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0년도에 발행했던 글입니다.
문화재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기 위해 가끔 옛 기사들을 하나씩 재송고 하려고 합니다. 이점 유념해 주시고 오해 없으시기 비립니다. 

 

사람들은 절이 있는 곳은 잘 찾아가지만 사지를 찾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그런 사지를 찾아보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 남들이 미처 보지 못하는 소중한 문화재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철안마을. 청룡사지 입구에 도착하면 주차장이 있고, 우측으로 가파른 길을 올라가면 청룡사가 있다. 이곳이 예전 청룡사가 자리 잡고 있었던 곳인가는 확실치가 않다. 청룡사는 고려 말 청계산 중턱에 작은 암자가 있던 것을 조선조 태조 이성계의 국사인 보각국사가 은거하였으므로, 태조가 큰 사찰을 세우도록 했다고 한다.

 


사찰은 간곳없고 문화재만 나란히

주차장에서 앞으로 난 개울가를 낀 길을 따라 들어가면 문화재들이 있는 청룡사지를 만나게 된다. 당시의 웅장했다고 전하는 청룡사는 사라지고 이곳에는 국보 제197호인 보각국사의 부도탑인 정혜원융탑과 보물 제656호인 석등, 그리고 보물 제658호인 정혜원융탑비 등이 남아 있다.

석등과 사리탑, 그리고 탑비가 나란히 서 있는 청룡사지. 국보 제197호인 청룡사보각국사 정혜원융탑은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셔놓은 탑이다. 보각국사가 세상을 떠나자 태조 이성계가 왕명으로 탑을 짓게 하여, 권근이 비문을 짓고 탑명을 정혜원융이라고 하였다. 이 탑은 무너져 있던 것을 1968년 복원하였다고 한다.

 

청룡사지에 자리한 보물 제656호 사자석등과 보물 제658호 정혜원융탑비

 

흔히 장명등이라고 하는 석등은 보각국사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보물 제656호인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전사자석등’이란 긴 명칭을 갖고 있는 이 석등은 사리탑에 있는 보각국사의 사리를 지킨다는 뜻으로 조성이 된 듯하다. 석등은 조선시대 석등의 기본형인 평면정사각형으로, 아랫부분에 한 마리 사자가 힘찬 모습으로 조성이 되어있어 사자석등이라고 부른다.

보물 제658호인 정혜원융탑비는 보각국사를 기리기 위한 비로 고려 우왕 9년에 국사가 되어, 73세에 입적한 사실과 보각국사의 덕과 지혜를 기린다는 내용을 적고 있다. 융탑 뒤편에 자리한 이 탑비는 윗부분의 장식물인 지붕돌인 개석이 없는 대신에, 비신 양 끝 부분의 모서리를 깍은 귀접이 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보 융탑의 조각 솜씨를 보고 숨이 멎다.

 

국보 제197호 청룡사지보각국사정혜원융탑. 크지 않은 그 탑을 보고 숨이 막힌다. 아래 기단을 부풀려 놓고 그 위에 몸돌을 올려놓았다. 지붕돌의 합각마루에는 용머리와 봉황이 장식되어 있다.

이 융탑의 몸돌은 항아리처럼 부풀려 있는데, 팔각의 몸돌을 이용해 많은 조각들을 해 놓았다. 모서리에는 기둥을 놓고 그 기둥마다 용이 기어오르고 있는 형상을 조각하였다. 그리고 사천왕을 새겨 넣어 이 탑이 특이함을 보인다. 사천왕의 모습은 힘이 있고, 금방이라도 돌을 박차고 튀어나올 듯한 기세다. 조선 초기 석조미술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는 것도 이러한 조각의 아름다움 때문이다.



 

이 융탑은 몸돌 뒤편에 사리공이 있어 이곳에 사리 및 옥촛대, 금망아지, 금관 등이 있었다고 하나, 일제 때 도난을 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많은 문화재들을 수탈을 당했으면서도 아직도 수난이 거듭되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들. 언제나 온전하게 이 땅에서 지켜질 수가 있으려는지. 절로 한 숨이 나온다.

전주 남고산성에 가면 정몽주의 암각서가 있다. 푯말에는 ‘만경대 암각서’라고 이정표가 길을 안내하고 있는데, 남고산성 안에 있는 남고사 조금 못 미처 길 가에 서 있다. 50여m 정도 바위 길을 따라 올라가면 남고산성이 늘어서 있고, 상벽 바로 안 바위에 적혀져 있는 글이다. 이 근처는 지형으로 보아 남고산성의 두 곳의 장대 중 한 곳인 남장대 인근으로 보인다. 이곳에 왜 정몽주의 시가 암각서로 남아 있는 것일까?

 

이성계의 잔치에 화가나 말을 달린 정몽주

 

고려 우왕 때인 1380년 9월. 이성계는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선장군이 되어 돌아가던 중, 조상의 고향인 전주에 들른다. 이곳 오목대에서 종친들을 불러 환영잔치를 베풀면서, 자신이 고려를 뒤엎고 새 나라를 세우겠다는 속내를 내비친다.

 

 

당시 종사관이 되어 황산대첩에 참가했던 정몽주(1337 ~ 1392)는 이 말을 듣고 노여움을 참지 못해 잔치자리를 빠져나와 말을 달려 남고산성의 만경대에 오른다. 남고산성에는 남인문지 근처에 천경대가 있고, 남고사 인근에 만경대가 있다. 그리고 남고사 뒤편 산 정상부근에는 억경대가 자리하고 있다.

 

말을 달려 이곳까지 온 정몽주. 선죽교에서 방원의 철퇴에 맞아 숨이 지면서도 고려에 대한 충절이 변하지 않았던 충신답게, 스스로 고려를 생각하면서 근심을 이어간다.

 

 

千仞崗頭石逕橫 천길 바위머리 돌길로 돌고 돌아

登臨使我不勝情 홀로 다다르니 가슴 메는 근심이여

靑山隱約夫餘國 청산에 깊이 잠겨 맹서하던 부여국은

黃葉檳紛百濟城 누른 잎은 어지러이 백제성에 쌓였도다

九月高風愁客子 구월의 소슬바람에 나그네의 시름이 짙은데

百年豪氣誤書生 백년기상 호탕함이 서생을 그르쳤네

天涯日沒浮雲合 하늘가 해는 지고 뜬 구름 덧없이 뒤섞이는데

矯首無由望玉京 하염없이 고개들아 송도만 바라보네

 

정몽주의 나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들어나 있는 시구이다. 이곳 만경대에서 송도를 근심하던 정몽주. 이렇게 글을 남겨놓고 개선장군이 되어 당당하게 송도로 돌아가는 이성계와 함께 이곳을 떠났다.

 

 

 

김의수가 각자한 정몽주의 글

 

당시 시를 지은 정몽주가 이곳 만경대 바위에 각자를 한 것은 아니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영조 22년인 1742년 진장인 김의수가 각자를 한 것이다. 예전에는 바위 앞에 수풀이 우거지고 나무들이 많아 암각서를 보기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주변을 정리하고 철책을 둘러놓았다.

 

바위를 어렵게 내려가 만경대라고 음각을 한 바위 앞으로 다가갔다. 만경대라는 글씨는 알아볼 수가 있는데, 그 내용은 마모가 되어 글씨조차 판독하기가 힘들 지경이다. 다만 글 말미에 보니 각자가 된 글씨보다 조금 크게 병인년에 진장 김의수가 각자를 했다는 글이 보인다. 진장 김의수는 왜 정몽주의 이 길을 이곳 만경대 바위에 새겨 넣었을까? 진장이란 조선 인조 때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진영의 장관을 말한다.

 

아마 진장 김의수는 정몽주의 불사이군의 충심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물론 시대를 뛰어넘어 300년 가까이 지난 다음이지만, 김의수는 그러한 글을 이곳에 각자를 함으로써 스스로의 충심을 일깨웠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수많은 세월이 지난 각자마저 흐릿하지만 정몽주의 충심과, 그 충심을 아는 진장 김외수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영웅의 교감은 세월을 뛰어넘는 것인지.

어른들과 어린이들 모두 하나가 되어 활 시위를 당긴다. 활을 떠난 화살이 30m 앞에 놓인 곰두리 표적을 향해 날아간다. 사람들은 저마다 함성을 지른다. 누구의 화살이 과녁을 맞춘 것인지 정확지가 않다. 그러나 모두가 자신이 쏜 화살이 맞았다고 즐거워 한다. 

11월 27일 오후. 수원에 소재한 사적이요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의 동장대인 연무대 앞에는 국궁체험장이 있다. 주말과 휴일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이곳으로 모여든다. 국궁체험을 즐기기 위해서이가. 하절기에는 오후 5시 30분까지, 동절기에는 오후 4시 30분까지 활을 쏜다. 30분에 한 번씩 사대로 올라가는 사람들은 모두가 즐겁게 국궁체험을 하는 것이다.





각궁은 고려 때부터 사용

우리가 일반적으로 국궁이라 부르는 각궁은, 삼국시대의 맥궁에서 기원하였다고 전한다. 우리나라의 활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각궁이 언제부터 널리 보급되었는지 확실치는 않다. 다만 함흥 선원전에 보면 태조 이성계가 사용하던 각궁이 보관되어 있다고 하여, 이미 고려 때부터 각궁을 사용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또한 <경국대전>에는 각궁에 대한 기록이 많이 보인다. 

한국의 전통적인 활인 각궁은 참나무, 산뽕나무, 물소뿔과 소의 힘줄, 대나무 등을 이용하여 만든 복합단궁의 형태이다. 과거 우리나라에는 10여 종 이상의 활이 존재했다고 하지만, 현존하는 것은 각궁 한 종류 뿐이다. 하기에 우리가 국궁이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이 각궁을 일컫는 말이다.




안내를 따라 쏘아보는 국궁

사대에 오른 체험을 하는 관광객들은 활과 화살을 앞에 두고 나란히 선다. 안내자의 설명에 따라 활과 화살을 들고 과녁을 향한다. 시위를 떠난 화살이 날아간다. 소리를 지르며 즐거워하는 사람들. 국궁체험은 사용료가 10발에 2,000원이며 두 번을 쏠 수 있다. 

국궁체험을 하는 사람들도 가지각색이다. 설명을 듣고도 따라하기가 힘든가 보다. 그 모습이 재미있다. 국궁체험을 하는 김아무개(남, 42세. 서을)는 10발을 다 쏘고 난 후





"정말 뜻 깊은 체험입니다. 이렇게 화성 안에서 활을 쏘니 정조대왕 때 장용위 군사라도 된 기분입니다. 주변 사람들에게도 홍보를 많이 해야겠네요" 라고 한다.

부모님들과 함께 왔다는 양모군(남, 11세. 초등학생)은

"정말 재미있어요. 우리 활을 쏠 수 있어서 정말 좋아요"

라고 하면서 즐거워 한다. 모든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화성의 국궁체험.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국궁체험장으로 몰려들 것이란 생각이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화성을 찾는 많은 외국인들이 국궁체험을 할 수 있도록 통역관을 배치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필대(駐蹕臺)’,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천리. 전라북도 기념물 제120호인 이산묘의 곁에 서 있는 절벽에 쓰여 있는 글씨이다. ‘주필’이란 임금이 거동 길에 잠시 머무르거나 묵고 가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이곳을 왜 주필대라고 한 것일까? 전라북도 지역은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와 관련이 있는 곳이 상당하다.

남원 운봉에서 왜구를 물리친 이성계가 마이산에 올라가 금척과 관련된 시를 읊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24년 이 고을의 선비들이 뜻으로 모아 새긴 글이라고 한다. 그 커다란 암벽 한편에는 ‘마이동천(馬耳洞天)’이라는 글귀도 보인다.


뜻은 달라도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은 같아

천마가 동쪽으로 와 형세가 이미 궁하니
흰털 말발굽 더 건너지 못하고 도중에 쓰러졌네.
연인(내시)이 뼈만 사가고 그 귀만 남기니
변하여 두 봉우리 되어 반공중에 걸려있네

아마도 이성계는 남원 운봉에서 큰 승리를 거두고 나서, 스스로 나라를 세울 것을 다짐했는가 보다. 전주에 승리 후 전주에 온 이성계는 정자에 인척을 모아놓고 큰 잔치를 베푼다. 이 자리에서도 이성계는 은근히 자신의 마음을 피력하는 시를 읊기도 했다. 그런 이성계가 이곳을 들렸다는 것이다.




이곳 주필대 옆에는 사우가 있다. ‘이산묘(駬山廟)’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120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곳은 여러 가지가 복합되어 하나의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주필대의 위에는 1907년 ‘호남의병창의동맹단’의 집결지인 황단 터가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이산묘라는 사당이 자리하고 있다.

이산묘는 면암 최익현선생의 제자이자 고종의 스승인 연재 송병선의 제자들이, 연재의 송병선의 제자모임인 ‘친친계’와, 면암 최익현의 제자모임인 ‘현현계’를 구성한 후 건립한 곳이다. 이산묘 안에는 회덕전과 영광사, 영모사, 대한광복기념비 등이 위치하고 있다.



황단 터는 1907년 의병장 이석용을 비롯한 의병들이 집결하여, 호남 최초로 한말 국권 수호를 위해서 창의하였던 곳이다. 현재 창의동맹터 아래 조선 태조의 건국설화가 있는 곳을 택해서 사우를 건립하여, 항일의병의 위패와 그 기념흔적을 모아놓은 곳으로 지정, 보존가치가 큰 곳이다.

쓸쓸한 이산묘와 주필대, 역사속으로 지다

10월 6일 찾아간 주필대와 이산묘. 세월이 지나면 사람들은 역사를 곧잘 잊는다. 아마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역사에 대해 무관심한 민족도 그리 흔하지는 않은 듯하다. 수많은 역사의 굴레속에서 잘 잊는 방법이 잘 사는 방법이라는 것을 터득한 것이나 아닌지.




쓸쓸한 이곳에는 앞으로 지나는 차량들만 소음을 남겨 놓는다. 주필대라는 각자가 새겨진 암벽으로는 ‘송악’인 듯한 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타고 오르고 있다. 이산묘와 주필대를 거쳐 돌아오는 길가에 ‘용바위’라는 바위를 만난다. 바로 ‘호남의병창의동맹지’라는 곳이다. 마이동천의 입구에 있는 이곳 용바위에서 정재 이석용이 해산 전기홍과 함께 500명의 의병들과 규합하여, 황단을 쌓고 천지신명께 국권회복을 빌었다는 곳이다.

세월이 지나고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들의 형태는 달라도, 이곳은 나라를 위한 구국의 터가 분명한 듯. 주필대, 이산묘, 황단터인 용바위, 아마도 마이산을 들어가는 이 입구는 나라걱정을 하기에 가장 좋은 터가 아니었는지. 무심히 지나치는 차량들이 소음을 남겨놓는다. 역사는 그렇게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인지.

태조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가 있다. 물론 정확한 것은 알 수가 없다. 다만 나무의 수령이 600년이 지났으며, 전하는 말에 의해 이성계가 전국의 명산을 찾아다니면서 공을 들일 때, 심었다는 것이다. 이 느티나무는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788번지, 한재 초등학교 교정에 자리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28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느티나무는 멀리서 보기만 해도 그 위용에 압도당할 만하다. 나무의 높이가 34m, 가슴높이의 둘레가 8.78m나 거목으로 생육의 발달이 좋다. 현재는 대치리가 평지로 변하고 한재초등학교의 교정이 되었지만, 이곳의 옛 지명이 ‘한재골’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아마도 산의 골짜기에 해당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조선조 태조는 왜 이 나무를 심은 것일까?

마을에 전하는 바로는 기도를 마친 이성계가 기념으로 이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 때도 기념식수를 심는 버릇이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하긴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많은 옛 사람들이 심었다는 나무들을 만날 수가 있다. 아마도 꼭 그런 일화가 아니라고 해도, 이성계와 연관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느티나무는 보존가치가 상당히 높다.

우선 나무의 크기나 생육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보아도, 당당한 위용이 사람을 압도한다. 6월 18일 오후에 찾아간 ‘대치리 느티나무’. 멀리서 보기에도 그 나무의 모습이 한 눈에 들어온다. 학교 교정에는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공놀이며 각종 놀이를 하느라 소리를 치고 있다. 그런 어린 아이들에게 이 나무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이성계 할아버지가 심었다는 대요”

아이들이 나무 밑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을 찍고 있으려니 일부러 카메라 앞으로 돌아다니는 녀석들이 있다. 우리도 예전에 저랬다. 소풍이라도 가서 누가 사진을 찍는다고 하면, 괜히 그 주변을 맴돌다가 앞으로 뛰쳐나가고는 했으니까.

“애들아 이 나무 누가 심었는지 알아?”
“그 나무요 이성계 할아버지가 심었대요.”
“어떻게 알아?”
“거기 적혀있어요. 그렇게요. 그리고 선생님이 알려 주셨어요. 이 나무 상당히 중요한 것이라고요”




입을 모아 떠드는 녀석들 때문에 정신이 없다. 나무는 높기도 하지만, 동서로 뻗은 가지들은 땅에 닿을 듯 늘어져 있다. 버팀기둥을 받쳐 놓았는데도 늘어진 가지가 보기에도 멋들어져 보인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린 조선. 그러나 이 나무는 그 숱한 역사의 아픔을 보듬고 꿋꿋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천연기념물 옆에서 담배를 피우는 몰지각한 사람들

학교 문 안으로 들어가다가 보니, 천연기념물인 나무 옆에 차가 한 대 서 있다. 좀 빼달라고 부탁을 하려고 보니, 입에 담배를 물고 있다. 그것도 초등학생들이 주변에 가득한 교정 내에서 말이다. 예전 같으면 벌써 한 마디 했겠지만, 날도 덥고 그럴 생각이 없다. 일일이 그렇게 역정을 내다가보니 이젠 내가 지쳐가는 듯해서이다. 아무리 나무 아래 평상을 만들고 쉴 공간이라고 해도, 아이들도 있는데 버젓이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 아이들에게 무엇을 잘하라고 이야기 할 자격이 있는 것일까?




느티나무를 찬찬히 돌아본다. 세월의 연륜이 그대로 들어나 보인다. 밑동 쪽에 혹처럼 불어난 것들이며, 마치 거북 등짝같이 두텁고 거칠어 보이는 표피가 그러하다. 하긴 말이 600년이지 그 숱한 세월을 바람과 눈 비, 폭염에도 이렇게 버티고 있지 않은가? 이 느티나무를 보면서 갑자기 민초들이 생각이 난다. 아무리 험한 세상일지라도 이 나무처럼만 버틸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세월을 먹고 산 것만 같은 천연기념물 제284호 대치리 느티나무. 그 웅장한 모습처럼 앞으로 더 많은 세월을 살아갈 수 있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