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亭子)는 아름답다. 정자라는 것은 대개가 세도하는 사람들이나, 동계(洞契)모임 등에서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곳에다가 짓기 때문에, 주변과 어우러진 모습으로 서 있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나라의 절경에는 많은 정자가 있고, 그 정자에는 이런저런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몇 년간 정자 기행을 하면서 참으로 아픈 역사를 가진 정자를 만났다. 갑오농민혁명의 현장을 취재하면서 보니 두 곳의 정자가 있다. 그 외에도 많은 정자가 있으나, 이곳은 오래전에 세운 것이 아니라고 해도 뜻이 깊은 곳이기에 더욱 마음에 닿는다.

 

 

그저 그곳에 있어야 할 만석정

 

그 중 하나는 이평면 예평마을에 있는 만석정이다. 만석정은 갑오농민혁명을 일으키는 불씨가 되었던 곳이다. 만석보터에서 조금 더 들어가면 좌측으로 안길수의 만석보혁파비가 서 있다. 만석보혁파비는 1892년 고부군수로 부임을 한 조병갑이 만석보를 만들고, 농민들에게 무리한 조세를 수취한 장소이다.

 

배들평야의 농민들은 이것에 불만을 품고 고부관아를 습격하였는데, 이것이 갑오농민혁명의 발단이 되었다. 그 후 광무 2년인 1898년 고부군수로 부임한 안길수가 만석보를 완전히 혁파시켰다. 농민들은 그 뜻을 감사히 여겨 9월에 만석보혁파비를 세웠다.

 

만석정은 그 혁파비 바로 곁에 서 있다. 그저 단청도 하지 않은 정자. 그리고 지은지 얼마 되지 않은 듯 수수히 서 있는 모습이지만, 그 안에는 농민들의 정감어린 마음이 있다. 그리고, 그 정감어린 마음속에는, 1894년 갑오농민혁명을 일으킨 끓는 피가 있어 더욱 애틋한 마음이 드는가 보다.

 

 

갑오농민혁명의 장서에 선 말목정

 

또 하나의 정자는 바로 정읍시 이평면 면사무소 곁에 있는 말목정이다. 말목정은 만석정과는 달리 단청이 되어 있고, 잘 가꾸어진 모습이다. 말목정은 원래 현재 전라북도 기념물 110호인 말목장터와 감나무 곁에 서 있었던 것을, 70m 정도를 옮겨 현재의 자리에 지어 놓았다. 말목정은 삼강오륜의 정신 계승과 실천으로, 살기 좋은 고장을 만들기 위한 뜻을 갖고 세워졌다고 한다. 현재의 말목정은 원형 그대로를 옮겨놓은 것으로, 2002년 7월에 이전하였다.

 

말목정은 옮겨지기 전에 감나무 곁에 서 있었다. 이곳은 1894년 1월 전봉준 선생이 농민군수 천명을 모아 놓고, 고부군수 조병갑의 비리와 포악한 실상에 관해 일장 연설을 한 곳이다. 전봉준 선생은 이곳에서 농민봉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고부관아를 습격하였다. 말목정은 그러한 곳에 1994년 지어진 정자이다.

 

전봉준 생가

 

고부농민혁명의 자리에 선 두 곳의 정자. 아름다운 곳에 서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말목정과 만석정은 깊은 뜻을 갖고 있다. 비록 그 서 있는 곳이 장터 앞과 만석보터 앞이긴 하지만, 어느 정자보다도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갑오농민혁명을 찾아 떠난 길에 만나 두 곳의 정자. 정자 위에 오르니 감회가 새롭다.

 

지난날의 피의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어린 아이 두서넛이 모여 맴을 돌며 뛰어다닌다. 그래, 그곳에서 너희 선조들은 피를 흘리며 이 땅과 삶을 지켜내었으니, 너희들이야 말로 그렇게 뛰놀 자격이 충분하지 않겠느냐? 앞으로 또 너희 중에 누가 이곳에서 분연히 떨치고 일어나, 이곳을 근거지로 농민운동을 할지도 모르는 일이니 말이다. 한 해의 끝자락이 가까워 오는 날에 만난 정자, 높다란 하늘에 뭉게구름 한 덩이가 한가로운 날이다.


조선시대 우리의 삶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조선조 말기의 우리의 모습을 사진 등으로 보면서 늘 궁금하던 차다. 그런데 전라북도 정읍의 한 마을에 조선시대의 마을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은 곳이 있다. '송참봉 조선동네'라는 곳이다. 이 마을은 조선 말기의 마을 형태를 그대로 재현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조선동내'라고 부르고 있다. 2월 17일 눈이 하얗게 쌓인 송참봉 마을 을 찾아가 보았다.

눈이 쌓인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20여 채의 초가집들이 자리를 하고 있다. 서당도 있고 주막집도 있다. 엣날식으로 외부를 꾸민 변소가 있는가 하면, 외양간에는 어미소와 송아지가 한가롭게 자리를 잡고 있다. 마당에는 토종닭들이 돌아다니고, 한편에는 굴뚝에서 연기가 난다. 아궁이에는 잘작불이 타고 있는데, 겨울의 경치를 그대로 만끽할 수가 있다. 그야말로 조선시대의 풍취를 느낄 수가 있는 곳이다.


50여년 전에 마을이 있었던 곳

송참봉 조선동네는 50여년 전에는 큰 마을인 '월송동'이 자리하고 있던 곳이다. 그런 마을이 완전히 사라지고, 그곳이 논밭으로 변했다. 1995년 부터 이곳에 전통마을을 재현하기로 생각을 한 '송참봉'는 2005년 8월 부터 사업에 착수를 하여, 2008년에 들어서야 부분으로 완성을 하였다고 한다. 아직도 계속 조선 동네를 키워가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이렇게 100년 전의 우리의 민초들이 살아가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송참봉 마을은 옛 생활을 체험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주말이 되면 집집마다 옛 생활을 체험하기 위해 찾아든 사람들로 빈 집이 없다고 한다. 2월 17일은 평일인데도 불구하고, 집집마다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눈이 쌓인 겨을날 뜨끈한 온돌방의 정취가 마냥 즐겁기만 하다.



눈이 내려 질퍽한 황토길은 흙에 신발에 달라부터 보행을 하기가 어렵다. 예전에는 호롱불을 켜고, 방안에는 요강을 들여놓았다고 한다. 그러나 화재의 위험도 있고, 요강을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그런 것은 조금 개선을 했다는 것이다. 100년 전 우리네 조상들의 생활이 지금과 얼마나 달랐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체험의 장소로 소문이 나면서, 주말이 되면 제주도에서까지 학생들이 온다는 것이다.

새로운 명소로 자리를 잡아가

송참봉 조선동에는 정읍시 이평면 청량리 375-5에 해당한다. 1만 5천평의 대지에 20여 채의 초가가 모여있다. 그저 잊고 살아갈 모습들이 이곳의 모습이다. 송참봉 마을에 들어가려는데 마침 송기중(63세) 촌장이 사람들을 배웅하러 마을 어귀로 나온다. 잠시 목례를 하고 마을을 한 바퀴 돌아보았다. 방을 열어보니 옛 시골집에서나 맡을 냄새가 난다. 정겨운 냄새이다.




여기저기 집집마다 문패가 달려있다. 이 송참봉마을을 조성하는데는, 마을 주민들의 힘이 컸다고 한다. 잠시 둘러보아도 모든 것이 불편할 듯하다. 그러나 이런 환경 속에서 우리의 선조들이 살았다고 생각하면, 하루 저녁쯤 이곳에서 지내 볼만도 하다는 생각이다. 아이들과 함께 조심은 불편한 체험이 되기는 하겠지만, 살아있는 공부가 아닐는지 생각을 한다.
    
옛 모습을 잃어버리기 보다는 남겨 놓아야

송참봉 조선동네를 돌아보다가 잠시 송기중 촌장과 이야기를 한다. 알고보니 '갑장'이라는 말에 조금은 편안하게 이야기를 할 수가 있다. 이런 마을을 조성하게 된 것도 우리 것을 너무 급작히 잃어버리는 것이 안타깝기도 하지만, 우리의 옛 선조들의 사람의 모습을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알려주고 싶어 시작을 하였다는 것이다. 조선동네에서는 먹거리의 전체가 우리 농산물이다. 마을 전체가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방을 덮힌다.




잠시 이야기를 하는 동안에도 마을을 찾아 온 객들을 맞이하느라 정신이 없다. 그저 오래 같이하고 싶은 마음이지만, 그것도 이곳에서는 호사라는 생각이다. 후일을 기약하고 돌아나오다가 벽에 붙은 안내문을 본다. 대인은 하루 저녁에 만원, 초등학생은 5천원이다. 그 아래 어린아이들은 무료라는 것이다. 음식 값도 백숙만 3만원이고 참봉밥, 두부, 전, 막거리 등은 5천원 씩이란다.   

옛 담벽을 그대로 닮은 집들이며 아궁이, 그리고 방문을 열어보면 금새 초가의 처마에서 떨어진 노래기들이 기어 다닐 것만 같은 집들이다. 주막집에서는 우리 농산물로 지은 먹거리와 막걸리 등이 사람들의 입맛을 다시게 한다. 그저 당장 그 자리에 앉아 한 잔 막걸리라고 마시고, 펄펄 끓는 아랫목에서 늘어지게 자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다. 그럴 수 없음이 못내 안타까워 후일을 기약하는 발걸음이 무겁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