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장!!

수원시 연화장은 이 세상을 떠난 고인들을 화장하는 곳입니다

이 연화장은 요즘 젊은 채 피지도 못한 꽃들이 이승을 하직하는 장소가 되어버렸습니다

안산 단원고등학교의 학생들이 수학여행길에서 참변을 당한

세월호의 아픔은 날마다 계속되고 있습니다.

 

가족들의 아픔을 무엇이라고 위로를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누가 그 아픔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전 국민이 모두 슬퍼하지만 그 중에 이상한 인간들도 있습니다

그저 터진 아가리라고 마구 지껄여대는 사람들

그들도 자식들이 있을 텐데 말입니다

그 사람들...

과연 자기 자식이 세월호에서 참변을 당했다고 해도 그리 지껄여댈까요?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내 새끼를 살려주세요

내가 세상을 잘못 산것이 있으면 차라리 나를 데려가세요

그리고 우리 아이를 돌려주세요

그 어린 것이 얼마나 춥고 무서움에 떨었을까요"

 

한 어머니의 절규입니다.

벌써 10여일이 다 돼갑니다

히지만 아직도 물속에서 뭍으로 나오지 못한 아이들이 있습니다

죽은 혼백이라도 있다면 얼마나 무능한 어른들을 탓하겠습니까?

정말로 고개를 들지 못하고 살 것만 같습니다.

 

"아들아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마라"

 

어머니의 절규입니다. 믿을 수 없는 나라가 되어버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잠수를 하면서 어린 학생들의 시신을 찾아냈지만

결국 단 한 명도 생존자를 구하지는 못했습니다.

 

정말 미안하다. 얘들아 할말이 없구나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입이 있다고 한들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이 나라를 이렇게 만들어버린 장본인들입니다

백배사죄를 한들 그 아이들이 살아오겠습니까?

아무리 슬퍼한 들 그 부모, 형제들의 아픔보다 더 하겠습니까?

절말 부끄럽고 또 미안합니다.

다시는 이 나라에 태어나지 말라는 어머니의 당부

정말 가슴이 미어집니다.

얘들아 저 세상에서는 고통스럽고 춥지말고 평온하게 살아라.

 

 

무예24기 상설공연시 노란 리본착용

 

"단 한명의 생존자라도 찾기를 염원합니다."

 

수원문화재단(이사장 라수홍)은 수원화성행궁 신풍루 앞에서 진행하는 무예24기 시범과 관련해,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 단 한 명의 생존자라도 찾기를 염원하는 의미에서 노란 리본을 왼팔에 착용한 후 공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원문화재단은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야외 공연 등의 행사를 취소 및 연기했으며, 무예24기 시범공연은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애도와 무사귀환을 기원하는 인사말을 시작으로 엄숙하면서 차분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란 리본은 전쟁터에 있는 사람의 조속한 무사귀환을 바라는 뜻으로 노란 리본을 나무에 매달은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에 있는 소원바위

소원바위, 사람들은 누구나 마음속에 염원하는 소원이 있기 마련이다. 소원이 다 이루어진다면 그도 별 재미없을 듯하다. 소원이란 열심히 고대하다가 이루어질 때, 그 참다운 맛을 알게 되는 것이 아닐까? 그런 사람들의 소원을 이루어준다는 바위가 있다.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1리에 있는 바위이다.

창수면 추동리는 한양 조씨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마을이란다. 이 마을은 매년 음력 2월 2일이 되면 왕방산 끝자락과 종현산이 맞물려 있는 곳, 산제사 터로 새벽에 올라가 산신제를 드린다. 오래도록 마을 주민들이 그렇게 정성을 드려왔다. 마을에 전해지는 습속이라 아직도 매년 제를 올린다는 것이다.

포천시 창수면 추동1리 '왕방산 소원바위 굿당' 안에 자리한 소원바위


마을 뒷산자락에 있는 커다란 바위

이 추동1리에는 커다란 바위 하나가 마을 뒤편에 있다. 마을사람들은 이 바위를 ‘소원바위’라고 부른다. 현재 이 바위는 ‘왕방산 소원바위 굿당’ 안에 자리를 하고 있다. 굿당이란 굿을 전문으로 하는 집을 말한다. 요즈음은 민가에서 굿을 하면 주변에서 시끄럽다고 하도 신고들을 해대니, 전문적으로 굿을 하는 굿당이 생겨난 것이다.

굿당은 대개 물 좋고, 산세가 좋은 곳에 자리를 한다. 현재 이 굿당을 운영하고 있는 당주인 김옥화(여, 51세)를 만나보았다.


동전을 부치고 기도를 하면 이루워진다고 한다.


“저도 이 지역에서 태어나 살았는데, 이곳에 와서 기도를 하다가 이 굿당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이 바위에 기도를 하면 한 가지는 꼭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현재 이 소원바위라는 바위는 굿당에서 임시로 전각을 지어놓고 있다. 바위가 영험해 이 바위 앞에서 굿판을 벌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란다. 신내림을 받은 무격(巫覡)들은 이 바위가 영험이 있다고 이야기들을 한다. 그래서인가 바위에 동전을 붙이고 서원을 하면, 그 서원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아들을 점지해 준 소원바위, 오랜 시간 사람들이 찾아와 빌어

“마을에서 전하는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바위가 소원바위로 불리게 된 것을 아주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바위 밑을 타고 흐르는 샘물이 바로 곁에 있어서, 아무리 가물어도 이 물은 한 번도 마른 적이 없다고 하네요. 물맛도 좋고 탁하지가 않습니다. 이 물은 위장병과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사람들이 한 번씩 와서 몇 통씩 떠가시는 분들도 있어요.”

소원바위는 마을 근처에서는 가장 큰 바위이다. 아마도 이런 바위와 물이 있어서 이곳에서 백일치성을 드릴 수가 있었을 것이다. 마을에 전하는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바위가 정말 소원을 이루어주기는 하는가 보다.

「아주 오래전에 이 곳 한양조씨 문중으로 시집을 온 한 여인이 있었다. 그런데 시집을 온지 몇 년이 지나도 아이를 낳지 못하자. 시어머니의 구박이 날로 심해져만 갔다. 어느 날 꿈을 꾸었는데, 할머니 한 분이 이 바위를 찾아가라고 했다는 것. 며느리는 이 바위를 찾아와 100일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그런데 그렇게 들어서지 않던 아이가 들어섰다는 것이다.

며느리는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은 장성을 해 벼슬을 했다는 것이다. 그 뒤부터 이 바위는 소원바위라고 이름을 붙였으며,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기도를 하고 있다고 한다. 신을 받은 사람들은 가끔 이 바위 위에 앉아있는 노파를 본다고도 한다. 바로 이 바위에 100일 치성을 드려 아들을 낳은 노파라는 것.」


소원바위 밑에서 솟아나오는 샘물. 위장병과 변비에 좋다고 ...


전설은 늘 즐겁다. 답사를 하다가 듣게 되는 이런 전설 하나가, 지루하고 힘든 답사 길에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소원바위에 동전 한 닢을 붙여본다. 척 달라붙는다. 그리고 마음속에 한 가지 서원을 한다. 이번에는 옆 샘으로 가서 물을 한 바가지 떠 마셔본다. 차다. 속이 다 깨끗해지는 느낌이다. 솟아오르는 물방울이 무늬를 만들어 낸다. 이런 물을 마시면서 100일치성을 드렸다고 하면, 아마도 당연히 소원을 이루지 않을까?

소원바위를 돌아 추동1리 마을회관을 잠시 들린다. 한 낮의 시간을 놀이로 보내고 계시는 할머니들에게 소원바위에 대해 물어본다. 한 마디로 대단한 바위라고 하신다.

“그 바위가 소원을 들어주기는 하나봐. 열심히 빌면 이루지 못할 일이 어디 있을까? 지금도 사람들이 빌러 오는 것을 보면. 이러다가 우리 마을이 명물 되겠네.”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는 수령 500년이 지난 커다란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마을을 흐르는 개울을 내려다보는 이 소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211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이 소나무는 처진 소나무로 높이는 16m이며, 둘레는 2.95m에 가지의 폭은 21m 정도이다.

이 소나무는 마치 등 굽은 사람처럼 서 있는데, 목 부분이 굽어져 가지가 마을 쪽으로 뻗쳐 처져있다. 마을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풍천 노씨들이 처음으로 이 마을에 들어와 자리를 잡을 때 심었다고 전한다. 조국의 광복 이후에도 마을 주민들은 이 소나무 아래에 모여, 마을의 안녕과 가내의 안과태평을 비는 지신밟기를 했다고 한다.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수령 500년의 처진소나무

죽은 아들이 아이를 점지해준 종암우물

소나무 아래에는 마치 계란같이 생긴 바위와 우물이 있다. 이 바위를 종암이라고 부르며, 아래에 있는 우물을 종암우물이라고 한다. 이 우물에는 전설이 전한다. 고려 말엽 소나무가 서있는 개평마을에는 200호 정도가 모여 살고 있었다. 이 마을에 금씨 성을 가진 가난한 선비가 살았는데, 슬하에 자식이 없다가 40이 넘어서야 아들을 낳았다.



목 부분이 굽어진 처진 소나무는 노씨들이 지곡마을에 자리를 잡으면서 심었다고 전한다

살림살이가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두 부부는 귀한 아들이라 정성을 다해 키웠다. 그런데 아이가 8살이 되던 해에, 앞 개울가에서 물고기를 잡고 놀다가 그만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50이 다 된 부인은 자식을 잃은 슬픔으로 병이 들어,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몸이 약해졌다.

그러던 어느 날 부인이 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아들이 꿈에 나타나 하는 말이 ‘어머니 나 종암우물에 있어. 왜 데리러 안와’라고 했다. 부인은 집 가까이에 또 다른 우물이 있어, 종암우물까지는 물을 길러 가지 않았으나, 아들이 보고 싶은 생각으로 혹시나 해서 종암우물로 가서 우물주위를 돌았다. 몸이 약해진 부인은 우물을 돌다가 쓰러졌으나, 종암우물의 물을 먹고 기운을 차려 다시 우물을 돌고는 했다.


아들을 점지한다는 전설을 간직한 종암과 우물

먼 곳이지만 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기대로, 부인은 날마다 종암우물을 떠다 먹으며 그 주위를 돌았다. 그런데 도저히 완쾌할 것 같지 않았던 병약한 부인이, 3개월 후에는 완쾌가 되었으며 임신까지 하게 되었다. 임신이 된 선비의 부인은 49세라는 늦은 나이에 다시 아들을 낳았다. 지성이면 감천일까? 오직 아들을 보기를 바란 부인의 정성이 하늘을 닿아 아들을 본 것이다.

이 소문은 인근마을로 퍼져 나갔다. 그 뒤로부터 마을에는 낯선 여인들이 찾아와 종암을 안고 도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바로 아이를 낳지 못한 여인들이 아들을 낳을 것을 간절히 빌며 종암 주위를 돌면서, 우물 물을 마시고는 했다는 것이다.

지곡마을은 한옥이 즐비한 전통마을이다.

지곡마을은 한옥들이 즐비한 곳이다. 이 마을은 일두 정여창의 고택을 비롯한 많은 고택들이 자리를 하고 있다. 수령 500년이 된 처진 소나무와 종암. 아마 이 외에도 이 마을을 돌면 많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을 것만 같다. 등굽은 소나무는 마을을 향해 옛날 옛적 전설이라도 들려주려는 것인지. 마을을 향한 가지들이 사람들을 불러 모으려고 손짓을 하는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