 싫다는 듯 눈썹이 치켜 올라간 장승도 보인다. 허리가 휘어져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만 같은 장승이 있는가 하면, 얼굴 가득 미소를 머금고 금방이라도 하늘을 향해 웃음보를 터트릴 것만 같은 장승도 보인다.

 

장승공원을 한 바퀴 돌아본다. 참으로 별별 장승이 다 있다. 그 많은 장승들이 하나같이 모습들이 다 다르다. 장승은 깎는 사람의 모습과 마음을 닮는다고 했던가? 아마도 이 장승을 조성한 작가들의 심성이란 생각이다. 우중에 돌아 본 청양의 장승공원. 속으로 되놰 본다.

“이 많은 장승들이 서 있는데 청양에 무슨 일이 있겠어?”

고불총림 백양사는 1,400여 년 전 백제 때 지어진 고찰이다. 전남 장성군 북하면에 자리하고 있는 백양사는 주변 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백양사의 경내에는 쌍계루가 있고, 그 앞에 물을 막아 연못처럼 조성을 하였다. 이 연못가에는 하얗게 탐스런 꽃을 피운 이팝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이팝나무는 5월경에 꽃을 하얗게 피우는데, 그 모습이 마치 쌀밥을 소담스럽게 담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서 이팝나무라고 부른다. 이팝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서식을 하며 병충해에 강하고 높이는 20m 정도에 달하며, 우리나라에는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진해 평지리의 이팝나무, 김해 주촌면의 이팝나무,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양산 신전리의 이팝나무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각진국사가 꽂은 지팡이가 변하다

 

각진국사는 고려 원종 11년인 1270년에 태어나 공민왕 4년인 1355년에 세상을 떠났다. 본관은 고성이고 성은 이씨이며 호는 무능수라 하였다. 스님이 돌아가신 후 왕명을 받아 비문을 지은 이달충은  「각진스님은 사람됨이 맑고 순박하며, 단아한 것이 평화스럽다. 그 마음은 곧고 깨끗하며 정성스러웠다. 멀리서 바라보면 깨끗하기가 신선과 같고, 가까이 나아가면 온화하기가 부모와 같았다. 이는 그 생김새가 이마는 푸르고 눈썹은 반백이고, 입술은 붉고 이는 희기 때문이다. 입으로 말을 하면 남의 선악을 구별치 아니하고, 마음으로는 공경함을 지니고 있었다. 평생을 방장으로 지냈으나 단 한 개의 재물도 갖지 않았다」고 기록했다.

 

각진스님은 10세 때에 조계산의 천영스님께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았다. 스승인 천영이 입적하자, 수선사 제12세 자각국사인 도영을 좇아 공부하였다. 고려 충정왕의 왕사가 되어 '각엄존자'라는 호를 받았고, 공민왕 1년인 1352년에는 공민왕으로 부터 왕사의 책을 받았다. 영광군 불갑사에 머무르다가 1355년 백양사로 거처를 옮겼다. 백양사로 거처를 옮긴 1355년 7월 27일에 입적하였다.

 

5월 경이 되면 하얗게 꽃을 피운다.

꽃이 피면 마치 쌀밥을 수북히 다아 놓은 듯 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이런 내용으로 보면 각진대사가 지팡이를 꽂은 것은 1355년일 것이다. 그렇다면 지팡이가 살아나 이팝나무로 변해 살아난 것은 벌써 655년이나 된다. 이 지팡이가 당시에 바로 자란 것인지, 아니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 꽃을 피웠는지는 정확지가 않다. 다만 전하는 설화에 의하면 각진대사가 꽂은 지팡이가 변했다고 하니 그 햇수가 오래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유난히 많은 지팡이 설화

 

우리나라에는 유난히 많은 지팡이에 대한 설화가 전한다. 수령이 1,100년이 넘었다는 용문사 은행나무는 나라를 잃은 슬픔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던 마의태자가 심었다고도 하고, 의상대의 지팡이가 변해 자랐다고도 한다. 여주 남한강 가의 벽절 신륵사에도 수령이 600년이 지난 은행나무가 서 있는데, 이 나무는 고려 말의 혜근 나옹스님이 꽂아놓은 지팡이라고 한다. 또한 정암사 적멸보궁 앞에 있는 주목은 자장율사가 꽂아놓은 지팡이가 살아난 것이라고 한다.

 

쌍계루에서 본 이팝나무. 설화에 의하면 수령이 650년이 지났다

 

이렇듯 전국에 나타나고 있는 지팡이 설화는 어쩌면 스님들이 짚고 다니는 주장자 때문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만큼 법력이 있었음을 그 안에 내포하고 있다. 하얗게 꽃을 피운 백양사의 이팝나무를 한참이나 바라다보다가, 그 나무와 연못, 그리고 쌍계루가 정말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만일 쌍계루가 없었다고 해도, 이러한 설화가 생겨났을까? 쌍계루 위에 올라 바라다보는 이팝나무에는 그보다 더한 설화 하나쯤 더 전할 것만 같다.


5월 22일(일), 남원을 이른 아침에 출발하여 장성으로 향했다. 장성에 있는 ○○지원단을 찾아 “스님짜장” 봉사를 하기 위해서이다. 토요일과 일요일이 되면 정해진 행사처럼, 군부대를 찾아간다. 이번에는 지원단 안에 있는 군 법당인 ‘무각사’를 찾아가기 위해서이다. 무각사 대웅전 안은 장병들로 가득하다.

300명이 넘는 장병들은 짜장스님인 운천 선원사 주지스님의 법문을 들은 후, 기념촬영을 마쳤다. 배식준비를 하다가 사진촬영을 한 운천스님은 “장병들이 너무 고맙다. 이렇게 젊은이들이 나라를 위해 청춘을 바치는데, 우리가 이런 짜장봉사라도 해야 하지 않겠는가?” 라며 장병들의 손을 잡고 기념촬영에 임했다.

 

 

"사랑 실은 스님짜장" 버스와 준비를 하는 봉사단원들
 
“고맙습니다. 짜장스님”

기념촬영을 마친 장병들은 식당으로 달려가 줄을 선다. 길게 늘어선 줄은 줄어들지를 모른다. 한편에선 자장을 먹고, 또 한편에선 자장을 만드느라 법석이다. 군인가족들도 나와 함께 팔을 걷어붙였다. 그리고 모두가 “맛있습니다.”를 연발한다.

 

 

무각사 대웅전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스님들과 장병들

400명이 넘는 장병들은 저마다 한 그릇씩을 비우고도, 조금은 모자라는지 배식구를 기웃거린다. ‘많이 먹으라’고 독려를 하지만, 줄어들지 않는 줄 때문인지 아쉬운 듯 돌아선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자장 한 그릇이 대단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안에 가득한 정성스런 마음이 있어 늘 웃음이 그치지를 않는다.

“고맙습니다. 짜장스님” 입맛을 다시며 돌아서는 장병들의 인사다. 언제까지라도 짜장스님으로, 그리고 봉사단으로 남고 싶다는 사람들. 그래서 봉사는 힘들지만 늘 마음이 뿌듯하다.

 


배식준비를 하는 '짜장스님'과 봉사에 함께 참여한 군인가족들 

면을 삶아 찬물에 담근 후 장병들에게 먹일 준비를 하고 있다


자리는 다 차고, 줄은 아직도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거기다가 밖에까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