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 참, 나방이하고 함께 열차여행을 하다니
어제 저녁 남원에서 전주로 올라오는 열차를 탔다. 자리에 앉았는데 무엇인가 창에 붙어 퍼득거린다. 날개 짓을 할 때마다 안 좋다는 흰 가루가 나른다. 자꾸만 나에게로 날아오니 짜증스럽다. 마땅히 잡을 것도 없다. 나방이다. 그것도 가루를 엄청 떨구는.
기분 좋게 떠난 길인데 초장부터 나방 한 마리가 사람을 짜증 나게 만든다. 그래도 어쩔 것인가? 너는 얼마나 힘들겠냐. 비록 창 밖으로 나가려고 가루를 날리고는 있지만, 그 창을 뚫을 수 있는 힘은 없을 것이고. 혼자서 키득거리다가 사진을 찍는다고 헸더니, 아우녀석 친절하게 휴대폰까지 꺼내 불까지 밝혀준다.
하지만 조금만 신경을 쓰면 승객들이 기분좋게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을. 이렇게 기분 찜찜하게 만들어야만 할까? 생전 나방이하고 함께 하는 열차여행은 또 처음이다. 여행 첫날부터 '옴 붙은 것'아 아닌 '나방 붙었다'.
이런 벌레 한 마리가 아무것도 아닐 수도 있다. 또 열차 안에 벌레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왜 하필 내가 앉은 자리에 이런 것이 따라 붙었을까? 아마도 내가 블로거라는 것을 알고, 글 소재 하나를 주려고 했나보다. 이런 글을 쓰면서도 무엇이 재미있는지 키득거린다. 오랫만에 마음 편하게 며칠간 떠나는 여행에서 오는 여유인가 보다.
꽃향기가 넘치는 신헌고택을 둘러보다
충북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826에 소재한 신헌 고택. 현재 충북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신헌(1810∼1884)은 조선조 후기의 무신이면서 외교가였다. 이 집은 신헌이 살던 집으로 과거에는 사랑채와 행랑채 등이 있었으나, 그 집을 허물어 길상사를 짓는데 사용하였다고 한다.
신헌의 자는 국빈, 호는 위당이며 평산인이다. 순조 28년인 1828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에 임명 된 후, 고종 때에 이르기까지 중요 무반직을 두루 거쳤다. 고종 3년인 1866년 병인양요 때는 충융사로 강화의 염창을 수비하고, 난이 끝나자 좌참찬 겸 훈련대장이 되어 수뢰포를 만들기도 했다.
병자수호조약과 한미수호조약을 체결한 신헌
고종 12년인 1875년 운양호 사건이 일어나자 이듬해 전권대관이 되어 병자수호조약을, 고종 19년인 1882년에는 한미수호조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에 판삼군부사가 되었다. 이 집은 1850년경 신헌이 전통 한옥 형태로 지은 건물이다. 세울 당시에는 사랑채와 행랑채, 안채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안채와 광채, 중문채 만이 남아 있다. 신헌고택을 찾아갔다.
마침 문이 걸려있지 않아 집을 둘러보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현재 대문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 문은 안채로 통하는 중문이다. 문은 중앙에 문을 두고 양 옆으로는 방과 헛간이 있다. 방 밖으로는 굴뚝이 서 있어, 이 방에서 안채의 일을 돌보는 여인들이 기거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안채만 남아도 단아한 집
안채는 2층 기단 위에 세운 ㄱ자형 평면집이다. 오른쪽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고, 왼쪽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한 집에 이렇게 지붕을 들인 것은 흔치가 않다. 안채는 꺾이는 부분에 마루를 놓고 양편으로 방과 부엌을 달아냈다.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신헌고택을 들어가니, ‘천사의 나팔’이라고 하는 꽃들이 여기저기 놓여있다. 집안 정원 가득 꽃이 심겨져 있어, 현재 이 집에서 거주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꽃을 좋아하는가를 알 수 있다. 천사의 나팔이라는 이 꽃은 해가 지기시작하면 짙은 향을 풍긴다. 이 정도 꽃이면 집안 전체가 꽃향기로 가득할 것만 같다.
안채에서 예전 밖으로 나가는 문은 중문 말고도, 중문채 끝에 일각문이 있어 그곳으로 통행을 했다. 현재 일각문 밖은 정원으로 꾸며져 있다. 남아있는 집의 전체적인 구조로 보아, 처음 이 집을 지었을 당시의 모습이 그려진다. 길상사를 짓기 위해 사랑채와 행랑채 등을 부수었다는 주민들의 이야기에,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안채의 앞에 길게 마련한 광채는 부속 건물이다. 이곳은 곡식이나 여러 생활용품을 보관해 두던 곳으로, 곳간, 헛간, 광 등을 마련했다. 담 밖에서 보는 광채는 10여 칸이나 되는 -자형으로 꾸며졌다. 이러한 광채의 크기로 보아도, 이집을 지었을 때는 정말 운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밖으로 나와 안채의 뒤편을 바라다본다. 뒤편에는 낮은 굴뚝들이 연이어 나 있다. 뒤편의 길가로 난 담장이 높게 되어있고, 그 밑으로 차이를 두어 안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이 뒤편이 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저 안채만 남았어도 단아한 형태로 지어진 신헌고택. 이 집의 밤은 온통 꽃향기로 뒤덮일 것이다.
언젠가 늦은 시간 막걸리 한통 사들고 다시 이 집을 찾아, 휘영청 밝은 달밤에 천사의 나팔에서 흘러나오는 향기에 취해보고 싶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