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몇 년은 됨직하다. 이곳을 다녀온 지가. 서울 강북구 우이동 산 68에 소재한 대한불교 조계종 용덕사는 창건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절은 명당 중에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들어가는 입구부터가 심상치 않지만, 도선사를 들어가는 입구로 걸어 올라가면 우이동 먹거리촌이 나온다.

 

이 먹거리촌 오크밸리 앞에 용덕사 이정표가 하나 서 있다. 용덕사는 걸어 올라가는 길이 아름답다. 먹거리촌까지 차를 이용해서 간다고 하면, 걷는 길은 차에서 내려 10~15분 거리이다. 그저 마음 편하게 뒷짐을 지고 걸어도 15분이면 넉넉하다. 가다가보면 우측으로 펜스를 쳐 놓은 곳이 있고, 그곳을 지나면 낮은 산길을 걷게 된다.

 

 

암벽에 조성한 마애불이 일품

 

용덕사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찰의 형태는 아니다. 하지만 산사의 분위기는 한껏 느낄 수가 있다. 한편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이 있어, 물소리까지 정겨운 곳이다. 용덕사의 샘물인 감로수는 도봉산의 약수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전한다. 한 모금 마시면 폐부 깊숙이 시원함이 전해온다.

 

주변에 온통 바위투성이이다. 그런 곳에 어떻게 절을 중창한 것인지. 절 경내라고 해보아야 돌아볼 것도 없다. 한눈에 다 들어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분위가 하나는 가히 절경이라는 생각이다. 바위 한 면에 조각된 마애불은 압권이다. 100여 년 전에 이 곳에서 시봉을 들던 동자가 바위에 밝은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조각을 했다고 전한다.

 

우리나라 곳곳의 비경에 조각한 마애불들은 모두 전설 한 자리씩 갖고 있다. 그만큼 지금 우리들의 일반적인 생각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들을 만난다. 어떤 마애불은 자연 굴 안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용덕사 마애불도 동자가 조각을 했다고 하는데, 도대체 이 큰 바위면을 어떻게 갈아내고 조성을 한 것일까?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다.

 

 

용의 입에 마련한 산신각

 

절이라는 곳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다. 그 안에 무슨 사연인들 없을 것인가? 용덕사의 경내를 돌다가 보면 커다란 바위굴 입구 문 위에 산신각이라고 음각한 글을 볼 수 있다. 산신각을 자연적인 바위에 조성을 한 것이다. 이 바위는 바로 용이 입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앞에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그 둥근 바위가 바로 여의주라는 것이다.

 

용이 입을 벌리고 여의주를 무는 형상이라고 하니 명당임에 틀림이 없다. 이곳은 많은 분들이 와서 기도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 건강발원이나 진급, 혹은 자녀의 입시 등을 위해서도 사람들이 찾아온다고 한다. 사실 사찰이라는 곳이 차를 타고 경내까지 들어간다면, 아무리 열심히 공을 들인들 무슨 덕을 볼 것인지 의아하기도 하다.

 

 

물론 마음먹기 나름이라고 하지만, 마음부터가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슨 발원심이 날 것인가? 차도가 없어 잠시 동안이라도 걸어야 하는 용덕사는 그런 점에서는 정말 좋은 절이란 생각이다. 벌써 다녀온 지가 깨 되었지만, 이제야 숨어있던 자료를 발견했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참으로 좋은 절 한 곳을 잊을 뻔했다

사찰 내에서 중심이 되는 부처님을 모신 건물을 대웅전이라 부른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대웅전의 정확한 의미는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법화경에 보면 석가모니를 호칭할 때 대영웅 석가모니라고 한 것을, 줄여서 대웅(大雄)’이라고 표현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대웅전이란 대영웅인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대웅전은 사찰의 중심이 된다. 하기에 어느 절의 대웅전이 되었거나, 그 절 안에서 가장 중심부에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은 일반 전각과는 달리 단을 높이 쌓고, 그 위에 전각을 짓는다. 이는 대영웅인 석가모니불을 높이 모시기 위한 뜻이다. 용주사의 대웅보전은 1790년 용주사의 창건과 함께 지어진 유서 깊은 건물이다. 보경당 사일스님이 팔도 도화주를 맡아 대웅보전을 비롯한 145칸의 전각을 용주사 경내에 함께 지었다.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절 용주사(龍珠寺)’

 

용주사를 창건한 곳은 원래 신라 문성왕 16년인 854년에, 염거화상이 세운 갈양사라는 절터이다. 한창 번성하던 갈양사는 병자호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고 한다. 그 뒤 정조가 부친 장헌세자의 능을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륭원(현재의 융릉)을 조성하면서 정조 14년인 1790년에 부친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절이다.

 

정조는 용주사의 낙성식 전날 밤에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어 용주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용주사의 대웅보전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절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다.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형식인 전각은, 지붕을 받치는 공포를 각 기둥과 평방 위에 설치한 다포계 양식이다.

 

 

 

대웅보전의 처마는 이중의 겹처마로, 그 끝이 위로 약간 치솟았다.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네 귀퉁이에는 활주를 세웠으며, 아래는 네모난 돌을 받치고 있고 문은 빗꽃살 무늬로 조성하였다. 처마에는 고리를 달아, 문을 위로 들어 걸 수 있게 되어있다.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모든 문을 열어, 불전의 내부인 성역과, 외부의 세속적인 공간이 하나가 되게 하였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은 압권

 

대웅전 내부에 들어서면 구조물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과, 1m 정도의 높이로 구민 불단에 모신 삼존불, 그리고 뒤편에 후불탱화가 있다. 닫집이란 대웅보전이라는 불전 속에 있는 또 하나의 불전이다. 용주사 대웅보전의 닫집은 섬세한 솜씨로 조각하였는데, 천정에는 극락조가 날고 좌우에는 구름 속에 동자모습의 비천이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각 기둥에는 다섯 마리의 용이 좌우에서 불단을 보호하고 있다. 용의 꼬리는 용두보다 앞 부분에 보이는데, 정작 단 위에 모신 삼존불의 눈으로 보면, 이 꼬리가 뒤편에 자리하는 셈이다. 대웅보전의 내부중앙 불단에는 부처님 세 분이 봉안되어 있다. 가운데가 항마촉지인을 취한 석가모니불, 동쪽이 약함을 들고 있는 동방약사여래, 서쪽이 설법인을 취한 서방아미타불이다.

 

김홍도의 작품으로 알려진 후불탱화

 

삼존불 뒤에 있는 후불탱화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16호로 지정되었으며, 김홍도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가로 3m, 세로 4m인 후불탱화는 서양화의 기법을 도입했다고 전해지는 그림이다. 중앙 단 위에 모셔진 삼존불은 용주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을 하였으며, 상계, 설훈, 봉현, 계초 스님 등 20여명이 삼존불 조성에 참여를 하였다. 이는 닫집 속에서 발견된 발원문안에 기록이 되어있다.

 

 

 

1970816일에 삼존불 조성을 시작하여, 920일에 완성을 했다는 것이다. 정조가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꾼 후, 이름을 지었다는 용주사. 그 중심전각인 대웅보전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5호이다. 지난 319일 찾아간 용주사의 대웅보전은 부처님의 출입구라고 하는 어간문이 활짝 열려있었다.

10일이 넘게 계속된 찜통더위. 그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8월 4일에 찾아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소재한 사적 고달사지. 그곳에서 난 땀을 비오 듯 흘리면서도 그늘을 찾아갈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바로 보물 제6호인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때문이었다. 바람 한 점 없는 날 찾아간 고달사지에서,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인 869년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인 958년에 90세로 입적을 하였다. 광종은 신하를 보내어 그의 시호를 ‘원종’이라 하고, 탑 이름을 ‘혜진’이라 추시하고 대사의 진영일정을 그리게 하였다. 이 탑비는 대사가 입적 후, 17년 뒤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벌써 몇 번째 찾아간 탑비, 그런데 이럴 수가

 

이 비는 몸돌은 무너져 내려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있으며, 이곳 고달사지에는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비문에는 원종대사의 가문과 출생, 행적, 그리고 고승으로서의 학덕 및 교화, 입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고 한다.

 

몸돌인 비문을 볼 수가 없어 매번 갈 때마다 아쉬움이 컸던 원종대사탑비였다. 언제가 답사를 함께하던 동료 한 사람이, 도대체 왜 그렇게 갈 때마다 사진을 많이 찍어대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 하지만 내가 이렇게 세세하게 사진을 찍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다. 시간이 흐른 다음에 혹 무엇이 변하지는 않았는가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이다.

 

 

 

 

이번에도 다를 바가 없다. 탑비의 구석구석을 살펴보며 한 장씩 찍어댄다. 40도를 육박하는 땡볕에서 사진을 찍다가보니, 이미 몸은 땀으로 다 젖어버렸다. 얼굴과 등에서는 연신 땀이 흘러내린다. 닦을 엄두도 나질 않는다. 그런데 그렇게 사진을 찍다가 그만 몸이 굳어버렸다. 이걸 왜 보지 못했을까? 지난번에는 제대로 잘 찍었었는데.

 

배워도 배워도 끝이 없는 문화재 이야기

 

받침돌의 거북머리는 눈을 부릅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눈 꼬리가 길게 치켜 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이 비에 조성된 거북의 머리는 험상궂은 용의 머리에 가깝고, 목이 짧고 앞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 점. 머릿돌인 이수의 표현이 격동적이며 소용돌이치는 구름무늬의 번잡한 장식 등이,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로 진전되는 탑비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귀두의 이는 큼지막하니 두텁게 표현을 하였고, 콧구멍을 크게 뚫렸다. 영화에서처럼 이 콧구멍에서 불이라도 뿜어대는 것일까? 눈썹은 짙고 굵게 표현을 하였으며, 왕방을 눈은 금방이라도 사람에게 위압을 줄 것만 같다. 귀두를 살펴본 후 그 위에 비문을 올려놓았던 장방형의 비좌를 살펴본다.

 

비좌는 받침돌과 일석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이중의 육각형 벌집 모양이 정연하게 조각된 귀갑문을 중앙부로 가면서 한 단 높게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첨가하여, 비를 끼워두는 비좌를 돌출시켰다. 그런데 지난번에도 그랬고, 그 이전에는 이 비좌를 놓치고 말았다. 비좌에 새겨놓은 문양을 돌아보다가 그만 굳어버리고 만 것이다.

 

 

 

이렇게 더위먹고 내가 제대로 살 수는 있을까?

 

꽃과 구름문양을 새겨 넣은 비좌의 밑면에도 세세하게 조각을 해놓았다. 그저 지나치기 쉬운 부분인데도 불구하고, 그 섬세함에 눈을 떼지 못한다. 그리고 이수를 보다가 ‘아’하고 탄성을 지른다. 몸을 꼬아 용트림을 하는 조각의 놀라움이다. 어찌 그리도 섬세하게 표현을 해 놓았을까?

 

 

그 뿐만이 아니다. 지금까지 그저 겉으로 보이는 것만을 보아왔던 것이다. 비좌의 밑에도 이수의 밑에도 아름답게 조각을 한 문양들. 그런 것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저 그렇게 멍하니 넋을 잃고 있는 사이, 더위는 더욱 기승을 부린다. 그렇게 꽤 시간이 흘렀다. 정신을 차려 걸음을 옮기면서 되뇐다.

 

“이 문화재 때문에 아무래도 내가 제 명대로 살지 못할 수도 있을 텐데”

비란 어느 인물의 행적을 적어 후대에 전하는 것이다. 그런데 비에 비문이 없다면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 뛰어난 조각기법을 보이는 비의 머릿돌을 갖고 있고, 비 머리에는 제목을 적어 넣는 네모난 부분을 마련했으면서도 정작 비에는  단 한 자의 비문이 없는 비. 이러한 비를 '백비'라 부르는데, 이 비는 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5 번지에 소재하고 있다.

이 비는 뛰어난 조각기법이나 그 솜씨로 보아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비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거북이의 몸으로 되어있으나, 귀두가 깨어져 나간 것인지 말머리 형상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에서 고려조로 넘어오면서 비를 받치는 귀부는, 대개 몸은 거북이지만 머리는 용머리를 형상화한 것들이 많다. 그런데 연곡리의 귀부는 말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연곡리 석비를 보호하고 있는 전각과 비의 받침인 귀부

말머리에 백비, 누구의 비인가?

보물 제404호로 지정이 된 연곡리 석비는 비를 받치고 있는 귀부와 몸돌인 비, 그리고 아홉마리의 용을 조각한 머릿돌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받침돌인 귀부는 등의 무늬는 거북 등의 무늬와 같이 정교하게 조각이 되어 있어, 상당히 조각기법이 뛰어나다. 거북이의 앞발은 파손이 되었으며, 머리의 형태는 마치 말머리와 같은 모습이다. 이 귀두가 처음부터 이렇게 생긴 것은 아닌 듯하다. 앞부분이 절단된 듯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귀두를 보면 머리의 옆에 지느러미와 같은 형태의 조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보이는 귀두인 용머리인 것으로 처음에 조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귀두는 앞부분이 어떻게 이런 형태로 남아있는 것일까? 그 외에 귀두부분은 용머리 형상이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그런데 언제 어떻게 해서 이런 모습으로 변해버린 것인지는 알수가 없다. 받침돌의 거북은 그 문양들을 볼때 상당히 기능이 뛰어난 장인에 의해서 섬세하게 조각이 된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형태의 귀두라면, 당연히 중간에 누구가에 의해 훼손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겠다.

비문이 없는 백비, 누구의 비일까?


비에는 전, 후면을 비롯해 측면에도 글자 한 자가 없다. 

찬찬히 돌아보면 여기저기 금이 가기는 했어도, 전체적인 비의 모습은 뛰어나다. 등 무늬인 귀갑문은 정교하며, 단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비몸을 받치고 있는 받침부분은 연꽃을 조각하였는데, 잎은 작고 양감이 있어 더욱 아름다운 느낌을 준다. 귀부로 꾸며진 받침돌과 옆으로 긴 네모꼴의 비머리 형채 등은 고려 초기의 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비의 위에 얹은 머릿돌에는 모두 9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그 용들은 서로 몸을 꼬아 뒤틀고 있는데, 정교한 그 조각은 가히 뛰어난 작품이다. 아홉마리의 용이 서로 여의주를 물기 위해 다투는 사실적인 묘사를 하고 있다. 이렇듯 뛰어난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연곡리 석비. 도대체 그 비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단 한 자의 기록도 없는 비만을 갖고는 그 주인을 찾을 길이 없어 안타깝다.

말머리에 비문이 없는 백비. 그리고 전체적인 조각기법이 뛰어난 이 비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일부러 비문을 적지 않았는지, 혹은 누군가에 의헤 훼손이 되어 비문이 사라진 것인지 궁금하다. 혹 이 비에 어느 인물의 일대기를 적으려고 마련을 했다가, 갑자기 폐사가 되는 바람에 적지 못한 것은 아니었을까? 백비로 남아있는 뛰어난 연곡리의 석비는 그렇게 사람의 애간장을 태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