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시 연등동 376번지 마을로 들어가는 좁은 도로변 양편에는 석장승이 서 있다. 예전에 이 길은 여수시로 진입하는 구 1번 도로다. 이 도로변에 동·서로 서있는 한 쌍의 돌장승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장승을 벅수라고 부른다.

 

이 벅수라고 부르는 석장승 한 쌍은 조금 경사진 길을 오르는 곳에 서 있는데, 좌수영 시절에 조선시대 수군이 주둔하여 있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면 서문으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한다. 이런 문으로 오르는 길목에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한 쌍의 벅수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 듯하다. 해학적으로 생긴 이 한 쌍의 벅수는 남녀를 상징한 것으로 보인다.

 

 

하늘과 땅을 관찰하다

 

연수시 연등동 375번지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224호인 이 벅수는 한쌍으로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남벅수의 몸체에는 하늘을 맡은 신이란 뜻으로 ‘남정중(南正重)’, 여벅수의 몸체에는 땅을 관장한다는 뜻인 ‘화정려(火正黎)’라고 새겨져 있다.

 

동쪽에 위치한 남자벅수는 모자를 쓰고 위로 올라간 눈썹에 달걀형의 눈과 길고 큰 자루병코를 가지고 있다. 입은 조금 벌어져 이빨이 보인다. 그저 바라보기에도 큼지막한 코에 세 개의 이빨이 솟아있는 것이, 여간 해학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눈, 코, 입, 귀 등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나름대로 구조가 맞는다.

 

 

서쪽의 여자벅수는 위로 길게 솟아오른 모자를 쓰고 올라간 눈썹을 하고 있으며, 왕방울눈과 눈과 길고 복스러워 보이는 귀에, 코볼이 넓은 매부리코로 되어 있다. 또한 벌린 입 사이로는 뜬 이빨이 보인다.

 

정조 12년에 세운 연등동 벅수, 나리님들 좀 배워라

 

 

 

여자벅수의 뒷면에 적혀있는 글씨로 보아 정조 12년인 1788년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이 연등동 벅수들은 험상궂은 듯 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모습이 친근감을 주고 있다. 석장승으로 조성된 벅수 중에서 시간이 오래되었음에도,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민간신앙을 보여주는 민속문화재로서 높은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벅수, 장승, 장생 등으로 불리는 이 석물이나 나무로 된 신표들은 사찰의 입구, 길 가, 마을의 입구 등에 세워져 성역을 나타내고 있다. 잡귀를 막고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세워진 것으로, 신앙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224년이나 지난 세월을 그렇게 두 눈을 부릅뜨고 길가에 서 있는 연등동 벅수 한 쌍. 이 벅수를 촬영하고 있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벅수를 여의도 양편 입구에 세워놓으면, 여의도로 들어가는 잡귀를 다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못된 생각 말이다. 하도 시끄러운 세상 어째 그렇게 말도 많고 탈도 많은지, 국민을 위해 하라는 일은 하지 않고 매번 다툼으로 일관하는 의원나리들을 보면서, 그저 묵묵히 세월을 지켜본 벅수가 오늘은 참으로 부럽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