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속해 있는 섬이다. 안산시는 공업단지가 가장 많은 곳으로 변해, 문화재들을 찾아보기가 쉽지가 않다. 그래도 몇 점의 소중한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 전역에 많은 문화재들이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안산시 대부북도에는 쌍계사라는 전통사찰이 자리하고 있다.

 

흔히 쌍계사하면 하동 쌍계사를 떠올리지만, 그 외에 여러 곳에 쌍계사라는 사명을 가진 사찰들이 있다. 안산시 대부북동 1058에 소재한 쌍계사는 1660년 경 취촉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다섯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서 물이 나와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사찰에 보관된 <정수암성조기(淨水庵成造記)>에 의하면 1689년 죽헌비구가 정수암을 중창하여 없어진 후, 1745년 그 자리에 다시 사찰을 세워 1750년부터 쌍계사라 불렸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찰 내에서 만력4(萬曆四年 : 1576)에 제작된 기와가 발견되어, 16세기 후반부터 이 지역에 사찰이 운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널찍한 경내에 봄기운이 완연해

 

4일 이른 아침부터 부산하게 준비를 하여 답사를 떠났다. 안산시에 소재한 몇 곳의 문화재와 쌍계사, 그리고 대부도와 연결이 되어있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선재도와 영흥도를 둘러볼 계획으로. 안산시 별망성지를 돌아 찾아간 쌍계사. 극락보전을 중심에 두고 한편에는 삼성각이,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약수가 나온다는 용바위를 보전하는 전각이 있다.

 

너른 마당에는 봄볕이 완연하다. 약간의 찬바람이 불고는 있지만, 절을 찾아가는 산길에는 벌써부터 농사꾼들의 작업이 한창이다. 최초로 창건할 당시에는 경기도 남양부지 서령대부도였다는 대부북도 쌍계사. 쌍계사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인 쌍계사 목조여래좌상과 제182호인 쌍계사 현왕도, 그리고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10호인 아미타화상도를 소장하고 있다.

 

 

신비한 용바위, 유리 밑으로 물길이

 

극락보전에 들려 참례를 한다. 언제나 사찰을 들어서면 먼저 하는 의식이다. 꼭 돈독한 신앙심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문화재가 있음을 감사하는 마음 때문이다. 그리고 나와서 용바위가 있다는 전각을 살펴본다. 앞에는 병을 낫기를 기원하는 촛불들을 켜 놓았다. 용바위의 물길이 흐르는 곳은 유리로 막아 놓았다.

 

방석이 그 위에 올라가 있는 것으로 보아, 물길 위에서 앞에 걸린 용왕신의 탱화를 보고 절을 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조금은 섭섭한 생각이 든다. 그 몸에 좋다는 물을 한잔 떠 먹어보고 싶었는데. 이 물을 발견한 것은 정수암이라는 절을 처음으로 창건한 취촉대사가 발견을 하고 그 자리에 암자를 지었다고 전한다.

 

 

전하는 설에 의하면 취촉대사가 이곳을 지나가다 산 중턱에서 깜빡 잠이 들었는데 용 다섯마리가 승천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꿈에서 깬 취촉대사가 그 자리를 파보니 용바위 밑에서 맑은 물이 흘러나와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여겨 그 자리에 정수암이라는 암자를 세웠다는 것이다.

 

이 물에는 철분 및 탄산수가 많아 위장병 및 피부병에 좋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약수물로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쌍계사의 뒤편으로는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학생들의 자연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듯하다. 개구리가 동면을 깨고 나온다는 경칩을 하루 앞둔 5일 찾아간 대부북도 쌍계사. 그곳에는 이미 봄이 발치 앞까지 와 있었다.

사찰 내에서 중심이 되는 부처님을 모신 건물을 대웅전이라 부른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대웅전의 정확한 의미는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법화경에 보면 석가모니를 호칭할 때 대영웅 석가모니라고 한 것을, 줄여서 대웅(大雄)’이라고 표현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대웅전이란 대영웅인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대웅전은 사찰의 중심이 된다. 하기에 어느 절의 대웅전이 되었거나, 그 절 안에서 가장 중심부에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은 일반 전각과는 달리 단을 높이 쌓고, 그 위에 전각을 짓는다. 이는 대영웅인 석가모니불을 높이 모시기 위한 뜻이다. 용주사의 대웅보전은 1790년 용주사의 창건과 함께 지어진 유서 깊은 건물이다. 보경당 사일스님이 팔도 도화주를 맡아 대웅보전을 비롯한 145칸의 전각을 용주사 경내에 함께 지었다.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절 용주사(龍珠寺)’

 

용주사를 창건한 곳은 원래 신라 문성왕 16년인 854년에, 염거화상이 세운 갈양사라는 절터이다. 한창 번성하던 갈양사는 병자호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고 한다. 그 뒤 정조가 부친 장헌세자의 능을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륭원(현재의 융릉)을 조성하면서 정조 14년인 1790년에 부친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절이다.

 

정조는 용주사의 낙성식 전날 밤에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어 용주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용주사의 대웅보전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절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다.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형식인 전각은, 지붕을 받치는 공포를 각 기둥과 평방 위에 설치한 다포계 양식이다.

 

 

 

대웅보전의 처마는 이중의 겹처마로, 그 끝이 위로 약간 치솟았다.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네 귀퉁이에는 활주를 세웠으며, 아래는 네모난 돌을 받치고 있고 문은 빗꽃살 무늬로 조성하였다. 처마에는 고리를 달아, 문을 위로 들어 걸 수 있게 되어있다.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모든 문을 열어, 불전의 내부인 성역과, 외부의 세속적인 공간이 하나가 되게 하였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은 압권

 

대웅전 내부에 들어서면 구조물 중에서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과, 1m 정도의 높이로 구민 불단에 모신 삼존불, 그리고 뒤편에 후불탱화가 있다. 닫집이란 대웅보전이라는 불전 속에 있는 또 하나의 불전이다. 용주사 대웅보전의 닫집은 섬세한 솜씨로 조각하였는데, 천정에는 극락조가 날고 좌우에는 구름 속에 동자모습의 비천이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각 기둥에는 다섯 마리의 용이 좌우에서 불단을 보호하고 있다. 용의 꼬리는 용두보다 앞 부분에 보이는데, 정작 단 위에 모신 삼존불의 눈으로 보면, 이 꼬리가 뒤편에 자리하는 셈이다. 대웅보전의 내부중앙 불단에는 부처님 세 분이 봉안되어 있다. 가운데가 항마촉지인을 취한 석가모니불, 동쪽이 약함을 들고 있는 동방약사여래, 서쪽이 설법인을 취한 서방아미타불이다.

 

김홍도의 작품으로 알려진 후불탱화

 

삼존불 뒤에 있는 후불탱화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16호로 지정되었으며, 김홍도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가로 3m, 세로 4m인 후불탱화는 서양화의 기법을 도입했다고 전해지는 그림이다. 중앙 단 위에 모셔진 삼존불은 용주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을 하였으며, 상계, 설훈, 봉현, 계초 스님 등 20여명이 삼존불 조성에 참여를 하였다. 이는 닫집 속에서 발견된 발원문안에 기록이 되어있다.

 

 

 

1970816일에 삼존불 조성을 시작하여, 920일에 완성을 했다는 것이다. 정조가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꾼 후, 이름을 지었다는 용주사. 그 중심전각인 대웅보전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5호이다. 지난 319일 찾아간 용주사의 대웅보전은 부처님의 출입구라고 하는 어간문이 활짝 열려있었다.

겨울에 가장 만나고 싶은 문화재들은 역시 천연기념물이다. 아무리 날이 춥다고 해도, 소나무 종류의 천연기념물들은 언제나 그 푸른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날이 춥다. 갑자기 기온이 떨어져서인가 움직임이 영 둔하다. 이런 날 가만히 집안에만 있자면 갑갑증이 인다. 가까운 곳이라도 답사를 할 작정으로 길을 나섰다. 여주에서 이포대교를 지나 이천으로 가다 보면, 우측으로 '산수유마을'이라는 이정표가 나온다.

 

이천 백사면의 산수유마을은 수도권에서는 나름대로 유명한 곳이다. 봄이 되면 많은 인파가 노랗게 핀 산수유를 보기 위해 몰려드는 곳이다. 아마도 이제 머지않아 이 마을은 또 한 번 홍역을 치루어야 할 것만 같다. 몰려드는 인파로 인해. 백사면 면소재지에서 서쪽으로 2km 정도 떨어져 있는 산수유 마을로 들어가다가 보면, 좌측 밭 가운데 키가 낮은 소나무 한 그루가 옆으로 넓게 퍼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승천하고 싶은 소나무인가?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201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81호 반룡송. '반룡송(蟠龍松)'은 하늘을 오르기 전, 땅에 서리고 있는 용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소나무를 일 만년 이상 살아갈 용송이라 하여 '만년송(萬年松)'이라고도 부른단다.

 

가까이 다가서 본다. 중앙에 본 가지가 있고, 그 위로 환상적인 가지들이 용틀임을 하고 있다. 180° 로 둥글게 말아가면서 퍼져나간 가지는, 금방이라도 하늘로 승천을 할 것만 같다. 신라 말 도선스님이 함흥, 서울, 강원도, 계룡산과 이천 도립리에서 큰 인물이 날 것이라며 심었다고 한다. 마을에 전해지는 반룡송에 대한 이야기는 많다.

 

 

껍질을 벗긴 사람이 병을 얻어 죽었다거나, 반룡송 밑에 떨어진 솔잎을 긁어다가 땠는데 온몸에 두드러기가 돋았다는 이야기 등이다. 반룡송은 그만큼 신비한 나무로 알려져 있어, 아무도 손을 대지 않는다. 특히 나무의 표피가 붉은 색을 띠우고 있어서, 이 표피를 마을에서는 용비늘이라고 이야기들을 한다. 그 비늘을 건드리는 것도 화를 불러오는 짓이라고.

 

신비함을 가득 담아낸 수령 1,100년이 지난 소나무

 

높이 4.25m, 가슴높이 둘레는 1.83m다. 높이 2m 정도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졌다. 땅속에 묻혀 자란 또 다른 가지는 흡사 중앙에 머리를 둔, 꼬리처럼 보이기도 해 신비감을 더한다. 이 꼬리부분이 있어서 반룡송이 하늘로 승천을 해 버릴 것만 같다. 얼핏 보아도 단순한 소나무이기보다는, 무엇인가 신비한 힘을 가진 특별함이 있다.

 

 

찬 날씨도 잊어버리고 몇 번이고 주위를 돈다. 저녁 햇볕이 가지 틈 사이로 들어오니, 솔잎들이 황금빛으로 변한다. 그래서 일몰 전에 반룡송을 보면 승천을 하는 용을 볼 수 있다고 했는지. 금방이라도 햇볕 사이로 승천을 할 듯한 모습이다.

 

현재 이천 9경중에서 제6경으로 꼽는 백사 도립리의 반룡송. 도선스님은 통일신라시대 승려로 풍수지리설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신라 흥덕왕 2년인 827년에 태어나 효공왕 2년인 898년에 세상을 하직했다. 그렇다면 이 반룡송의 수령은 이미 1100년 이상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숱한 세월을 이곳을 지켜 온 반룡송. 앞으로 용송으로 만년을 살 수 있을지는 모른다. 그러나 돌아보다가 보니 여기저기 마른 나뭇잎들이 보인다. 나이가 먹어 스스로 잎을 떨어뜨리는 것인지, 아니면 생육상태가 나빠진 것인지 걱정스럽다. 반룡송을 떠나기 전, 돌아서면 금방이라도 하늘로 솟아 승천을 할 것만 같아 몇 번이고 뒤를 돌아다본다.

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1번지 천성산에 소재한 홍룡사는 신라 제30대 문무왕 13년인 673년에 원효스님께서 창건했다는 절이다. 당시에는 ‘낙수사(落水寺)’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송고승전』에 의하면 원효스님께서 천문을 보니 중국 태화사 승려들이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것을 미리 알고 구했다고 한다.

원효스님은 곁에 있던 판자를 하늘로 던졌는데, 그것이 당의 태화사까지 날아갔다는 것이다. 태화사 스님들은 갑자기 하늘이 컴컴해져 놀라 뛰쳐나왔는데, 그 순간 산이 무너지면서 절이 매몰이 되었다는 것이다. 놀란 태화사 승려들이 하늘에서 떨어진 판자를 집어보니 ‘해동원효 척판구중’이란 글씨가 적혀있었다고 한다. 즉 원효스님이 널판자 하나를 던져 많은 무리를 구했다는 이야기다.

홍룡폭포와 관음전

천명의 승려가 원효의 제자가 되다

이 일로 인해 천명의 중국인 승려가 신라로 와 원효스님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이에 원효스님께서는 천성산에 89개의 암자를 짓고, 이 승려들을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이 곳 홍룡사에서 바로 판자 한 조각을 던졌다고 하는데, 홍룡사는 원효스님과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친견했다고 전하는 곳이다.

홍룡사에는 홍룡폭포가 있어 더욱 유명하다. 이 폭포는 천룡이 폭포 아래에 살다가 무지개를 타고 하늘로 승천을 했다고 전해진다. 아름다운 홍룡폭포를 찾아 홍룡사를 찾아들어갔다. 산신각을 지나 계단을 오르니 홍롱폭포가 보인다. 80척에 달한다는 폭포는 물이 많이 즐었다. 폭포 좌측으로는 관음전이 자리하고 있고, 우축으로는 좌불상이 자리하고 있다.



천자형으로 흘러내리는 홍룡폭포

세 갈래로 나뉘어져 떨어지는 홍룡폭포,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타고 흐르는 물은 가히 절경이다. 물이 많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물이 없다고 그 아름다움이 어디로 가겠는가? 떨어진 물이 고인 소에는 낙엽이 떨어져 또 하나의 아름다움을 만들어 낸다. 어찌 인간세상에 이런 절경이 있을 것인가?

이리저리 각도를 재보지만, 그 아름다움을 다 담아낼 수가 없을 것만 같다. 무엇을 탓할 수 있으랴? 지금도 날이 좋은 날에는 물방울이 튀면서 무지개를 만들어 낸다고 한다. 하지만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했던가. 잔뜩 흐린 날 찾아간 홍룡폭포는 그렇게 소리 없이 암벽을 타고 내리기만 한다.



원효스님이 관음보살을 친견했다는 관음전에 들려 예를 올리고, 돌아내려오는 길에 몇 번이고 폭포를 돌아본다. 그저 저 맑은 물속에서 한 마리 천룡이 금방이라도 물길을 헤치고 하늘로 오를 것만 같다. 아마 이 아름다움은 또 몇 날 동안 나를 답사의 길로 내몰 것만 같은 느낌이다.

대전 동구 가양동 65번지에는 우암사적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사적공원 안에는 우암 송시열과 관계되는 건물들이 함께 자리하고 있어서, 조선시대 건축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사적공원의 정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작은 솟을대문이 보인다. 이 솟을대문 안에는 기국정과 남간정사가 자리하고 있다.

남간정사는 낮은 야산 기슭의 숲이 우거진 골짜기를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남간정사 앞으로는 남간사가 자리하고, 뒤편으로는 작은 연못을 파 놓았다. 남간정사는 우암 송시열(1607 ~ 1689) 선생이 후학들에게 강학을 하던 유서 깊은 곳이다. 우암 선생은 사계 김장생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연마하였는데, 사계 김장생은 율곡의 첫째가는 제자이다.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4호인 남간정사

우리나라 정원사에 멋스러움을 이룩한 남간정사

우암 선생은 율곡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선생이 동구 소제에 살고 있는 동안 흥농촌에 서재를 세워 능인암이라 하였고. 그 아래에 남간정사를 지었다. 남간정사는 선생이 많은 제자들을 길러 낸 곳이기도 하지만, 선생의 학문을 완성시킨 곳으로 치기도 한다.

이 남간정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팔작지붕이다. 남간정사는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편은 앞뒤 통 칸의 온돌방을 들였다. 남간정사는 계곡의 샘에서 내려오는 물이 대청 밑을 통하여 연못으로 흘러가도록 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조경사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남간정사는 마루 밑으로 물을 흘려 연못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지금은 물길을 막아버리고 구멍만 남았다.
 
용과 닮은 괴이한 나무 한 그루

남간정사를 찾아갔으나 문이 굳게 잠겨 있다. 안을 기웃거려 보지만, 들어갈 방도가 없다. 정사 밑으로 난 물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으려나 했지만, 물구멍만 남겨놓고 축대로 막아버렸다. 안으로 들어갈 수 없으니 밖에서만 빙빙 돌 수밖에. 돌다가보니 대문 앞에 서 있는 나무 한 그루가 누워있는 형상이 보인다.

수령이 꽤 되었을 것만 같은 나무 한 그루. 대문을 막아서 비스듬히 누워있는 나무를 찍으려고 나무 옆으로 돌아갔는데, 이게 웬일인가? 흡사 한 마리 용이 비천을 하려고 날아오를 듯한 모습이다. 어떻게 그 오랜 세월 이렇게 불편하게 자라고 있는 것일까? 그런데 그 불편함이 오히려 남간정사를 지키고 있는 용과 같아 보인다.

뒤편에서 보면 꼭 용과 같이 생겼다.


남간정사 출입문 앞에있는 나무는 한 마리 용이 승천하는 형상이다.
 
나무줄기에 돌출된 옹이에는 푸른 이끼가 가득 끼어있고. 누워있는 나무줄기의 한편이 뒤에서 보면 마치 용틀임을 하면서 승천을 하는 듯한 모습이다. 남간정사도 우리 정원의 조경에 독특한 구성이지만, 이 나무로 인해 남간정사의 멋스러움이 한결 더해진 듯하다. 답사를 하면서 많은 정자와 가옥들을 보았지만, 이렇게 집과 나무가 멋진 조화를 이루는 것은 처음인 것만 같다. 이 나무 한 그루로 인해 답사 길이 즐겁다.



최신 댓글