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소재한 사적 제317호인 미륵대원지. 1982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도 발굴한 바 있으나 확실한 년대는 알 수 없고, 발굴 당시 미륵대원이라고 쓰인 기와가 발견되어 삼국유사에 기록된 미륵대원과 동일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런 기록으로 보아 일연 스님이 살았던 그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 고려 초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 발굴 당시 출토된 관련 유물과 기록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 미륵대원은 고려초기인 11세기경에 창건되었다가, 고려후기인 고종 때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옛 기록에 전하는 계립령과 충북과 경북을 연결하고 있는 하늘재 사이의 분지에 남북향으로 펼쳐진 사지이다. 여기에 석굴사원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소실되고 현재는 석조물만 남아 있다.

 

고려 초기에 세워진 5층 석탑

 

미륵대원지는 사적 제317호로 1987710일 지정되었다. 이 미륵대원지 내에는 보물 제95호인 5층 석탑과 제96호인 석불입상이 있고, 그 외에도 충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19호인 석등과 33호인 3층 석탑 등이 남아있다. 이 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굴이 만들어졌던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앞쪽에 석등과 더불어 보물 제95호로 지정된 충부 미륵리 오층석탑이 자리를 하고 있다.

 

미륵대원 5층 석탑의 하층 기단부는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난 돌로 조성을 했다. 특별하게 장식은 하지 않았으며, 그 위로 기단의 맨 윗돌이 올려져있다. 탑신은 1층 지붕돌인 옥개석만 2장일 뿐, 나머지 몸돌이나 다른 지붕돌은 모두 1장의 돌로 되어 있다. 각 층의 몸돌에는 몸돌의 넓이에 비하여 좁은 기둥인 양우주를 모서리에 새겼다.

 

 

옥개석인 지붕돌은 급격하게 좁아져 석탑 전체의 균형과 미관을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지붕돌의 밑면의 받침은 5단이지만, 추녀가 짧아서 6단인 것처럼 보인다. 처마는 수평이고 지붕돌의 경사는 매우 급한데 귀퉁이는 거의 위로 치켜져 있지 않다.

 

철간이 남아있는 미륵대원 5층 석탑

 

미륵대원 5층 석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머리장식의 받침인 노반과 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인 복발이 남아 있다. 노반은 6층 지붕돌로 보일 만큼 큼직하게 조성하였고, 복발은 반원 모양이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의 중심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긴 쇠꼬챙이 모양의 찰간이 남아있다.

 

5층 석탑은 5단의 지붕돌 밑면받침과 직선의 처마는 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따른 것인데 비해, 지붕돌의 급경사와 형식적인 기둥새김 등을 보면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석탑은 신라가 망한 뒤 금강산으로 들어가던 마의태자사 신라 석굴암을 따라 조성한 석굴불상으로 조성한 앞에 세운 고려 초기의 탑이라는 것에 비중을 둘 수 있다.

 

눈이 발목까지 빠지는 날 찾아갔던 충주 미륵대원지. 눈이 쌓인 석조물들의 정취가 더 없이 고풍스러워 보인다. 한 겨울에 답사를 하는 이유는 여름철에는 볼 수 없는 이러한 또 다른 풍광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의태자가 세웠다고 전하는 충주 미륵대원지. 아마도 그곳에서 마의태자는 망해버린 신라가 안타까워 모든 설음을 잊고자 미륵세계가 올 것을 간구한 것은 아니었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