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에 소재한 수원박물관에는 야외전시장이 있다. 이 전시장에는 많은 비와 수원시에서 발굴이 된 무덤 등이 그대로 옮겨져 있다. 수원박물관 야외전시장에는 기관과 문중으로부터 기증받은 유물과 수원 관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유물을 옮겨와 전시하고 있다.

 

야외 전시장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수원에서 관리를 지낸 인물들의 업적을 나타내는 선정비, 의장석물, 묘제석물, 생활 유물 등이 야외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야외전시 유물 중에는 수원시 향토유적 제 7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목동 석곽묘(石槨墓)’가 있어, 수원박물관을 찾아오는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다.

 

 

통일신라시대의 매장 문화를 알 수 있어

 

석곽묘는 일명 돌덧널무덤이라고도 부른다. 돌덧널무덤은 지하에 네모난 구덩이를 파고 자연 할석이나 자갈돌을 쌓아 직사각형의 공간을 마련한 무덤을 말한다. 여기에 시신을 직접 묻거나 목관에 넣어 매장한 후 판돌이나 나무를 이용해 뚜껑을 덮었다. 이 야외 전시장에서 만나 볼 수 있는 돌덧널무덤은 이목동에서 발굴한 것을 옮겨온 것으로 수원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굴된 통일신라시대의 석곽묘이다.

 

발굴상태 그대로 옮겨와 복원을 한 석곽묘는 머리 받침석이 있고, 장정 한 사람이 누워있을 정도로 땅을 판 후 사방을 돌을 쌓은 형태이다. 이 석곽묘의 발굴 당시 회청색의 연질 완과 연황색의 연질 대부완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이런 통일신라시대의 석곽묘 중 가장 유명한 곳이 바로 경주 대릉원에 있는 천마총이다.

 

 

23기의 고분이 모여있는 경주 대릉원

 

대릉원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에 미추왕을 대릉에 장사를 지냈다라는 기록 때문이다. 이 대릉원에는 미추왕릉을 비롯하여 경주시 황남동에 소재한 12만 평이 넘는 거대한 고분군이다.대릉원에는 23기의 고분이 모여 있는 곳으로, 경주의 무덤들은 릉, , 총 등으로 구분 짓고 있다.

 

이 중에서 릉은 임금을 매장한 고분이고 묘는 왕이 아닌 사람들의 무덤, 그리고 총은 왕릉으로 보이지만 매장을 한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치가 않을 때 붙이는 명칭이다. 하기에 경구 전역에 산재한 많은 묘 중에는 미추왕릉과 같이 릉이라는 명칭이 붙은 묘와, 김유신 묘와 같이 왕이 아닌 사람들의 묘, 그리고 황남대총이나 천마총처럼 총이라는 명칭이 붙은 묘명이 있다.

 

 

전설과 함께 문화재이야기를 들려주자

 

미추왕은 신라 제13대 임금이다. 경주 김씨 최초의 왕인 미추왕은 삼국사기에 미추왕은 백성에 대한 정성이 높았다. 5명의 신하들을 각처에 파견해 백성의 애환을 듣게 하였다. 재위 23년 만에 세상을 떠나니 대릉에 장사지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미추왕의 릉을 죽릉혹은 죽장릉이라고 부르는데 그 연유가 전한다.

 

신라 제14대 왕인 유례왕 때 이서국의 침입이 있었는데, 이때 어디선가 귀에 대나무잎을 꽂은 수많은 병사들이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난 뒤 사라져 버렸다. 삼국사기 제2권 신라본기 제14대 유례 이사금조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유례 이사금 14년인 297년에 보면 봄 정월에 지랑을 이찬으로 삼고 장흔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순선을 사찬으로 삼았다. 이서고국이 금성을 공격해 왔으므로 우리 편에서 크게 군사를 일으켜 막았으니 물리칠 수가 없었다. 그런데 홀연히 이상한 군사가 왔는데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았으며, 모두 귀에 대나무 잎을 달고 있었다. 우리 군사와 함께 적을 물리친 후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누군가 대나무 잎 수만 장이 죽장릉(미추왕릉) 앞에 쌓여있는 것을 보았다. 이로 말미암아 나라 사람들이 말하기를 앞 임금이 음병으로 싸움을 도왔다고 했다

 

물론 이 전설은 수원지역이 아닌 경주지역에 전해지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이들과 함께 수원박물관 야외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는 돌덧널무덤인 석곽묘를 보면서 설명을 한다면, 쉽게 석곽묘와 릉의 비교를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이제는 아이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를 고민할 때이다.

 

충북 충주시 가금면 중앙탑길 112-28에 소재한 국립충주박물관. 국보인 중앙탑 앞쪽에 위치한 충부박물관의 야외에는 많은 석조물이 전시가 되어있다. 이곳에는 충주댐 수몰지역에서 옮겨온 신매리 선돌을 비롯하여, 율능리 석불입상, 장성리 삼층석탑과 석불좌상, 용탄동 석탑, 신만리 부도 등 많은 불교관련유물과 각종 묘비, 문인석과 동자석, 촛대석 등이 전시되어 있다.

 

그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성불사 석불좌상. 높이 98cm 정도인 이 석불좌상은 괴산군 불정면 성불사에 있던 곳을 옮겨 온 것이다. 고려시대의 석불좌상으로 추정하는 불신에 덧칠을 하여, 정확한 모습을 알아보기는 어렵지만 원래의 모습을 짐작할 수는 있다.

 

 

도식화된 느낌을 주는 석불입상

 

불정면은 행정구역상 괴산군에 속하지만, 예전에는 충주에 포함되었던 곳이다. 이 석불좌상은 머리위에 상투 모양인 육계를 너무 과장되게 크게 조성했으며, 오른쪽 손목 이하 부분은 시멘트를 사용해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머리가 신체에 비해 유난히 크게 조상하였으며, 마모가 심해 눈, , 입 등의 윤곽을 알아보기가 어렵다.

 

이목구비를 분간하기는 어렵지만, 어깨의 선은 당당하다. 이렇게 어깨의 선이 당당한 것으로 보거나 법의의 형태 등으로 보아, 이 석불좌상은 통일신라 말기나 고려 초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목 아래에는 여러 개의 장식을 곁들인 목걸이를 하고 있으며, 법의는 우편견단이다.

 

법의는 평행사선으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법의는 도식화 되어있으며, 양 다리와 후면의 들 뒤에도 주름을 조성했다. 전체적으로는 신체의 표현감각이 뛰어난 석불좌상이다.

 

 

지방의 장인이 조성한 불상인 듯

 

이 성불사 석불좌상은 통일신라시대의 전성기 때 석조불상의 양식을 그대로 따른 듯하지만, 도식화 된 경향이 짙은 것으로 볼 때, 고려 초기의 석불좌상으로 보인다. 육계가 너무 크게 표현을 하는 바람에 마치 머리 위에 투구를 뒤집어 쓴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석불좌상. 그러나 신체의 비례는 안정감이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아래로 하여 무릎 위에 올려놓았으며, 왼손은 배 아래편에 대고 있지만, 손의 형태가 떨어져 나간 듯 정확한 손의 형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왼편 무릎은 금이기고 쪼개진 것을 맞추어 놓았다.

 

등 뒤편에는 법의를 굵게 틀어 모아 세 줄을 만들었다. 그 중 두 줄은 좌측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사선으로 내려갔으며, 한 줄은 꼬듯이 모아 밑으로 처트렸다.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많은 석불좌상이나 입상의 경우 광배가 있을 때는 뒤편에 이렇게 조각을 하지 않는데 비해, 성불사 석불좌상은 뒤편에까지 조각을 해 놓았다.

 

육계가 필요이상으로 크게 조성이 되었다든가, 손의 모습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들로 보아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성불사 석불좌상. 비록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지 않은 비지정 석조물이긴 하지만, 천 년 세월을 그렇게 자리를 지켜 온 것으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주) 그동안 전국을 다니면서 답사를 한 많은 자료들을 일일이 소개를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점이 아쉬워 앞으로는 현재의 답사 자료와 함께 오래 전에 답사를 했던 자료들을 함께 올리려고 합니다 이점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