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에 소재한 신륵사. 경기도내의 절 중에서는 많은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는 고찰이다. 이 신륵사 서북쪽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은, 보물 제231호로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이라는 명칭을 갖고 있다. 이곳에는 보제존자의 석등과 석종, 그리고 석종 비가 한 자리에 모여있다.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보제존자(1320∼1376)는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화상을 말한다. 석등으로 오르기 전 신륵사 조사당에는 나옹화상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나옹화상 혜근(1320∼1376)은 고려 말의 고승이다. 성은 아(牙)씨였으며. 속명은 원혜이다. 호는 나옹, 또는 강월헌(江月軒)이다. 이곳 신륵사에서 강월헌(원래의 강월헌은 수해로 인해 사라졌다)에 기거하였다. 여주 신륵사 앞을 흐르는 남한강에는 용이 살았는데, 나옹화상이 그 용을 굴레를 씌워 제압하였다고 하여 ‘신륵’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臺下江流百丈聽. 當年說法句紳聽.(대하강류백장청. 당년설법구신청).

川女朱下方丈實. 龍王惹參蓮花經.(천여주하방장실. 용왕야참연화경).

동 아래 강물은 일백 장으로 맑구나. 당시 설법하면 귀신이 와서 들었다네.

천녀는 낮에 방장에 내려오고 용왕은 밤에 연화법석에 참여하였지.

 

신륵사에서 나옹화상이 설법을 하면 귀신도 참여를 하였다고, 정두경의 고시 ‘신륵사’에 적고 있다. 그럴 정도로 나옹화상은 뛰어난 법력을 지녔는가 보다. 유명한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라는 글도 나옹화상이 지은 것이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無惜兮(료무노이무석혜)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고려 말 예주부(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한 나옹화상.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 인도의 고승 지공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조선태조의 왕사였던 무학대사의 스승 이었다,

 

 

이무기를 조각한 아름다운 석등

 

6월 17일(월) 한 낮의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날이다. 신륵사를 찾아가 경내를 한 바퀴 돌아본 후 조사당을 거쳐 뒷산으로 난 계단을 따라 오른다. 오후의 시간이라 땀이 비 오듯 흐르지만, 그런 것이 대수이랴.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즐거움은 더위도 잊게 만든다. 그런 즐거움을 느끼기에 답사를 계속할 수 있는 가보다.

 

석등은 그리 크지 않다. 고려 말에 나옹화상이 입적을 한 후 세웠다고 하니 700년 가까운 새월을 이 자리에 서 있는 것이다. 석등의 받침에는 표면 전체에 꽃무늬를 가득 새겨 장식하고 있다. 화사석은 각 면에 무지개 모양의 창을 낸 후, 나머지 공간에 비천상과 이무기를 조각했다.

 

 

비천상과 함께 화사석에 새긴 이무기. 화사석을 들고 승천이라도 할 기세이다. 비천상들은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얼굴이 모두 떨어져 나갔다. 하지만 허공을 가르며 날리고 있는 복대를 보고 있자니, 곧 석등을 뛰쳐나와 하늘로 오를 듯한 기세이다.

 

석등은 지붕돌은 두꺼우나 여덟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이 경쾌하여 무거운 느낌을 덜어준다. 고려 우왕 5년인 1379년에 보제존자석종 및 석비와 함께 세워진 작품으로,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며, 고려 후기의 대표적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선(道詵)국사는 전라남도 영암 풀신이다.신라말기의 고승으로 827년에 태어나 898년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풍수설의 대가였다. 도선은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절을 창건하였으며, 그 절마다 모두 풍수에 기인하여 창건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남원지역의 많은 절들은 대다수가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이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남원의 풍수를 보아 적당한 곳에 절을 이룩했다는 것이다.

그런 도선국사의 일화는 수도 없이 많이 전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하나 있다. 도선은 틀림없이 신라 효공왕 2년인 898년에 세상을 떠났는데, 고려 때 지은 절에 도선국사가 창건을 했다고 안내판에 적혀 있다. 생몰연대조차 정확하게 따져보지 않은 이런 류의 안내로 인해 가끔은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도선국사가 지었다는 용담사

남원에서 운봉을 향해 가다가 보면 남원을 벗어나는 곳이 주천면이다. 이곳 도로 좌측에 보면 용담사라는 절의 안내판이 보인다. 안내판에는 보물 제42호 용담사지 석불입상이 있다고 적혀있다. 용담사에 소재하고 있는 석불입상에 관해서는 두 번째 글을 쓰고 있다. 문화재란 볼 때마다 느낌이 달라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더 안목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용담사가 언제적에 지어진 절인가는 확실하지가 않다. 용담사 경내에 있는 안내판의 설명을 보면 ‘용담사지 석불입상’이라 쓰여 있다. 이것은 예전의 절은 사라졌다는 것이다. 지금의 용담사는 이름만 전하는 용담사 터에 세워진 절이라는 것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된 절이라는 설과, 통일신라 말 선각국사 도선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그런데 정작 석불입상 앞에 적힌 또 하나의 안내판에는 전혀 황당한 긇이 적혀있다. 용담사에 관한 내력을 적은 글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증없이 적어 놓은 글이 문화를 잘못 알려

<천년의 향기 - 용담사는 고려시대 사찰로써 천년전 절이 세워지기 전에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가 살고있어, 밤이되면 여우로 둔갑하여 사람을 잡아먹고 농작물을 해치는 등 갖은 행패를 부려도 어찌할 수 없었으나 마침 도선국사께서 큰 원력을 새워 이곳에 미륵물을 모시고 기도 중에 해탈주를 독송하니 이무기가 순간 업보의 허물을 멋고 용이되어 사라졌다. 해서 용담사라는 전설이 있다>

라고 적고 있다. 이 설명 하나가 결국 절의 내력을 다 망쳐놓은 결과가 되었다. 신라 때 고승인 도선국사가 고려 때에 젏을 지었다는 황당한 설명에는 그저 아연할 수밖에 없다. 이런 문구를 적은 안내판을 석불입상 앞에 버젓히 세워놓아 문화재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 것이다. 이 용담사는 고려 떄가 아닌 신라말에 지은 절이며, 석불입상은 고려 초기의 것으로 보여 도선국사가 조성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납득이 가질 않기 때문이다.



고려시대 거대석불로 보이는 용담사 석불입상

보물 제42호인 용담사지 석불입상은 광배와 입상이 '일석(一石)'으로 꾸며졌다. 대개 석불의 경우에는 불상과 광배가 따로 제작이 된다. 하지만 용담사의 석불입상은 커다란 바위를 이용해 입상과 광배를 조각하였다. 석불입상은 훼손이 심해 정확한 형태를 알아볼 수는 없지만, 고려시대의 거불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높이가 6m에 달하는 이 석불입상은 체구가 당당하다. 

용담사 석불입상은 이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고려 시대 미륵의 형태이다. 머리위에 육계의 윤곽은 비교적 뚜렷하고, 귀는 긴 편이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나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귀는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법의는 거칠게 표현을 하였으며, 두 손 등은 정확한 모습을 알아볼 수가 없다. 많은 훼손이 되어 있어서 그 형태만 추정이 가능할 뿐이다.




석불의 안면 밑으로는 양 편 어깨부근에 구멍이 하나씩 나 있는데, 이 구멍의 용도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무슨 장식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석불입상을 받치고 있는 받침대는 자연석 위를 둥글게 조성하였다. 이곳에도 양편에 구멍이 나 있다. 아마도 이 석불입상을 보호하기 위해 전각을 지었던 흔적이 아닐까 생각한다.

문화재 하나를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을 들여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안내판 하나를 잘못 기재함으로써, 문화재의 소중함이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다면,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잘못된 안내판은 하루 빨리 철거해야 할 것이다. 


우리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우선은 그 다양함에 놀라게 된다. 시대적으로 또는 그것을 제작한 장인에 의해서도 다르다. 그런가하면 어느 지역에 있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우리는 흔히 문화를 ‘백리부동풍(百里不同風)’이라 표현한다. 거리가 그만큼 만 떨어져 있어도 바람이 다르다는 이야기다.

이 말은 곧 그만큼의 거리가 있으면, 문화가 서로 다르다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결국 지역에 따라 특징적인 문화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남원에서 운봉을 향해 가다가 보면 남원을 벗어나는 곳이 주천면이다. 이곳 도로 좌측에 보면 용담사라는 절의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에는 보물 제42호 용담사지 석불입상이 있다고 적혀있다.


용담사는 어느 시대 절이었을까?

설명에 ‘용담사지 석불입상’이라 쓰여 있는 것을 보면, 예전의 절은 사라지고 없다는 이야기이다. 결국 지금의 용담사는 예전 터에 자리를 잡고 있는 절이란 것을 알 수가 있다. 용담사가 언제 적 절이었는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전하는 말에 의하면 백제 성왕 때 창건된 절이라는 설과, 통일신라 말 선각국사 도선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우리가 가장 아쉬운 것은 기록문화가 약했다는 것이다. 기록이 있었다고 해도 수많은 기록들이 찬탈을 당해 사라져 버렸다. 용담사의 경우에도 정확한 기록이 없다보니, 전해지는 전설이나 주변의 유물 등으로 추정을 할 수 밖에 없다. 그저 전하는 일화로 보아 통일신라 때 지어진 것으로 본다.


돌에 새겨진 머리와 몸을 보면 당당함이 엿보인다.

전하는 전설에 의하면 이곳에는 예부터 ‘용담’이라는 저수지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저수지에는 ‘용 못된 이무기’ 한 마리가 살았다고 한다. 이 이무기는 밤이 되면 여우로 변해 사람들을 자주 해치고는 했단다. 그 이야기를 전해들은 도선국사가 이곳에 용담사라는 절을 짓고 나서, 그 이무기의 행패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광배와 석불입상이 한 돌에 새겨진 특이한 형태

보물 제42호인 용담사지 석불입상은 광배와 입상이 일석(一石)으로 꾸며졌다. 일반적인 석불의 경우 석불과 뒤편을 빛을 상징하는 광배는 따로 제작을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런데 이 석불입상은 커다란 바위를 이용해 한꺼번에 조각을 하였다. 높이가 6m에 이르는 거대한 석불입상은 고려 시대에 흔히 보이는 거불(巨佛)형태의 석불이다.


빛을 상징하는 광배에도 조각의 흔적이 보인다. 받침돌은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하였다(아래)
 
이 석불입상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 역시 자연석을 그대로 놓아 만든 것이다. 타원형으로 생긴 돌을 그대로 받침돌로 이용한 점도 색다르다. 이 석불입상의 형태는 거의 알아보기가 힘든 정도로 닮거나 깨어져 나갔다. 그러나 전체적인 형태를 살펴보면, 거불임에도 불구하고 꽤 잘된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당당한 체격에 무게가 있는 모습

이 석불입상은 고려 때에 이 지역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 미륵의 형태이다. 머리의 윤곽은 비교적 뚜렷하고, 귀는 긴 편이다. 일반적으로 보이는 미륵입상의 형태와 동일하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나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다만 어깨까지 늘어진 귀로 보아 삼도가 굵게 표현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법의는 거칠게 표현을 하였으며, 두 손 등은 정확한 모습을 알아볼 수가 없다. 많은 훼손이 되어 있어서 그 형태만 추정이 가능할 뿐이다. 이러한 거불의 조성형태는 고려시대에 나타나는 석불입상의 특징이다. 넓은 어깨와 당당한 체구, 그리고 넓은 가슴과 두터운 표현 등, 강인함을 엿볼 수 있는 석불입상이다.

많은 문화재를 만나러 다니면서 늘 바라는 것이 하나 있다. 제발 이번에 만나게 되는 문화재는 온전한 모습이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하지만 우리 역사가, 그리고 우리의 문화재에 대한 마음가짐이 그렇지를 못했는데 무엇을 바랄 것인가. 그저 오랜 시간 수많은 문화재를 조성해 우리에게 전해 준 조상님들께, 정말로 무릎 꿇어 사죄라도 해야 할 것만 같다.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는 문화사대주의자들이 판치고 있는 나라이기에.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