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65~1에는 삼국시대에 조성한 삼존불입상이 전하고 있다. 보물 제63호로 지정된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石造如來三尊立像)’은 경주 남산 기슭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23년 지금의 자리에 모아 보존을 하고 있다는 것. 이 석불들은 선방사 터에 누워져 있던 것을 모아서 세웠는데, 기본양식이 똑같아 처음부터 삼존불로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를 보호한다는 것은 지자체나 문화재청에서만 할 일은 아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문화재지킴이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 문화재들이 어디에 자리하고 있던지 제대로 보존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은 전각을 지어 보호를 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변에 삼불사라는 절이 들어와 보존을 하고 있다.

 

 

후덕한 상을 보이는 본존불

 

삼존불은 각각 조성이 되었지만, 이곳에 있던 절에서 한 시대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중앙의 자리하고 있는 본존불은 머리에 상투 모양의 육계가 있는데, 특이하게도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표면이 매끄럽게 표현되었다. 얼굴은 어린아이 표정의 네모나게 표현을 했으며 풍만하다. 둥근 눈썹, 아래로 뜬 눈, 다문 입, 깊이 파인 보조개, 살찐 뺨 등을 통하여 온화하고 자비로운 불성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이 본존불은 수인으로 보아 석가모니불이다. 목이 표현되지 않은 원통형의 체구에 손을 큼직하게 조각하였는데, 왼손은 내리고 오른손은 올리고 있다. 묵직해 보이는 옷은 불상을 전체적으로 강직해 보이게 하지만, 어린 아이와 같은 표정과 체구 등으로, 후덕한 인상에 따뜻한 생명을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다.

 

 

협시보살의 표현 놀라워

 

삼존볼 중 왼쪽의 보살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으며, 가는 허리를 뒤틀고 있어 입체감이 나타난다.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왼손은 내려 보병을 잡고 있는데, 보관에 새겨진 소불로 보아 이 협시보살은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다. 오른쪽의 보살은 대세지보살로 역시 잔잔한 내면의 미소를 묘사하고 있는데, 무겁게 처리된 신체는 굵은 목걸이와 구슬장식으로 발목까지 치장하였다.

 

이 삼존불은 조각솜씨가 뛰어나다. 다정한 얼굴과 몸 등에서 인간적인 정감이 넘치면서도 함부로 범할 수 없는 종교적 신비가 풍기고 있는 작품으로, 7세기 신라 불상조각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거기다가 천년이 훨씬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보존상태가 좋아 당시 신라 석조각의 정수를 엿볼 수 있다.

 

 

문화재에게 날마다 서원을 하다

 

경주 삼존불입상을 만나면 늘 한 가지 서원을 한다. 바로 이 해가 다 지나고 2014년에는 우리 모두가 아픔을 당하지 않고, 모든 일이 수월하게 풀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늘 마음속으로 서원을 하는 것이 있다면, 모든 사람, 모든 일, 그리고 언제나 그저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빌어본다.

 

세상살이가 점점 힘들다고 한다. 그렇다고 피해서는 살 수가 없으니 어찌하랴. 이렇게 서원이라도 할 수 밖에. 가진 것도 없고, 힘도 없는 민초들이야 그저 빌어서라도 어려움을 이겨낼 수만 있다면 천 번인들 빌지 못할 것이 없다. 사람들은 그런 나를 보고 우상숭배를 한단다. 하지만 세상에 우상 아닌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부처님의 마음자리라면 우상이 아닐까? 우상숭배라도 좋으니, 2014년 한 해 그저 무탈하기만을 바라는 마음이다.


함안군은 군청이 소재한 읍명이 ‘가야읍’이다. 그리고 함안면이란 곳이 따로 있다. 아마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군명을, 행정의 중심인 곳을 읍명으로 사용하지 않는 곳은 함안군뿐인 듯하다.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에는 ‘큰절마을[大寺谷]’이라고 부르는 곳이 있다. 이곳 마을 입구에는 커다란 고목 곁에 석불이 서 있다.

보물 제71호인 함안 대산리 석불. 양편에는 온전하게 보존이 된 협시불 입상 2기가 서 있고, 조금 뒤편으로 물러 선 중앙에는 목도 잘리고 깨어져, 훼손이 심한 석조 좌불이 한기가 있다. 이 양편에 선 입상이 협시불이고, 좌불이 본존불인 듯하다. 이 3구의 석불을 합해 보물로 지정을 하였다.


생김새가 같은 협시불

양편에 서 있는 협시불은 손 모양만 다르다. 두 기의 석불입상은 모두 머리에 관을 쓰고 있다. 일반적인 불상에서 보이는 관이 아닌, 마치 두건 같은 것을 머리에 쓰고 있다. 조금 길쭉한 얼굴에는 눈, 코, 입 등이 평면으로 표현을 하였다. 그러나 눈은 훼손이 심해 알아보기가 힘들다.

법의는 일반적으로 석불에서 나타나는 법의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마치 우리 고유의 한복을 보는 듯하다. 왼쪽 어깨에는 매듭으로 묶은 것처럼 자세히 표현을 하였으며, 가슴 밑으로는 매듭을 지었다. 치마는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타원형의 주름이 양편으로 드리워져 있다. 법의의 표현이 조금은 무겁게 보인다.




두기의 협시보살은 손의 형태가 다르다. 석불입상을 바라보면서 좌측의 보살은 오른손을 가슴께로 끌어올리고, 왼손은 배에 대고 있다. 우측의 보살의 좌측 손은 아래로 내렸는데, 손에 병을 들고 있는 것을 보니 약사여래불인 듯하다. 이 협시보살은 어깨의 매듭과 무릎 아래로 늘어진 타원형의 옷 주름이 특징적이다.

발은 대좌에 새겨져 있어

이 두기의 협시불은 연꽃 대좌 위에 서 있다. 그런데 발이 석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밑에 있는 대좌에 조각을 해 연결을 하였다. 대좌는 연꽃을 두텁게 새긴 상대와, 8각의 면에 앙련을 새기고 안상을 새겨 넣은 하대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윗면에는 석불입상의 발을 새겨 넣어, 석불을 올려놓은 것이다.




이런 형태는 통일신라 초기 석불의 형태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고려 초기의 석불입상으로 추정하는 이 두 기의 협시불은, 지방의 특성화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경남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석불입상의 형태는 거의가 이렇게 흡사한 모습으로 표현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아보기 힘든 본존불

뒤편에 앉아있는 석조불상은 목이 없다. 광배가 남아있는 이 좌불은 손을 가지런히 앞으로 모으고 있다. 남은 부분은 훼손이 심해 알아보기가 힘들다. 광배의 형태나 석질로 보아, 고려 때의 석불로 추정이 된다. 그리고 한 옆에도 목이 없는 석불과 석조물들이 몇 점 보인다. 이 대산리 석불은 마을에서 섬기고 있다고 한다.




2월 20일 찾아간 대산리. 마을 안쪽 동구나무 곁에 서 있는 이 석불들은 언제부터 이곳에 서 있었던 것일까? 아마도 그 형태로 보아 이곳 어딘가에 절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마을 이름도 ‘큰절마을’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이 일대에 상당히 큰 절이 있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런 절 경내에 있었을 석불들. 그저 지금의 형태로나마 남아있다는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 그나마 양편의 협시불이라도 온전한 모습이기에.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를 들어가다가 그 입구에 보면 좌측에 작은 전각이 하나 서 있다. 얼핏 보기에도 꽤 오래됨직한 이 전각 안에는 돌미륵이 한 기 서 있다. 언제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마을 주민들의 말로는 천지가 개벽할 당시부터 있었다고 한다. 천지개벽이란 말에 조금은 의아스럽기도 하지만, 그만큼 오래되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금산사의 개산대제를 보기 위해 들어가는 길에 미륵당 안을 들여다보았다. 아침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다년 간 듯, 여러 개의 촛불들이 커져있다. 그리고 지나는 행인 한 사람이 절을 하더니 돌미륵에 손을 대고 한참이나 기도를 한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상당히 효험을 보았다는 소문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고 있다.


금산사 입구에 있는 할머니당과 안에 모셔진 돌미륵입상

‘예전에는 이곳이 바다였지’

마을에 사시는 분들에게 미륵당에 대해 물어보아도 잘 모르시겠다는 이야기다. 하기에 이곳이 상업지역이 되다보니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와 살기 때문인가 보다. 올해 연세가 79세가 되셨다는 토착민 한 분을 만날 수 있었다.

“이 미륵당을 마을에서는 무엇이라고 부르세요?”
“그냥 돌할머니라고 불러”
“언제부터 있었는지 아세요?”
“잘 모르지 내가 어릴 적에도 있었고, 그 이전 할아버지 때도 보았다고 하니 상당히 오래 묵은 것은 알지”
“그런데 왜 할머니라고 하세요?”
“그러니까 저 할머니가 뱃사공이라는 거야. 내가 보기엔 할아버지 같은데. 뱃사공이 바다에 나가서 죽었는데, 그 넋이 저 돌이라는 거지”
“할머니가 뱃사공 노릇을 했나요?”
“나도 그것이 이상해. 남자도 아닌 여자가 뱃사공을 했다는 것이. 그래도 어른들이 그렇게 불렀으니까”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치성을 드린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그냥 흘러 온 이야기로 할머니이고, 예전에 뱃사공이었다는 것이다. 금산리 금산마을은 얼마 전까지도 땅을 파면 땅속에서 배가 썩은 나무 조각들이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이곳이 바다였기 때문이란다.

“돌미륵이 정말 영험합니다.”

한 칸으로 마련된 전각의 창호로 안에 켜놓은 촛불의 불빛이 흘러나온다. 문을 열고 보니 한 분이 열심히 절을 하고 난 후, 미륵에 손을 대고 기도를 하고 있다. 사진을 찍기도 죄스러워 한참이나 기다리고 있다가 물어보았다.

“이곳에 자주 오시나요?”
“아닙니다. 저는 처음인데요. 소문을 들어보면 이 돌할머니가 상당히 영험하다고 해서요”
“무엇을 빌고 계시던데...”
“예, 아픈 사람이 있어서 얼른 낫게 해달라고 빌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미숙한 솜씨를 보이고 있어, 지방의 장인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높이가 1m 80cm 정도 되는 돌미륵의 머리는 원래의 것이 아닌 듯하다. 목 부분에 새로 얻은 머리가 떨어지지 않도록 시멘으로 발라놓은 흔적이 있다. 오른 손은 가슴에 올리고 왼손은 아래로 내렸다. 법의는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가슴께서부터 주름이 잡혀있다. 그러나 왼손으로 옷을 잡아 올린 듯, 허리 아래쪽에서는 주름이 -자로 표현이 되었다.

아래는 바닥에 시멘으로 발라놓아 자세히 알 수가 없어, 발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 전체적인 조각의 형태로 볼 때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생김새가 무엇이 그리 중요하랴.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어 빌고 갔으면, 그것으로 마음의 위로를 얻었을 텐데.

석불입상 앞에 켜 놓은 촛불.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 있다.

많은 곳에 마을에서 섬기는 미륵이 있다. 미륵골, 미륵당, 부처울, 부처골 등의 지명이 있는 곳이 바로 돌미륵들이 서 있었던 곳이다. 후천세계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상향이라는 돌미륵. 어쩌면 금산마을의 미륵 역시 그런 사람들의 마음이 표현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타고 있는 수많은 촛불들이 있어 마음 한편이 따스해 지는 것도, 나 역시 이상향을 기다리기 때문인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