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어나니 골이 지끈거린다. 요즈음 연말이라고 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보니 몸살이라도 오는 것일까? 오전에 약속이 되어있는 일정을 오후로 미루어 놓고 책상 앞에 앉았다. 머리가 이렇게 맑지가 않으면 도통 글을 쓸 수가 없다. 한참이나 멍하니 앉아 있다가 보니 앞에 달력이 눈에 들어온다.

 

2015년 달력이다. 이 달력은 지동 벽화골목 총괄작가이자 제일교회 종탑에 자리한 노을빛 갤러리이 관장인 유순혜 작가이 손 그림 달력이다. 달마다 작은 달력 안에 화려하게 그려진 수많은 사람들의 표정을 들여다보고 있자니, 세상이 참 재미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 달력 안 사람들이 모두 한 마디씩 하는 것만 같다.

 

 

2014년 난 과연 부지런히 살아왔는가?

 

달력을 한 장씩 넘겨본다. 달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그림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 안에 수많은 사람들의 표정이 보인다. 그러고 보니 벌써 2014년도 보름밖에 남지 않았다. 벌써 1215일이다. 그동안 많은 일들이 있을 때마다 꺼내들었던 기자수첩을 꺼내본다. 두 권이나 되는 수첩에 글자들이 빼곡하니 차 있다.

 

수첩을 넘기면서 올 한 해 만난 사람들과 일들을 기억해 본다. 참 많은 곳을 다녀왔고,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11일부터 어제까지 e수원뉴스에 송고를 한 기사가 450개나 된다. 하루에 1.3개꼴로 기사를 쓴 것이다. 거의 기사를 쓰지 않고 넘어간 날이 없다. 그렇게 많은 기사를 써 가면서 만난 사람들은 또 얼마나 될까?

 

아마도 행사장에서 만난 사람들을 따져본다면 수천 명이 넘을 것만 같다. 사람은 많은 사람들과 많으 일들을 겪으면서 세상을 산다고 한다. 그런 생각을 하다 보니 과연 2014년 한 해 동안 나는 잘 살기는 한 것일까? 혹 나로 인해 누군가가 마음에 상처를 입지는 않았을까? 이런저런 생각이 주마등처럼 머리를 스친다. 부지런히 산다고 해서 세상을 잘 살았다고 착각을 하는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

 

 

한 해의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해보면 산다는 것이 참 단순한 것이 아닌가 싶다. 그저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세상의 일을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그 문제를 이야기를 하다 보니 어느새 또 일 년이 지났다는 것이다. 나이가 먹으면 시간이 지나는 것이 같다고 했던가? 생각해보면 그 말이 딱 맞는 듯하다.

 

10대 때 처음으로 작곡이라는 것을 해서 상을 받았을 때, 나는 대한민국 최고의 작곡가가 되겠다고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래서 많은 노력을 했고 나름대로 이름께나 알렸다. 그런데 어느 순간에 나는 세상을 돌아보고 사람들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그런 젊은 시절의 생각은 까맣게 잊어버렸다.

 

 

그리고 이제는 기자라는 명함을 남들에게 건네는 사람이 되었다. 뒤틀어진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서, 또한 따듯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서 시작한 일이다. 나에게 주어진 일을 최선을 다해서 한다는 것이 올해 첫날 가졌던 생각이다. 하지만 과연 난 그렇게 최선을 다한 한 해를 살았을까?

 

이제 보름 남짓 남은 2014. 15일 동안 과연 올 한 해 내가 정한 일들을 제대로 마무리 할 수는 있는 것일까? 그런 생각을 하니 지끈거리던 마리가 가시는 듯하다. 오늘 약속을 한 곳을 찾아가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1231, 올 한 해 내가 꼭 이루고 싶었던 일을 이루는 해로 기억하고 싶다.

여자가 세상에 태어나서 성혼이라는 것을 하면 ‘시집살이’가 시작이 된다. 그 시집살이가 얼마나 고되었는지는, ‘시집살이 노래’의 사설을 보면 알 수가 있다. 오죽하면 ‘시집살이 개집살이’라는 말이 나왔을까? 그런데 말이다, 요즈음 이 말이 실감이 난다고 한다. 정말 개만도 못한 세상살이를 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 소리를 취재하러 일 년 간을 경기도 지방을 돌아다닌 적이 있다. 신문에 연재를 하기 위해서였는데, 벌써 10여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그 때 어느 분께서 “요즈음은 시어머니 시집살이가 아니라, 며느리 시집살이를 한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예전 시집살이란 그야말로 시어머니와 시누이 때문에 하던 시집살이였다.

한국민속촌에서 베짜기 시연. 이 기사와 관계없음

바뀐 세상풍속도, 이젠 살만한가?

성님성님 사촌성님 시집살이 어떱디까
동생동생 말도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시집살이 삼년만에 삼단같은 머리채는
짚덤불이 되었구나 곱디고은 내손일랑
두껍잔등 되었구나

시집살이 소리를 들어보면 과거의 우리 어머니들이 얼마나 심한 고통 속에서 살아왔는가 알 수가 있다. 새벽에 일어나 소여물을 쑤고 밥을 해서 가족들을 먹이고 나면, 텃밭으로 나가 일을 한다. 그런 다음 밭에 나가 일을 하는 사람들의 참을 준비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면 빨래 등 집 안 일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는 점심준비에 또 일을 해야 하는 하루의 일.

오후가 되면 또 계속되는 일이 있다. 저녁이 되면 밥을 준비해야 하고, 저녁밥상을 물리고 나면, 바느질이며 길쌈을 해야만 한다. 하루 종일 일을 해도 모자라는 시간. 새벽녘이 되어야 겨우 잠자리에 들어 발을 뻗을 수가 있었다. 이런 시집살이를 해 온 것이 바로 우리네의 어머니들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심한 일상을 견디며 살아온 시간. 이 시대에 또 다시 시집살이를 한다는 것은 무슨 일일까?

“예전에는 시어머니와 시누이 눈치를 보면서 시집살이를 했는데, 이젠 며느리 눈치를 보면서 시집살이를 해”

그렇단다. 세상이 바뀌어서 조금은 편안해 질 줄 알았는데, 이제는 며느리 시집살이를 한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모든 시어머니들이 다 그런 것이야 아닐 것이다.


개보다 못한 시어머니의 처지

아침에 나가면 밤늦게나 들어오는 것이 요즈음의 하루 일과이다. 하루가 어떻게 지나가는지조차 모르고 살아간다. 글 하나 쓰는 것도 시간에 쫒기면서 살아간다. 이런 나날이니 어디 마음 놓고 운동이나 제대로 할까? 모처럼 일요일에 잠시 바람을 쏘이러 나갔다. 오랜만에 한 낮에 천천히 걷는 길에서 모처럼의 여유를 느껴본다.

저만치서 다가오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아마 저들도 나처럼 길을 걸으면 여유를 부리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두 사람을 보니 고부이인 듯하다. 속으로 참 사이좋은 시어머니와 며느리란 생각을 한다. 갑자기 바람도 불고 날도 쌀쌀해진 날이다. 그런데 노인의 옷이 이런 날씨에 좀 추울 것 같은 차림이다.

가까이 다가오는 사람들을 보니 젊은 여인은 옷을 참 따듯하게도 입었다. 그리고 품 안에는 애완견 한 마리가 안겨있다.

“어머니, 빨리 좀 걸으세요. 우리 아이가 춥데요”
“아이고, 숨차니 먼저들 어여 가”
“얘 감기라도 걸리면 어떻게 해요”

감이 온다. 시어미니와 며느리가 개를 데리고 산책이라도 나온 것이다. 그런데 날이 추우니 걸음을 빨리 못 걷는 시어머니를 재촉을 하는 것이다. 그 감기가 걸리겠다고 걱정하는 아이라는 것이 바로 품 안에 안고 있는 애완견을 말하는 것이다. 품 안에 안고 옷으로 감싼 개가 감기가 걸린다고, 시어미니를 닦달하고 있는 것이다. 목소리의 톤이 부드럽지가 않다.

추운 날 철에 안 맞는 얇은 옷을 입고 계신 시어머니. 거기다가 연세가 많으시니 걸음 도 늦다. 그런 시어머니를 보살피지는 못할망정, 개가 감기가 든다고 나무라는 며느리. 자신은 두툼하게 옷을 입고 있으면서도 어째 어른은 저렇게 챙겨드렸을까? 집안에서 키우는 애완견을 간수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뻔한 젊은 며느리의 시어머니에 대한 마음 씀씀이다. 어른을 제대로 보필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개가 감기가 걸린다고 시어머니를 재촉하는 이 며느리. 이것이 요즈음 신 풍속도란다.

세상이 바뀌었다. 하지만 어른을 공경해야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그 숱한 세월을 고통으로 살아오신 분들이다. 이제 그 분들이 개만도 못할 대우를 받고 살아서야 되겠는가? 세상의 모든 며느리들에게 묻고 싶다.

“혹 당신의 집에는 개만도 못한 대우를 받고 있는 시어머니가 계시지는 않은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