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한가한 포구의 모습만 보이고 있다. 이곳이 예전에는 수군들로 북적이던 곳이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한 때는 충청도 수군의 총 사령부가 있었다는 곳. 충청수영성은 경관이 아름다워 시인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오천항을 내려다보고 있는 충청수영성. 벌써 몇 번째 찾아온 충청수영성. 이곳을 찾았을 때는 해질 무렵이었다.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931번지 일대에 소재한 사적 제501호인 보령 충청수영성을 찾은 것은 106일이다. 충청수영성은 조선 초기에 설치되어 고종 33년인 1896년에 폐영이 되었다. 충청수영성의 규모는 <세종실록지리지> 기록에 보면, 조선 초기 충청수영과 그 산하에 배속된 군선과 병력이 군선 142척에 수군 수가 총 8,414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일몰 즈음에 만난 오천항의 장관

 

10월의 해는 짧다. 더구나 잔뜩 흐린날이라 그런지 오후 5시가 조금 넘었는데도 어둑하다. 차를 달려 찾아간 보령시 오천면 충청수영성. 지금은 아치로 조성한 서문의 석문과 진휼청만이 남아있다. 서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바닷가로 삐죽 얼굴을 내민 성벽 위에 진휼청이 서 있다.

 

진휼청은 흉년이 들면 충청수영 관내의 빈민구제를 담당했던 곳이다.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진휼청은 충청수영이 폐지된 후 민가로 사용이 되었다고 한다. 1994년 토지와 건물을 매입하여 보존을 하고 있다. 진휼청은 정면 5, 측면 2칸의 집이다. 진휼청은 그리 크지 않은 집으로 대청과 부엌, 온돌방, 툇마루 등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진휼청을 돌아본 후 성벽 위에 올라서 오천항을 내려다본다. 저 오천항에 수많은 어선들이 묶여있는 곳에, 예전에는 모두 군선들이 자리를 하고 있었을 것이다. 충청수영은 충청도 서해안 지역에 위치하여, 한양으로 가는 조운선을 보호하고 왜구의 침탈을 방지했다고 한다. 근대에는 이양선을 감시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는 충청수영성. 해질녘 내려다보는 오천항은 숨을 죽인 듯 고요하기만 하다.

 

충청지역 해로의 요충지 충청수영성

 

선조 29년인 1596. 충청수사 최호가 충청수영의 본영과 속진의 수군을 이끌고 남해 한산도에 머물며 수군통제사 원균의 지휘를 받다가, 이듬해인 선조 30년인 159771일 일본군에 패하여 통제사 원균과 함께 전사했다. 충청수영은 서해안을 지켜내는 요충지였지만, 많은 아픔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충청수영성은 천수만 입구와 어우러지는 경관이 수려하여, 조선시대 시인 묵객들의 발걸음이 잦았던 곳이다. 서해를 바라보고 서 있었다는 성내의 정자인 영보정은, 많은 시인묵객들이 찾아들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전한다. 서문 밖의 갈마진두는 충청수영의 군율 집행터로, 병인박해 때 천주교 신부 다섯 명이 순교한 아픔이 서린 곳이기도 하다.

 

성을 한 바퀴 돌아보다.

 

해가 설핏하다. 서둘러 성벽 위를 걸어 한 바퀴 돌아본다. 근래 들어 도로개설이나 해변의 매립 등으로 인하여 훼손된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충청수영성은 나머지 성지뿐만 아니라 그 주변 지형이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1872년에 그려진 충청수영성의 고지도에 보면 세 곳의 성문을 비롯해. 한 곳의 서소문과 많은 전각들이 있었다.

 

 

현재는 객사와 내삼문이 남아있지만, 한때는 충청도 수군 전체를 관리하던 성이다. 군사목적에서 마련된 충청지역 수군 지휘부인 충청수영성은 충남의 수군편제와 조직, 예하 충청지역 해로 요해처에 배치되었던 수군진과의 영속 관계 등을 알아볼 수 있는 역사적인 성지이다. 귀중한 유적인 충청수영성의 영보정 자리에서 내려다보이는 서해. 잔뜩 검게 낀 구름으로 인해 서해로 떨어지는 일몰의 장관을 보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기만 하다.

 

서울에 자료조사를 할 일이 있어 이틀간이나 서울을 오가다가 보니, 문화재답사를 떠나기로 한 예정시간을 지나버렸다. 바쁘게 여장을 차리고 떠난 답사길. 태풍이 올라오고 있다고 하지만, 하늘에는 구름 한 점 없이 맑기만 하다. 고속도로를 달려 찾아간 충남 보령시. 사람들은 보령이라고 하기보다는, 대천이라고 말을 해야 더 빨리 알아듣는다.

 

보령시에는 많은 문화재가 있다. 사적인 성주사지에는 국보 1점과 보물 3, 그리고 다수의 지방 문화재가 있다. 성주사지에서 가까운 곳에는 석탄박물관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고 있다. 하루 만에 돌아본 문화재와 유적만 해도 상당하다. 고성(固城) 세 곳에, 석조물과 사찰, 고택과 문화재로 지정된 노송, 그리고 도미부인의 사당 등을 돌아보았다.

 

 

문화재답사, 쉽지 않은 일이다.

 

문화재답사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우선은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해야만 한다. 어디를 돌아볼 것인지, 또 동선을 어떻게 잡아야 가장 빠른 시간에 더 많은 것을 돌아볼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그 문화재를 만나면 무엇을 중심으로 촬영을 한 것인지 등을 세세하게 파악을 해두어야 한다.

 

또한 문화재 답사를 할 때는 가급적이면 한 지역을 중점적으로 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짧은 시간에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 지역을 답사를 하려고 생각을 했다면, 그 지자체를 먼저 찾아간 자료(문화재 장소와 지도 등)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그 자료를 기본으로 동선을 정해 답사를 시작해야 한다.

 

 

답사를 할 때는 어느 것 하나 빠트려서는 안된다. 답사지역을 들어가 문화재를 만나면 가장 먼저 볼 것은 바로 안내판이다. 그 안내판에는 문화재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기 때문에, 어떻게 접근을 할 것인가를 사전에 파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는 문화재의 모든 것을 세세하게 촬영을 해두어야만 한다.

 

문화재 답사의 또 다른 즐거움

 

문화재 답사를 할 때 가급적이면 국도를 이용한다, 대개 문화재는 국도나 지방도 변에 이정표가 걸려있다. 그 이정표를 따라 들어가면 처음에 예정하지 않았던 문화재를 만날 수가 있다. 그럴 때의 기분이란 바로 보물 하나를 얻은 듯하다. 답사를 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설명만으로 그 기분을 느낀다는 것은 어렵다.

   

 

문화재 답사의 즐거움이란 것이 어디 그것뿐인가? 처음으로 접하는 문화재에서 느끼는 수많은 상념들. 수천 년을 그 자리에서서 역사를 지켜 본 문화재와의 말 없는 대화. 그것은 오래도록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생긴 나만의 버릇이다. 그렇게 대화를 하다가 보면, 문화재의 깊은 내면 속에 감추어진 이야기를 도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재 그 안으로 들어가 보자.

 

문화재를 오래도록 답사를 하다가 보면, 남들은 찾을 수 없는 것들을 찾아 낼 수가 있다. 학술적인 것이 아닌, 그 문화재에 얽힌 전설 등 이야기이다. 그런 이야기는 주변 마을에서 찾아낼 수가 있다. 남들이 알지 못하는 것들을 찾아낸다는 즐거움. 그것이 바로 문화재 답사의 진정한 즐거움이다.

 

 

비록 바쁜 일정으로 인해 힘들게 돌아본 답사 길이었으나, 그 안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수많은 역사속의 진실. 이런 것을 찾아다니는 것이 문화재 답사의 진정한 즐거움이다. 문화재란 언제나 그 자리에 서 있다. 그러나 영원한 것은 아니다. 우리가 더 가까이 다가가 많은 이야기를 할 때라야, 그 자리를 굳에 지켜낼 수 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