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장병들에겐 여고생 동생들이 짱이야.
35사단 7733부대 전 장병들은 국군의 날 잔치를 제대로 즐겼다고 합니다. 신나게 고함지르고, 축제장에서 하루를 즐겼다고요. 그 중에서 장병들에게 인기가 있는 것은 역시 여고 댄싱팀들입니다. 관람석에 앉아있던 장병들. 여고생들이 무대에 오르자, 난리법석입니다. 무대 앞으로 뛰어나와 춤을 마치고 나온 여고생들에게 음료수를 건네주기도 하고요.
'여고생 댄싱 경연대회 열어주면 안 될까요?'
한 장병이 진행을 보고 있는데, 곁에 와서 넌즈시 이야기를 합니다. '여고생 댄싱팀 경연대회 한 번 하시면 안되요. 군부대에서' 라고요. 글쎄 고민좀 해보아야겠네요. 군부대 안에서 여고생 댄싱 경연대회라면, 아마도 군부대가 떠나가지 않을까요?
‘갈 곳은 많은데, 정말 많은데’
‘스님짜장’은 요즈음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가는 곳마다 ‘스님짜장’을 찾는 목소리가 점점 커져만 간다. 그렇다고 자랑을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자랑을 할 일도 아니다. 이렇게 버스를 몰고 전국을 다니는 것은, 우리 주변에 있는 헐벗고 외로운 사람들과 그저 맛있는 음식 한 그릇을 나누고 싶어서이다.
‘헐벗은 이에게 옷을 주어 의복공덕을 하였느냐
배고픈 이에게 음식을 주어 급식공덕을 하였느냐
목마른 이에게 물을 주어 해갈공덕을 하였느냐
깊은 내에 다리를 놓아 월천공덕을 하였느냐‘
상여가 나갈 때 부르는 상여소리의 한 구절이다. 이 소리는 ‘무가 회심곡’의 사설에서도 보인다. 사람들은 그저 이 소리를 듣고 흘려버리고 만다. 하지만 이 몇 가지 공덕을 논하는 것은 우리에게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우리도 ‘스님짜장’이 먹고 싶어요.
전화가 걸려 왔다. 무슨 일이냐고 했더니, 자장면을 좀 해 줄 수 없느냐는 질문이다.
“저희가 한 600명 정도를 매일 무료급식을 하고 있는데, 자장면을 한 번 해주고 싶어서요.”
“언제쯤 필요하신데요?”
“가급적이면 빨리 했으면 해서요. 그런데 저희는 거리가 좀 멀어요”
“거리는 관계없습니다. 저희는 어디까지라도 저희가 필요하면 달려가니까요”
요즈음 인터넷을 통해 스님짜장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5월 한 달만 벌써 9곳을 다녀왔으며, 이 달에만 7,000 그릇의 자장면을 급식한다. 가격으로 따져도 한 그릇에 4,000원이면 28,000,000원의 금액을 무료로 급식을 한 셈이다. 왜 이렇게 전국을 다니면서 자장면을 만들어 무료급식을 하는 것일까?
그것은 이 땅에 아직도 스님짜장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봉사를 다니다가 보니, 그 경비 또한 만만치가 않다. 그뿐 아니라 연일 봉사를 하느라 사람들도 힘이 들어 하기도 한다. 준비를 하고 먼 길을 달려가 봉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준비하는 과정이 만만치 않아
스님짜장이 찾아가는 곳은 복지관에 계시는 어르신들, 군장병들과 전경, 장애우들, 그리고 무료급식소 등이다. 전국 어디나 전화가 걸려오면 날을 잡아 준비를 한다. 말이 그렇지 한 달에 10번이면 3일에 한 번은 이동을 해야 한다. 먼거리는 새벽부터 눈을 부비며 차에 오른다. 연이어 이틀이 걸리는 날은 쉬지를 못한다. 다녀와서 바로 다음 날 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스님짜장은 현장에 가서 자장을 볶아야 한다. 그러다가 보면 커다란 솥 두 개를 항상 차에 싣고 다녀야 하는데, 그 무게가 상당하다. 거기다가 100명분의 면을 준비하려면 20kg짜리 밀가루 한 포를 다 반죽을 해야 한다. 1,000명이면 자그마치 열 포대를 반죽을 해야 한다. 시간으로 따져도 반죽을 하는 데만 10시간 이상이 걸린다. 거기다가 자장면에 들어가는 각종 야채와 콩고기 등도 준비를 한다.
이렇게 모든 것을 다 준비하는 데만 하루가 걸린다. 연이틀 봉사를 나가려면 그야말로 비상이 걸린다. 한편에선 밀가루를 반죽하고, 한편에서 야채를 썰어댄다. 그러면서도 연신 이야기꽃을 피울 수 있는 것은 몸에 밴 봉사정신 때문이다.
‘갈 곳은 많은데, 정말 많은데’
‘스님짜장’의 차가 지나가면 사람들은 신기한 듯 바라다본다. 그리고 바로 웃음을 터트린다. 그것 하나만으로도 사람들을 기분 좋게 만들어 주는 스님짜장이다.
“여보세요. 여기는 광주에 있는 장애우 복지관인데요. 이곳도 와 주실 수 있나요?”
“당연히 가야죠. 이렇게 불러주셔서 고맙습니다.”
“아닙니다. 저희가 더 고맙죠.”
갈 곳은 정말로 많다. 그러나 아직은 봉사하는 인원도 부족하고, 그 많은 곳을 모두 다니기에는 역부족이다. 우리 주변에 정말로 아픔을 당하고 있는 분들에게, 정성이 가득한 자장면 한 그릇을 대접하고 싶다. 갈 곳은 많은데, 정말로 좋은 방법이 없을까?
(주)밀가루와 야채 등을 후원하시고 싶으신 분은 연락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063)631-0108
"고맙습니다. 짜장스님“
5월 22일(일), 남원을 이른 아침에 출발하여 장성으로 향했다. 장성에 있는 ○○지원단을 찾아 “스님짜장” 봉사를 하기 위해서이다. 토요일과 일요일이 되면 정해진 행사처럼, 군부대를 찾아간다. 이번에는 지원단 안에 있는 군 법당인 ‘무각사’를 찾아가기 위해서이다. 무각사 대웅전 안은 장병들로 가득하다.
300명이 넘는 장병들은 짜장스님인 운천 선원사 주지스님의 법문을 들은 후, 기념촬영을 마쳤다. 배식준비를 하다가 사진촬영을 한 운천스님은 “장병들이 너무 고맙다. 이렇게 젊은이들이 나라를 위해 청춘을 바치는데, 우리가 이런 짜장봉사라도 해야 하지 않겠는가?” 라며 장병들의 손을 잡고 기념촬영에 임했다.
“고맙습니다. 짜장스님”
기념촬영을 마친 장병들은 식당으로 달려가 줄을 선다. 길게 늘어선 줄은 줄어들지를 모른다. 한편에선 자장을 먹고, 또 한편에선 자장을 만드느라 법석이다. 군인가족들도 나와 함께 팔을 걷어붙였다. 그리고 모두가 “맛있습니다.”를 연발한다.
무각사 대웅전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스님들과 장병들
“고맙습니다. 짜장스님” 입맛을 다시며 돌아서는 장병들의 인사다. 언제까지라도 짜장스님으로, 그리고 봉사단으로 남고 싶다는 사람들. 그래서 봉사는 힘들지만 늘 마음이 뿌듯하다.
자장면 안에 정까지 듬뿍 들었어요.
자장면 급식을 하기 위해 길을 나서는 봉사단을 따라간 것은 다름이 아니다. 장병들에게 어떻게 자장면을 만들어 급식을 하게 되었는지 그것이 궁금하기도 하지만, 장병들이 자장면을 과연 좋아할까 하는 점도 굼금해서이다. 선원사 주지인 운천스님은 "나라를 위해 젊음을 불태우는 장병들에게 무엇을 해줄수 있는가를 고민하다가, 자장면이 가장 먹기도 좋고 만들기도 수월하다는 생각에 자장면 급식을 시작하게 되었다. 지금은 선원사 봉사단이 직접 자장면을 만드는 방법을 배워, 봉사를 하고 있다"라고 한다. 그만큼 지역의 장병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나누고 싶어하는 것이, 선원사 봉사단의 마음들이다.
병사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가득한 음식, 자장면
이른 아침 8시에 선원사에 모인 봉사단 일행은 최인술 단장을 비롯해 7~8명의 일행이 임실에 있는 군부대로 향했다. 일요일이라 이곳 군 법당에서 예불을 마친 병사들에게 자장면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이다. 10시 30분부터 급식을 해야하기 때문에, 모두 손놀림이 바쁘다. 선원사에서 미리 준비해간 볶음야채에는 양파, 양배추, 호박, 당근 등에 표고버섯과 돼지고기까지 준비를 했다.
평소 선원사에서 자장면을 만들 때는 돼지고기 대신 콩고기를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장병들에게 줄 음식이기 때문에, 돼지고기까지 넣어서 자장을 볶았다. 한편에서는 면을 빼고, 또 한편에서는 단무지를 그릇에 담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것을 보니, 그동안 많은 봉사를 한 것 같다. 거의 한달에 두 세번은 자장면 봉사를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